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물전환에 의한 Rhapontigenin의 생산 및 멜라닌 합성저해
Rhapontigenin Production by Bioconversion and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7 no.1, 2009년, pp.49 - 54  

전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이강문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임영희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김정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황으로부터 추출한 rhapontin을 산업용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rhapontigenin을 제조하고 kojic acid, hydroquinone 및 ascorbic acid를 비교물질로 한 tyrosinase 활성저해 실험과 S. bikiniensis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실험을 통해 미백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hapontin과 rhapontigenin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rhapontigenin의 경우 tyrosinase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rhapontin을 효소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rhapontigenin은 미백능이 월등히 증가된 천연 미백화장품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hapontin is the glycosylated stilbene compound, and comprising major component of rhubarb root extract. Rhapontin has been used as a raw material of skin-whitening cosmetics in Korea. Rhapontigenin, the aglycone of rhapontin, has been suggested to be more active than its glycosylated form. Therefo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효소전환을 통해 글루코사이드(glycosides)를 aglycones로 전환하여 생물활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 보고된 예들이 있다[12, 16, 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펙틴네 이즈 효소뿐 만 아니라 0ucosidase를 다량 함유하고 FD/로부터 식품용으로 안전성을 인정받아 오렌지쥬스 청징화등 식품용으로 널리 사용중인 효소인 Novozyme사의 Pectinex를 사용하여 대횡뿌리 (rhubarb root)로 부터 추출한 rhapontin을 가수분해한 후 생성된 물질의 분자량 및 구조를 분석하여 rhapontigenin임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rhapontigenin과 rhapontin에 대한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기작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ttaini, G, E. Monzani, L. Casella, L. Santagostini, and R. Pagliarin. 2000. Inhibition of the catecholase activity of biomimetic dinuclear copper complexes by kojic acid. J. Biol. Inorg. Chem. 5: 262-268 

  2. Bell, A. A. and M. H. Weeler. 1986. Biosynthesis and function of fungal melanin. Ann. Rev. Phyrophathol. 24: 411-451 

  3. Canabas, J., S. Chazarra, and F. Garcia-Carmona. 1994.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Pharmacol. 46: 982-985 

  4. Choi, B. W:, B. H. Lee, K. J. Kang, E. S. Lee, and N. H. Lee. 1998.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Kor. J. Pharm. 29: 237-242 

  5. Doo1ey, T. P., R. C. Gadwood, K. Ki1gore, and L. M. Thomasco. 1994. Development of an in vitro primary screen for skin depigmentation and antimelanoma agent. Skin Pharmacol. 7: 188-200 

  6. Hiil, H. Z., W. Li, P. Xin, and D. L. Mitchell. 1997. Melanin: A two edged sword? Pigment Cell Res. 10: 158-161 

  7. Hori, I., K. Nihei, and I. Kubo. 2004. Structural criteria for depigmenting mechanism of arbutin. Phytother. Res. 18: 475-479 

  8. Ikeda, T. and T. Tsutsumi. 1990. Function and skin depigmental activity of crude drugs. Fragrance J. 18: 59-66 

  9. Kim, Y M., J. Yun, C. K. Lee, H. H. Lee, K. R. Min, and Y. S. Kim. 2002. Oxyresveratrol and hydroxystilbene compounds: Inhibitory effect on tyrosirlase and mechanism of action. J. Biol. Chem. 277: 16340-16344 

  10. Kubo, M. and H. Matsuda. 1995. Development studies of cuticle and medicainal drugs from natural sources on melanin biosynthesis. Fragrance J. 8: 48-55 

  11. Lemer, A. B. and T. B. Fitzpatrick. 1950. Biochemistry of melanin formation. Physiol. Rev. 30: 91-126 

  12. Marotti, I.; A. Bonetti, B. Biavati, P. Catizone, and G Dirlelli. 2007. Biotransformation of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flavonoid glycosides by bifidobacterium species from human intestinal origin. J. Agric. Food Chem. 55: 3913-3919 

  13. Matsukarni, M. 1995. Evaluation of antimelanogenic effects. Fragrance J. 19: 14-19 

  14. Matubara, H. 1998. Inhibitory effect of lichen metabolites and their synthetic analogues on me1anin biosynthesis in cultured B-16 mouse mealnoma cells. Natural Product Sciences 4: 161-169 

  15. Mishima, Y, S. Hatta, and Y. Ohyama. 1988. Induction of melanogenesis suppression: cellular pharmacology and mode of differential action. Pigment Cell Res. 1: 367-374 

  16. Nielsen, I. L., W. S. Chee, L. Poulsen, E. Offord-Cavin, S. E. Rasmussen, H. Frederiksen, M. Enslen, D. Barron, M. N. Horcajada, and G. Williamson. 2006. Bioavailability is improved by enzymatic modification of the citrus flavonoid hesperidin in humans: a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trial. J. Nutr. 136: 404-408 

  17. Otieno, D. O. and N. P. Shah. 2007. A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transformation of isoflavones in soymilk using varying concentrations of exogenous and probioticderived ndogenous $\beta$ -glucosidases. J. Appl. Microbiol. 103: : 60이1-612 

  18. Peter, E. and I. H. Maibach. 2000. Cosmeceuticals: Drugs vs. Cosmetics. pp. 123-145. Marcel Dekker, New York 

  19. Tomita, K., N. Oda, M. Ohbayashi, H. Kamei, T. Miyaki, and T. Oki. 1990. A new screening method for melanin biosynthesis inhibitiors using Streptomyces bikiniensis. J. Antibiot. 43: 1601-16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