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 정찰을 위한 임시 위성군집궤도 설계
Temporary Satellite Constellation Design for the Ground Reconnaissance Mission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37 no.11, 2009년, pp.1112 - 1120  

김해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응용미래기술센터) ,  방효충 (KAIST 기계항공시스템학부 항공우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현재 궤도상에서 운용중인 위성들을 특정 임무수행을 하도록 각 위성들 을 허용된 추진제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궤도기동을 통해 재배치함으로써 일시적인 위성군집궤도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궤도 설계기법을 소개하였다. 설계기법의 응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문제, 즉 각각 위성들에 대한 허용 추진제량이 모두 다른 경우 지상의 특정 지역을 정찰하는 문제와 지상을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물체를 동일한 허용 추진제량을 가진 위성들을 이용하여 정찰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접근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현재 궤도배치 상에서 획득할 수 있는 평균재방문주기에 비해 재배치된 궤도상에서의 평균재방문주기가 각각 41%, 42%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제안된 방법에 의한 결과는 궤도조정 방법, 궤도상황, 센서 특성, 허용 추진제량, 그리고 추력기의 성능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authors introduced a new approach to find the target orbits of each satellite in order to establish a temporary reconnaissance constellation mission to minimize the average revisit time (ART) while satisfying the constraint on fuel limit. Two distinct problems are dealt with: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해 제안된 접근방법을 위성의 지상정찰(Ground Reconnaissance) 문제에 있어 두 가지 새로운 문제에 응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두 가지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논문에서는 현재 궤도상에서 운용중인 위성들을 임시적으로 위성군집궤도로 엮어 활용하기 위해 제한된 추진제 사용 허용범위 내에서 궤도기동을 하기 위한 목적궤도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최적화 방법을 소개하였다. 기존 연구를 통해 제안된 접근방법의 응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지상목표물에 대한 정찰문제를 제시하고, 수렴하기 위한 유전 알고리즘의 파라메터 조정 및 반복수행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들 위성들이 특정 목표지점을 5일 동안 관측하도록 각각의 목표궤도(Target orbit)를 설계한 후 이들 위성들로 임시로 엮어진 위성군집궤도의 평균재방문주기를 최소화하는 문제를 풀고자 하였다. 각 위성들의 궤도기동 시 허용되는 추진제 소모량은 각각 10kg, 80kg, 100kg, 50kg으로 위성에 따라 차등을 주었다.
  • 문제 I에서 적용된 목적함수는 다음 식 (1)과 같다. 얻고자 하는 목적은 ART의 최소화이므로 1일 86400초에 대해 나눈 값을 목적함수로 구성하였다. 한편, 연료에 대한 제한조건을 만족하도록 하기 위해 벌점함수를 각 위성별로 부가하였다.
  • 또한, 본 논문에서는 GA 파라메터 중 집단크기는 문제 I과 II에 대해 각각 20과 10을 부가하였다. 이는 GA의 단점인 수치계산속도가 타 알고리즘 보다 느리기 때문에 이에 영향을 크게 줄 수 있는 집단크기를 찾고자 하는 변수의 크기(본 논문에서는 총 8개 변수)에 비해 가능한 적게 부가하고, 대신 타 파라메터들을 조절함으로써 전역해를 찾는데 영향을 주고자 하였다.
  • 문제 I과 II에서 각 위성들이 목적 (ART의 최소화)을 이루고자 수행할 임시적인 궤도기동의 크기에 대한 초기 계산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주어진 추진제 허용량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장반경 및 승교점 경도 범위로부터 상대적으로 매우 장반경 및 큰 승교점 경도 범위까지 단계를 두어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허용된 추진제량 대비 초기 허용범위의 정도(Order)에 따른 수렴 속도 및 목적함수 최소화 방향에 대해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 문제 II의 경우 세대수 보다 집단크기가 더 영향을 미친다.
  • 위성 1 (SC#1)은 광학카메라, 위성 2 (SC#2)와 3 (SC#3)은 적외선카메라, 그리고 위성 4 (SC#4)는 SAR(Synthetic Aperture Radar)를 장착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광학카메라 이외의 센서들은 모두 주야 관측이 가능하다. 각 위성들의 센서들은 각각 30도, 55도, 30도, 30~70도의 관측폭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각 위성들의 궤도기동 시 허용되는 추진제 소모량은 각각 10kg, 80kg, 100kg, 50kg으로 위성에 따라 차등을 주었다. 각 위성들의 추력기는 모두 비추력 205s, 추력 17.25N 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하였으며, 궤도기동 시 위성체 중량은 780kg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 특히, 궤도기동 수행으로 인한 추진제 소모에 대한 제한조건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임무 성취도가 향상되도록 가중치(Weighting factor) 부가를 통한 벌점 전략(Penalty strategy)을 채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각 위성별로 궤도조정 시 허용되는 추진제량이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 첫 번째 문제와 마찬가지로 현재 우주상에서 운용 중인 전술위성이 4개이며, 궤도특성은 표 1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단, 문제 I 과 달리 각 위성들은 모두 동일한 촬영성능 및 관측폭을 가진 SAR를 장착하고 있으며, SAR의 특성 상 시선각 20도~50도 사이에서만 유효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경사각과 이심률도 커버리지 특성에 영향을 미치나 모두 고려할 경우 추진제 소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므로 평균재방문주기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두 궤도요소만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당초 각각 임무궤도로 복귀시 소모되는 추진제량은 총 중량 대비 충분한 여유가 있다는 가정을 두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귀환을 위한 궤도기동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추진제 소모량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궤도기 동기법은 고전적인 Hohmann 궤도조정방법을 이용하여 장반경 방향과 승교점 경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궤도조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궤도기동 자체의 최적화 방법은 본 연구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위성들은 모두 반복지상궤적(Repeat Ground Track, RGT)를 가진 태양동기궤도상에서 운용되고 있다. 즉, 각 위성들은 제각각 궤도특성에 따라 전 지구적인(Global) 촬영임무를 부여받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풀고자 하는 두 번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제와 마찬가지로 현재 우주상에서 운용 중인 전술위성이 4개이며, 궤도특성은 표 1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단, 문제 I 과 달리 각 위성들은 모두 동일한 촬영성능 및 관측폭을 가진 SAR를 장착하고 있으며, SAR의 특성 상 시선각 20도~50도 사이에서만 유효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또한, 당초 각각 임무궤도로 복귀시 소모되는 추진제량은 총 중량 대비 충분한 여유가 있다는 가정을 두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귀환을 위한 궤도기동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추진제 소모량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궤도기 동기법은 고전적인 Hohmann 궤도조정방법을 이용하여 장반경 방향과 승교점 경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궤도조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궤도기동 자체의 최적화 방법은 본 연구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전술적인 목적의 궤도기동에 있어 궤도조정 기법의 최적화와 임시 임무 종료 후 당초 궤도로의 회기를 위한 궤도기동 포함문제도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고려는 차후 연구에서 다룰 예정이다.
  • 표 1에서의 현재 궤도상에서 어떠한 궤도변경 없이 지상이동물체를 4기의 위성이 하나의 위성군집궤도라고 가정하고 정찰할 경우 계산된 ART는 3883.8초이다.
  • 본 연구에서 풀고자 하는 첫 번째 문제는 다음과 같다. 현재 우주상에서 운용 중인 전술위성이 4개이며, 이들 위성들은 목적에 따라 모두 다른 궤도상에서 서로 다른 센서를 탑재하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위성들은 모두 반복지상궤적(Repeat Ground Track, RGT)를 가진 태양동기궤도상에서 운용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긴 커버리지(Sparse Coverage) 위성군집궤도란 무엇인가? 한편, 성긴 커버리지(Sparse Coverage) 위성군집궤도는 궤도형태 상의 타입에 따르기 보다는 위성군집을 이용한 관측형태가 연속적이지 않고, 위성 배치가 궤도면상에서 고르게 분포되지 않는 경우를 통칭하는 것으로, 실제 위성군집 궤도를 설계함에 있어 GPS 시스템과 같이 연속적인 관측이나 통신을 서비스하는 경우가 아니면 효율적인 위성군집궤도로써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도 700km 상에서 전 지구를 커버하는 연속적인 관측시스템 혹은 통신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군집궤도를 고전적인 Walker 방식에 의해 설계한다면 최소 40개 이상의 위성이 소요된다[2].
Satellite Constellations를 설계하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위성군집궤도(Satellite Constellations)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전 지구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매우 유용한 궤도운용 형태이다. 위성군집궤도를 설계하는 방법으로 Walker 설계방식이 전통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주로 극궤도(Polar Orbit)를 이용하면서 Walker 방식과는 다르게 비대칭적(Non-symmeric)으로 위성들을 분포시키는 Polar/Non-Symmetric 설계 방식, 몰리냐(Molniya)와 같은 고타원형 궤도와 적도궤도를 혼용하는 타원형 군집궤도 설계방식(Elliptical Orbit Constellation) 등이 있다[1]. 최근 들어서는 회전기준 좌표계(Rotating reference frame)을 이용하여 모든 위성들이 우주공간 상의 궤적이 반복되도록 닫힌 상대궤적(Closed-loop relative trajectory)을 가지는 Flower 위성군집 설계방식이 선보여지고 있다.
성긴 위성군집궤도 설계를 위해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까닭은 무엇인가? 이처럼 관측이 불연속적이고 궤도면 상의 위성개수 분포가 불균일할 경우 요구되는 임무를 충족할 수 있는 위성군집 궤도를 해석적으로 설계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더욱이 군집궤도를 이루는 위성들의 관측폭, 센서 특성 등 관측기기들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해석적으로 설계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성긴 위성군집궤도 설계를 위해 유전 알고리즘(GA, Genetic Algorithms)을 이용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2,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Wertz, J. R., Mission Geometry: Orbit and Constellation Design and Management, Microcosom Press, 2001. 

