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재물류관리를 위한 자재 속성별 자재관리 프로세스 모델 - ETO 범주 자재를 중심으로 -
The material management process model of material characteristic for material administration of physical distribution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0 no.1 = no.47, 2009년, pp.16 - 25  

하영서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유정호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창덕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산업에서 자재와 관련된 비용은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원가구성비 측면에서 40% 이상을 차지한다. 최근 대형화, 전문화, 복잡화 되어가는 건축 공사에서 자재의 반입, 이동 및 적재공간의 협소로 인해 자재관리가 매우 복잡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자재관리는 현장 관리자의 경험에 의존해 관리되고 있으며 건설관리분야 중 자재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낮은 실정이다. 이에 대한 건설 산업에서 자재관리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재의 속성에 따른 MTS(Make-to-stock), ATO(Assemble-to-order), MTO(Make-to-order), ETO(Engineered-to-order)의 네 가지 분류 방법과 자재 조달 특성 및 자재 고유 특성 분석을 통하여 현장 자재의 효율적인 공급관리를 위한 자재의 속성별 관리체계를 분석한다. 이를 이용하여 자재 속성별 자재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onstruction industry, the cost related to material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under the characteristic of projects. However, it has 40% of the whole cost in the composition of prime cost. Recently, While the construction work become bigger, specialized and complex, it is complex to carry in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ODP의 4가지 분류 방식을 통해 이러한 SCM개념의 일부인 Lean Construction 및 JIT를 위한 현장 자재속성에 따른 분류에 의한 자재물류관리 효율성 향상을 이루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산업 현장의 자재의 발주부터 설치에 이르기까지 자재의 효율적인 자재물류관리를 위한 4가지 자재 속성에 따른 범주 중에서 가장 많은 물류 단계를 거치는 ETO 자재를 중심으로 자재관리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4가지 CODP(The customer order decoupling point)에 따라 분류하고, 현장 설문을 통해 ETO 범주의 자재 중에서 자재관리가 가장 필요한 자재를 선정하여 속성에 따른 자재관리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자재관리를 위하여 자재 속성에 따른 자재관리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장 전문가의 설문 및 면담을 통해 관리자재를 선정하여, 알루미늄 커튼월 자재의 속성별 To-Be 자재관리 프로세스를 IDEF0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자재물류관리를 위한 자재 속성별 관리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그러한 자재를 분류하기 위한 방법으로 CODP라는 제조업에서 사용되는 기법을 통하여 특성별로 분류하였으며, 그러한 분류 작업을 P사의 현장 전문가들에게 검증을 받고 현장 자재관리 대상 자재를 분류하였다.
  • 생산관리에서는 제품의 속성별로 MTS(Make-to-stock), ATO(Assemble-to-order), MTO(Make-to-order), ETO(Engineered-to-order)로 구분 할 수 있다(Wortmann, 1997, Handfield, 1995). 이러한 분류 기준에 대한 국내외 문헌 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론적인 고찰을 실시하여 이것을 기초로 건설산업에서 사용중인 자재를 토대로 자재 분류를 하고 그에 대한 전문가의 검증을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자재 속성에 따른 자재관리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4가지 자재의 속성에 따른 범주 중에서 주문이 이루어진 이후 설계부터 입고까지 가장 많은 물류 단계를 거치는 ETO 자재를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 산업에서 효율적인 자재물류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건설 공사에 사용되는 자재는 그 종류가 다양하고 수량도 방대하다. 최근 건설 산업은 대형화, 전문화, 복잡화 되고 있고, 그러한 건설 산업에서 자재의 반입, 이동 및 적재 공간에 대한 관리가 매우 복잡하므로 효율적인 자재물류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도심지의 대형공사의 경우 여유공간의 협소로 인해 자재 적치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재물류관리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생산관리에서는 제품의 속성별로 어떻게 구분 할 수 있는가? 생산관리에서는 제품의 속성별로 MTS(Make-to-stock), ATO(Assemble-to-order), MTO(Make-to-order), ETO(Engineered-to-order)로 구분 할 수 있다(Wortmann, 1997, Handfield, 1995). 이러한 분류 기준에 대한 국내외 문헌 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론적인 고찰을 실시하여 이것을 기초로 건설산업에서 사용중인 자재를 토대로 자재 분류를 하고 그에 대한 전문가의 검증을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자재 속성에 따른 자재관리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적절한 물류관리가 공사원가의 절감과 기업이익 확보 및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설산업에서 자재와 관련된 비용은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원가구성비 측면에서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건설산업의 원활한 수행과 관련이 깊다(이상범, 2004). 그렇기 때문에 적절한 물류관리는 공사원가의 절감과 기업이익 확보 및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상중외2인(2003), '현장물류관리효율제고를위한마감자재 조달프로세스의 영향요소 규명',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 23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pp. 451-454 

  2. 김상훈(2001), '건설공사재고관리에있어서적정lot size 결정방법', 건설기술 쌍용 2001 여름호 제19권, 쌍용건설 기술연구소, pp. 32-39 

  3. 김예상(2005), '초고층 빌딩 Curtain Wall의 SCM 기반 Automated Life-Cycle Management System 구축', 2003 산학연 공동연구사업 제1차년도 중간보고서, 건설교통부, pp. 4-5 

  4. 박치호 외 3인(2007), '초고층 건축물이 경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3권 제5호, 대한건축학회, pp. 179-186 

  5. 송영웅외1인(2004), ' $비용{\textasciigravet}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커튼월 자재관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4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pp. 427-430 

  6. 안병주 외 3인(2003), '커튼월 공사의 적시생산(JIT)관리를 위한 양중 조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9권 제8호, 대한건축학회, pp. 153-162 

  7. 이상범(2004), '건설자재의 적정 리드타임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4권 1호, 한국건축시공학회, pp. 105-110 

  8. 임형철 외 1인(2004), "현장 공정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공장 생산자재의 공급 및 생산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0권 제4호, 대한건축학회, pp. 143-152 

  9. 정도영 외 4인(2006), '건설현장 철근작업 프로세스상의 적정 자재재고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702-707 

  10. Jack Meredith, Umit Akinc(2007), Characterizing and structuring a new make-to-forecast production strategy,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Volume 25, Issue 3, April 2007, Pages 623-642 

  11. Martin Rudberg, Joakim Wikner(2004), Mass Customization in terms of the customer order decoupling point (CODP), Production Planning & Control Vol. 15 No. 4 pp.445-458 

  12. Wallace J. Hopp 외 1인(2005), '제조과학의 법칙Factory physics : foundations of manufacturing management', 한경사, 서울, pp. 2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