$\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오톱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및 평가체계 제안
The Suggestion for Evaluation Items and System for Assessment of Biotop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6, 2009년, pp.594 - 602  

최일기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오충현 (동국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안근영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은희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초록

본 연구는 효율적 비오톱평가를 위해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항목 및 평가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선행된 연구사례들을 비교 검토하여, 현실적 적용가능성이 높은 비오톱 평가 항목 및 평가체계(안)을 도출하고, 선정된 사례지역의 적용과 자문회의 등의 계속적인 피드백 과정을 통하여 효율적인 비오톱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및 평가체계를 제안하였다. 첫째, 비오톱평가를 위한 항목으로는 자연성 및 헤메로비, 다양성, 면적, 고립성 및 연결성, 복원능력, 희귀성 등 6개 항목을 제안하였다. 둘째, 비오톱 평가체계는 1단계 평가인 전체 비오톱유형에 대한 평가와 2단계 평가인 개별 비오톱에 대한 생태적 보전가치평가로 구분한다. 유형평가단계에서는 자연성 및 헤메로 비와 다양성 항목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개별평가단계에서는 고립성 및 연결성, 복원능력, 희귀성 등과 같은 항목을 중심으로 평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비오톱평가는 지역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평가항목 및 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의 상황과 여건에 맞는 평가항목 및 지표들을 충분히 검토하여 선택하고 필요시 세부평가지표들이 추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usually applicable evaluation items and system for the effective biotope assessment. For this purpose, the evaluation items and system for the biotope assessment be applicable to actuality are drafted by a review on the preceded case studies until now a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비오톱 평가항목 및 평가체계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최근 비오톱지도화가 진행되고 있는 시흥시에 적용해 보았다. 시흥시 역시 비오톱 유형평가와 개별 비오톱평가로 구분된 평가체계를 갖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비오톱 유형평가를 위해 자연성 및 헤메로비와 다양성과 함께 비오톱의 면적과 희귀성을 평가항목으로 제안하였으며, 시흥시에서는 비오톱유형평가를 위해 헤메로비평가를 중심으로 하는 자연성평가, 대상지내의 비오톱의 희소성평가, 비오톱의 생성원인과 발달기간을 중심으로 한 녹지자연등급평가, 생물서식지로서의 기능을 평가하는 생물서식지 평가 등을 주요 평가항목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항목 및 지표를 시흥시에 적용하기 위해서 시흥시 비오톱지도의 속성자료 현황을 바탕으로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시흥시에서는 조사된 속성자료로는 토지이용현황, 토지피복현황(건폐지, 비건폐포장지, 녹지 등의 비율), 수종, 층위구성, 우점도, 식피율 등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비오톱평가를 위한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항목 및 평가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적인 선행연구사례들을 검토한 결과 각 지자체마다 서로 다른 방법론이 혼용되고 있으며, 추후 비오톱평가나 정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정보의 상호호환성이나 효율성이 떨어질 것으로 사료되었다.
  • 생태적 보전가치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지도화하는 목적은 평가를 통한 보전 및 관리지역, 개발가능지를 도면화하고 지속가능한 환경관리 및 도시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또한, 보전가치의 평가결과는 구체적인 토지이용계획수립에서 적극적인 의사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평가결과를 환경정보시스템에 포함시켜 통합적 환경정보구축을 통한 환경관리방안 제시가 가능해 진다.
  •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선행된 국내외사례의 비오톱평가항목 및 체계에 대해서 비교·검토하고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오톱 평가항목 및 평가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시흥시에서는 조사된 속성자료로는 토지이용현황, 토지피복현황(건폐지, 비건폐포장지, 녹지 등의 비율), 수종, 층위구성, 우점도, 식피율 등이었다. 이러한 속성자료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평가항목 및 지표의 반영 가능성을 검토하였다(Table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대표적인 비오톱 관련 연구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국내의 대표적인 비오톱 관련 연구로는 비오톱의 개념 및 유형화에 대한 연구(Seoul City, 2000), 대구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한 비오톱 구조분석(Ra and Lee, 2000), 도시비오톱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류(Ra and Lee, 2003), 평가지표에 의한 도시비오톱의 가치평가 (Ra et al., 2001), Seongnam City(2001, 2004)와 Gwangyang City(2006)를 대상으로 한 비오톱 지도작성, 그리고 최근 Goyang City(2008)와 Siheung City(2009) 등의 비오톱 조사 및 지도화가 대표적인 사례들이라고 할 수 있다. 비오톱 평가와 관련하여 국내의 생태계 평가연구로는 Park et al.
생태적 보전가치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지도화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생태적 보전가치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지도화하는 목적은 평가를 통한 보전 및 관리지역, 개발가능지를 도면화하고 지속가능한 환경관리 및 도시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또한, 보전가치의 평가결과는 구체적인 토지이용계획수립에서 적극적인 의사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평가결과를 환경정보시스템에 포함시켜 통합적 환경정보구축을 통한 환경관리방안 제시가 가능해 진다.
비오톱 평가항목 및 체계의 현실적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선정한 사례지의 선정 기준은 무엇인가? - 비교적 최근에 수행된 비오톱 지도화 사례 - 도시, 농촌, 산림, 해안 등의 국지적인 특징만을 나타내지 않는 지역 - 포괄적 비오톱지도화 방법으로 수행된 비오톱조사 및 지도화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stian, O.(1991) Biotische Komponenten in der Landschafts forschung und -planung. Probleme ihrer Erfassung und Bewertung. Habil.-Schr., M-Luther-Univ.Halle-Wittenberg 