  2. Lang, T. J., "A Parametric Examination of Satellite Constellations to Minimize Revisit Time for Low Earth Orbits Using a Genetic Algorithm", Paper No. AAS-01-345, 2001. 

  3. Crossley, W. E., and Williams E. A., "Simulated Annealing and Genetic Algorithm Approach for Discontinuous Coverage Stellite Constellation Design", Eng. Opt., 2000, Vol. 32, pp. 353-371. 

  4. Schiff, C., and Mailhe, L., "INDRA/COV:A New Tool for Optiminzation of Constellations Coverage Statistics", Proceedings of 1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Space Flight Dynamics, 2001. 

  5. 류동영, 서윤경, 승성표, “위성통신 서비스를 위한 저궤도 위성군 설계”, 한국항공우주학회 춘게학술발표회 논문집, 2000, pp. 123-126. 

  6. 이상현, 박병운, 김도윤, 기창돈, 백복수, 이기훈, “한국형 지역 위성 통신항법시스템의 위성 궤도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33권 제7호, 2005, pp. 51-58. 

  7. Kim, H. D., Bang, H., and Jung, O. C., "Genetic Design of Target Orbits for a Temporary Reconnaissance Mission", Journal of Spacecraft and Rockets, Vol. 46, No. 3, May-June, 2009, pp. 725-728. 

  8. 김해동, 방효충,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술위성 군집궤도 최적화”,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8, pp. 938-941. 

  9. Goldberg, D. E., Genetic Algorithms in Search, Optimization, and Machine Learning, Addison-Wesley,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