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 전공이 아닌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힘과 운동' 내용 지식 영역의 전문성
Professional Level of Non-physics Major Middle-school Science Teachers in 'Force and Motion' Content Knowledg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9 no.8, 2009년, pp.910 - 922  

박경영 (화명중학교) ,  김영민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물리를 전공하지 않은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힘과 운동' 영역의 교과내용지식에 대한 전문성의 정도를 서술형 응답 분석 및 심층 면담의 방법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으로는 화학, 생물, 지구과학을 전공한 중학교 과학 교사 9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물리 개념 조사 도구를 투입하여 이들의 서술형 응답 내용의 분석 및 심층 면담 내용의 분석 결과로부터 이들의 '힘과 운동' 내용 지식 영역에서의 전문성을 분석하여 물리를 전공하지 않은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전문성을 유추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 연구 대상 교사들의 '힘과 운동' 영역개념에 대한 정답률이 높지 않고 일부 교사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음을 볼 때, 중학교 수준의 물리 내용 지식, 적어도 힘과 운동 영역의 물리 영역의 전문성이 높다고 보기 어렵고, 따라서 물리 개념을 정확히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상황이 달라졌을 때 물리 개념을 일관성 있게 적용하지 못한 다든지, 공식을 단순히 적용하여 해결함으로써 문제해결에 대한 정성적인 이해가 부족함을 보임을 볼 때, 학생들에게 물리 개념의 적용 및 심화 적용 능력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fessional level of the Korean non-physics major middle-school science teachers in 'force and motion' content knowledge. For the study, nine science teachers who majored in chemistry, biology, or earth science were sampled from middle-schools in a b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무엇인가?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이다. 그러기 때문에, Shulman(1986)은 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지식에 교과 내용 지식, 교육과정적 지식, 교과교육학지식이 있다고 하였고, Wenning(1998)은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자질의 첫째로 과학 내용에 대한 지식(content knowledge), 둘째로는 탐구 과정에 대한 절차적 지식을 들었고, 미국의 NBPTS(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2006)에서는 중등학교 과학 교사 자격 기준의 첫째로 학생에 대해 이해하기, 둘째로 과학에 대해 이해하기, 셋째로는 과학 수업에 대해 이해하기를 들었다.
과학 교사에게 자신의 전공과목들 외에 다른 과학 영역의 기본 과정을 이수시키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칠 수 있는‘(공통)과학’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물리교육전공자의 경우에는 과학 내용 과목으로 일반물리와 전공 물리학 외에 일반화학 및 실험, 고급 화학, 일반생물학 및 실험, 고급 생물학, 일반지구과학 및 실험, 고급지구과학을 추가로 이수하여야 하고, 화학교육전공자의 경우에는 일반화학 및 전공 화학 외에 일반물리학 및 실험, 고급물리학, 일반생물학 및 실험, 고급 생물학, 일반지구 과학 및 실험, 고급지구과학을 추가로 이수하여야 하고, 생물교육전공자의 경우에는 일반생물학과 전공생물학 외에 일반물리학 및 실험, 고급 물리학, 일반화학 및 실험, 고급 화학, 일반지구과학 및 실험, 고급 지구과학을 추가로 이수하여야 하고, 지구과학교육전공자의 경우에는 일반지구과학과 전공 지구과학 외에 일반물리학 및 실험, 고급 물리학, 일반화학 및 실험, 고급 화학, 일반생물학 및 실험, 고급 생물학을 추가로 이수하여야 한다(교육인적자원부, 2007). 이렇듯 자신의 전공과목들 외에 다른 과학 영역의 기본 과정들을 이수시키는 것은 이들이 어떤 전공 과정을 이수했더라도 중학교에서 과학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중학교의 과학 교사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기본 개념들에 대해 대학의 일반과학 수준 이상의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중학교에서의 과학 교과는 고등학교 교육과정과는 달리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영역이 통합되어 있고(교육부, 1997), 실제 현장에서는 몇몇 학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경우 과학의 모든 영역을 한 명의 과학 교사가 가르치고 있다. 그러므로 중학교의 과학 교사는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기본 개념들에 대해 대학의 일반과학 수준 이상의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곽영순(2006).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27-536 

  2. 교육부(1997). 제7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육인적자원부 공고 제2007-133호 

  4. 구선아, 채희권(2008). 7학년 교과서의 확산 현상 기술에 대한 분석과 과학교사들의 확산 개념에 대한이해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383-394 

  5. 김선경, 김영미, 백성혜(2007). 물질의 상태에 관한 중 ${\cdot}$ 고등학생들과 과학 교사들의 분류 기준에 대한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337-345 

  6. 박진희, 김동욱, 백성혜(2006). 전극 전위에 대한 고등학교 화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79-290 

  7. 백성혜, 조미정(2005).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73-786 

  8. 송진웅, 김익균, 김영민, 권성기, 오원근, 박종원 (2005). 학생의 물리 오개념 地圖. 서울:북스힐 

  9. 오원근, 김재우(2006). 물리 전공이 아닌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빛과 파동 개념, 새물리, 52(6), 512-520 

  10. 이학동(1986). 통합과학교육의 실태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43-52 

  11. 이학동(1989). 중학교 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9(1), 1-17 

  12. 이학동, 손연아, 노경임, 송진웅(1996). 과학교사의 양성, 임용, 재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103-120 

  13. 조희형, 이문원, 조영신, 한인숙(1989). 중등학교 과학교육의 내실화방안에 대한 연구 : 중등과학교사 교육 및 재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9(2), 1-12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8). 1999학년도 대학수학 능력시험문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0). 200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1).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3).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 표시과목 [공통과학]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Aiello-Nicosia, M. L. and Sperandeo-Mineo, R. M.(2000). Educational Reconstruction of Physics Content to be taught and of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 Cas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0), 1085-1097 

  20. Chou, C.-Y.(2002).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oncepts in Chemistry. Proc. Natl. Sci. Counc. ROC(D), 12(2), 73-78 

  21. Epstein, L. & Hewitt, P. 저, 백윤선 옮김 (2004). 재미있는 물리여행. 서울:김영사 

  22. Lederman, N. G. and Gess-Newsom, J. Eds.(1999). Reconceptualizing Second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PCK and Science Education, Hingham,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McDermott, L.M.(1990). A Perspective on Teacher Education in Physics and Other Sciences: The Need for Special Science Course for Teacher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58(8), 734-742 

  24.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2006).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Science Standards, Second Edition. NBPTS 

  25.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03). Standard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NSTA 

  26. Nelson, J.(2009).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K-12 Teachers of Physics and Physical Science, 2009 APS April Meeting (May 2-5, Denver, Colorado) 

  27. Rutger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9). Five-Year Teacher Education Program: Physical Science and Physics Education (K-12) 

  28. Shulman, L. S.(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29. Talbot, R., Otero, V., and Briggs, D.(2009). Measuring Physics Teacher Knowledge: Is it Domain Specific? 2009 APS April Meeting (May 2-5, Denver, Colorado) 

  30. Wenning, C. J. (1998). Knowledge base for prospective secondary level physics teacher. http://www.phy.ilstu.edu/programs/ptefiles/in dex.html 

  31. Windschitl, M.(2005). Guest Editorial - The Future of Science Teacher Preparation in America: Where is the Evidence to Inform Program Design and Guide - Responsible Policy Decisions? Science Education, 89(4), 525-5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