  2. Bastian, O.(1994) Eine gestufte Biotopbewertung in der oertlichen Landschaftsplanung, mit Beispielen aus dem Modellprojekt Sachen, Landschaftsplan Stausee Quitzdorf bei Niesky/Oberlausitz. Bund Deutscher Landschaftsarchitekten e.V. (Hrsg.), Bonn 

  3. Choi, I.K. and E.H Lee(2008)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Species by Human Impact in Urban Areas - Case Study of Cheonj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5): 505-513 

  4. Choi, Y.K., S.B. Lee, I.K .Park, K.S. Cho, H.S. Kim, B.S. Byun (2002) A Study on the linkage of spatial Planning and Environmental Planning System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332pp 

  5. Forman, R.T.T.(1986) Emerging directions in landscape ecology and application in natural resource management. pp.149-173 

  6. Goyang City(2008) A Study on the ecological urban establishment and biotope map 

  7. Gwangyang City(2006) Biotope map and its data base. 286pp 

  8. Kaerkes, W.(1986) Zur oekologischen Bedeutung urbaner Freiflaechen Diss. Univ. Bochum: 281-284 

  9. Kim, J.W. and E.J. Lee(1997) Multicriterion Matrix Technique of Vegetation Assessment - A New Evaluation Technique on the Vegetation Naturalness and Its Application, Korean Journal of Ecology 20(5): 303-313 

  10. Ministry of Environment(2001) Development of ecosystem index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1. Ministry of Environment(2007) Guideline for urban ecological mapping (biotope mapping). 104pp 

  12. Park, Y.S., D.H. Kim, D.G. Cho, K.G. Kim(2006) A Study on Setting up Conservation Areas through Habitat Value Assessment of Developing Area,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9(3): 25-38 

  13. Ra, J.H and J.M. Lee(2003) Ec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Urban Biotopes - The Case of Metropolitan Daegu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6): 128-140 

  14. Ra, J.H. and S.C. Lee(2000) An Analysis of Biotope Structure in Metropolitan City in Terms of Nature Experience and Recre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3): 72-87 

  15. Ra, J.H. Y.S. Ryu, J.H. Sagong(2001) An Evaluation of Biotope Based on Its Valuation Criteria in Terms of Conservation of Species and Habita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1): 100-112 

  16. Ra, J.H., S.C. Lee, J.H. Sagong, Y.S. Ryu(2001) An Analysis of Biotope Structure in Terms of Species and Biotope Preservation in Metropolitan Area - In the case of Soosung District in Daegu,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6): 29-51 

  17. Schulte, W. und Marks, R.(1985) Die biooekologische Bewertung innerstaedtischer Gruenflaechen fuer ein naturnah gestaltetes Gruenflaechen-Schutzgebietssystem. Natur u. Landschsft, Stuttgart 60 (7/8): 302-305 

  18. Seongnam City(2001) City biotope map and GIS data base. Seongnam City. 300pp 

  19. Seongnam City(2004) A Grade evaluation of biotope and GIS data base of biotope map. 283pp 

  20. Seoul City(2000) Biotope mapping and guideline for establishment of ecopolis in Seoul(I). Seoul Development Institute, Seooul. 245pp 

  21. Siheung City(2007) Ecological survey and city biotope map in Siheung. Siheung City. 225pp 

  22. Wittig, R., Schreiber, K.F.(1983) A quick method for assessing the importance of open spaces in towns for urban nature conservation. Biol. Conserv. 26: 57-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