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QuikSCAT 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의 해상 풍력자원 평가
Offshore Wind Resource Assessment around Korean Peninsula by using QuikSCAT Satellite Data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37 no.11, 2009년, pp.1121 - 1130  

장재경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대학원) ,  유병민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대학원) ,  유기완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이준신 (한전 전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ikSCAT 위성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2000년 1월로부터 2008년 12월에 걸쳐 한반도 근해의 풍력자원을 평가 하였다. QuikSCAT 위성은 초단파 scatterometer를 이용하여 해수면 가까이의 풍향과 풍속을 전천후 상태에서 측정한다. 해면으로부터 10 m 높이에서 측정된 풍속을 power law모델을 이용하여 허브 높이에 맞게 외삽 보정하였다. 계산 결과 한반도의 남해와 동해에서 풍력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풍력 터빈 타워의 설치를 위해 깊은 수심을 피하고 대규모 풍력단지 조성을 위해 남해의 다도해 지역을 피한다면 한반도 서쪽 또는 남서쪽 연안이 대규모 풍력단지 조성에 유리하나 상대적으로 낮은 풍속을 고려한 블레이드 개발을 요한다. 바람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특정 지점에 대한 월별 풍속 변화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풍력에너지 밀도를 이용한 바람장미를 파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ffshore wind resources, the measured data from the QuikSCAT satellite was analyzed from Jan 2000 to Dec 2008. QuikSCAT satellite is a specialized device for a microwave scatterometer that measures near-surface wind speed and direction under all weather and cloud condi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 NASA에서 운영하고 있는 QuikSCAT 인공위성의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최근 9년간의 장기간 해상 풍황 관측 자료를 분석하기로 한다. 이 결과로부터 해상 평균 풍속 분포, 풍력에너지밀도 분포, 연간 평균풍속의 변동 등을 분석한다.
  • 이 결과로부터 해상 평균 풍속 분포, 풍력에너지밀도 분포, 연간 평균풍속의 변동 등을 분석한다. 또한 한반도 주변 4개 특정 지점에 대한 풍력에너지밀도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바람장미를 나타내어 주풍향 방향을 결정하고 이로부터 단지 설계 시에 풍력터빈 어레이의 방향 결정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 확보를 목표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상 풍력단지 개발을 위해서는 특정 지점에서 풍력에너지 밀도의 주 유입방향을 알아보는 것이 더 의미가 있는 이유는? 단지 특정 지점에서 풍향의 빈도에 따른 주 풍향의 방향을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해상 풍력단지 개발을 위해서는 특정 지점에서 풍력에너지 밀도의 주 유입방향을 알아보는 것이더 의미가 있다. 풍력에너지 밀도는 풍력발전기 에서 변환되는 에너지의 양과 비례하며 단지의 경제적인 설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position 1에서의 풍력에너지 밀도에 대한 바람장미를 Fig.
해상풍력발전의 장점은? 해상풍력발전은 육상풍력발전에 비해 강한 바람이 상시적으로 불어 이용률이 높고, 대형풍력 단지 조성에 유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파도나 염해 등을 고려하여 기기를 설계해야 하며, 해저에서의 토목 및 케이블 공사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육상풍력발전기에 비해 비교적 높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풍력발전기 기술은 선진 기술 수준은 아니지만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제품양산 체계를 갖추고 있고, 세계적인 수준의 조선 기술이나 해상 구조물 기술 등을 결합한다면 향후 해상풍력발전기에 대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상풍력발전의 단점은? 해상풍력발전은 육상풍력발전에 비해 강한 바람이 상시적으로 불어 이용률이 높고, 대형풍력 단지 조성에 유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파도나 염해 등을 고려하여 기기를 설계해야 하며, 해저에서의 토목 및 케이블 공사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육상풍력발전기에 비해 비교적 높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풍력발전기 기술은 선진 기술 수준은 아니지만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제품양산 체계를 갖추고 있고, 세계적인 수준의 조선 기술이나 해상 구조물 기술 등을 결합한다면 향후 해상풍력발전기에 대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경남호, 윤정은, 장문석, 장동순, “한반도 해역의 해상 풍력 자원 평가", 한국태양에너지학회지, 제23권 제2호, 2003, pp. 35-41.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의 경우 에너지연구원의 경남호 등[1]과 김현구 등[2]은 해상 풍황 분석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해상 풍력 자원 평가 방법의 비효율적인 문제에 대해 지적하며 QuikSCAT[3] 위성의 2000년 초기의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해상풍력자원 평가를 하였지만 단기간의 자료 분석에 그치고 있어 위성 관측자료의 통계적인 신뢰도 증진을 위해 장기적인 자료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2. 김현구, 이화운, 정우식, “한반도 바람지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21권 제1호, 2005, pp. 63-72.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의 경우 에너지연구원의 경남호 등[1]과 김현구 등[2]은 해상 풍황 분석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해상 풍력 자원 평가 방법의 비효율적인 문제에 대해 지적하며 QuikSCAT[3] 위성의 2000년 초기의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해상풍력자원 평가를 하였지만 단기간의 자료 분석에 그치고 있어 위성 관측자료의 통계적인 신뢰도 증진을 위해 장기적인 자료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3. Physical Oceanography DAAC, "SeaWinds on QuikSCAT Level 3 Daily, Gridded Ocean Wind Vectors", Version 1.1, D-20335, Jet Propulsion Laboratory, 2001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의 경우 에너지연구원의 경남호 등[1]과 김현구 등[2]은 해상 풍황 분석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해상 풍력 자원 평가 방법의 비효율적인 문제에 대해 지적하며 QuikSCAT[3] 위성의 2000년 초기의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해상풍력자원 평가를 하였지만 단기간의 자료 분석에 그치고 있어 위성 관측자료의 통계적인 신뢰도 증진을 위해 장기적인 자료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4. Shi Feng Zhang,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ower law and the Logarithmic Law Using Wind Data from a 164 m Tower", Boundary Layer Meteorology, Vol. 20, No. 1, 1981, pp. 117-123.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보정방법은 지수법칙[4]과 로그 법칙[5]이 있지만 해상 풍속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지수를 선정한 NASA TP-1359[6]를 참고하여 지수법칙을 이용하기로 한다.

  5. Ernest W. Peterson, Joseph P. Hennessey, “On the Use of Power Laws for Estimates of Wind Power Potential",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17, No. 3, 1978, pp. 390-394.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보정방법은 지수법칙[4]과 로그 법칙[5]이 있지만 해상 풍속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지수를 선정한 NASA TP-1359[6]를 참고하여 지수법칙을 이용하기로 한다.

  6. Frost, W.; Long, B. H.; Turner, R. E. "Engineering Handbook 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al Guidelines for use in Wind Turbine Generator Development", NASA Technical Paper 1359, 1978. 

    인용구절

    인용 구절

    보정방법은 지수법칙[4]과 로그 법칙[5]이 있지만 해상 풍속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지수를 선정한 NASA TP-1359[6]를 참고하여 지수법칙을 이용하기로 한다.

    참고문헌[6]으로부터 n=0.11을 선정하였다.

  7. Schwartz, M. N., Elliott, D. L., and Gower, G. L., "Seasonal Variability of Wind Electric Potential in the United States", PNL-SA-22090, 1993. 

    인용구절

    인용 구절

    Table 5는 미국 풍력지도를 작성하면서 분류한 풍력 등급을 나타내고 있다[7].

  8. 김지영, 강금석, 오기용, 이준신, 유무성, “국내 해역의 해상풍력 가능자원 평가 및 예비부지 선정", 신재생에너지학회지, 제5권 제2호, 2009, pp. 39~47.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8은 김지영 등[8]이 한반도 주변의 수심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병호 등 [9]이 구축한 한국근해의 수심 분포도를 재구성한 결과이다.

    Geometric view of the sea floor around Korean peninsula [8]

  9. 최병호, 김경옥, 엄현민, “한국근해의 디지털 수심.표고 데이터베이스",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2, pp. 41-50.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8은 김지영 등[8]이 한반도 주변의 수심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병호 등 [9]이 구축한 한국근해의 수심 분포도를 재구성한 결과이다.

  10. 김현구, 송규봉, 황선영, 윤진호, 황효정, “국가바람지도 및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해상풍력단지 입지전략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8권 제8호, 2009, pp. 877-883.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최근 연구에서 김현구 등[10]도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을 위해 수심과 풍황조건 등을 분석하여 한반도 서해안과 서남 해안 지역의 대규모 발전단지 개발 잠재성을 언급하고 있다.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