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사례연구 - 고려대학교 의료원의 일반 간호사복 및 수간호사복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s for Nurses' Uniforms - Focusing on the Uniforms for Staff Nurses and Head Nurses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s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10, 2009년, pp.22 - 37  

이윤정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예영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성화경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an example of a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to designing nurses' uniforms. Uniforms for the staff nurses and head nurses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s were designed through the following four steps: research and analyses, design direct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업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간호사업은 크게 병원간호, 전문간호, 지역사회간호로 나눌 수 있다. 병원간호는 치과와 한방을 포함한 크고 작은 병원 및 의원에서 이루어지는 직접간호와 간호관리업무를 의미한다.
병원간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간호사업은 크게 병원간호, 전문간호, 지역사회간호로 나눌 수 있다. 병원간호는 치과와 한방을 포함한 크고 작은 병원 및 의원에서 이루어지는 직접간호와 간호관리업무를 의미한다. 병원간호는 외래진료부, 수술부, 입원실에서 이루어지며, 간호사는 의사, 물리요법사, 영양사, 간호조무사 등과 함께 환자간호를 결정한다.
간호사업 중 지역사회간호는 무엇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가? 지역사회간호는 모자보건, 학교보건, 산업보건, 보건진료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모자보건은 소아보건과 모성보건을 포함하는 것으로 좁은 의미로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소아와 여성의 건강관리를 의미하고 넓게는 신체장애자의 건강관리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이선옥, 박정호, 김매자 (2006). 新 간호학개론 (제 2개 정판).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280-281 

  2. 이선옥, 박정호, 김매자 (2006). 新 간호학개론 (제 2개 정판).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283-284 

  3. 이선옥, 박정호, 김매자 (2006). 新 간호학개론 (제 2개 정판).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281-283 

  4.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자료검색일 2009. 10. 8, 자료출처 http://www.q-net.or.kr 

  5. 이선옥, 박정호, 김매자 (2006). 新 간호학개론 (제 2개 정판).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281-283 

  6. 이선옥, 박정호, 김매자 (2006). 新 간호학개론 (제 2개 정판).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294-295 

  7. Stubbs, D. A., Buckle, P. W., Hudson, M. P., Butler, P. E., & Rivers, P. M. (1985). Nurse's uniform: An investigation of mo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2(3), pp. 217-229 

  8. Hawkey, B., & Clarke, M. (1990). Dress sense or nonsense? Nursing Times, 86(3), pp. 28-31 

  9. Blackmore, S., & Crock, E. (1990). Uniform view. The Australian Nurses Journal, 20(1), pp. 15-16 

  10. O'Connor, S., & Wright, M. (1990). Removing barriers to communication. Nursing Standard, 5(12), pp. 26-27 

  11. Sparrow, S. (1991). An exploration of the role of the nurses' uniform through a period of non-uniform wear on an acute medical ward.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6, pp. 116-122 

  12. Bowman, G. & Thomson, D. (1992). Where did you get that cap? Nursing Times, 88(5), pp. 43-45 

  13. 심순학, 이정옥, 박숙현 (1993).임상간호사의 간호유니폼에 대한 선호경향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논문집, 14(4), pp. 95-122 

  14. 김조자, 이원희, 허혜경, 김창희, 홍성경 (1993). 간호사의 복장 형태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3(4), pp. 631-648 

  15. 김앙식 (1997). 간호사복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섬유기능대학 논문집, 1, pp. 263-276 

  16. Lehna, C., Peterson, T. G., Grubaugh, K., Mastropietro, S., & Schoettle, B. (1999). Nursing attire: Indicators of Professionalism?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5(3), pp. 192-199 

  17. 김선희, 류은정 (2002).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7(3), pp. 455-472 

  18. 류미애, 박옥련 (2006). 간호사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1), pp. 349-361 

  19. 심순학, 이정옥, 박숙현 (1993). 임상간호사의 간호유니폼에 대한 선호경향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논문집, 14(4), pp. 95-122 

  20. Davis, L. M. (1996). Visual design in dress (3rd ed.) Enflem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1. Lamb, J. M., & Kallal, M. J. (1992). A conceptual framework for apparel desig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pp. 42-47 

  22. Regan, C. L., Kincade, D. H., & Sheldon, G. (1998). Applicability of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ory in the apparel design proces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6(1), pp. 36-46 

  23. Labat, K. L., & Skolowski, S. L. (1999). A threestage design process applied to an industry-university textile product design projec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1), pp. 11-20 

  24. Shinha, P. (2001). The mechanics of fashion. In T. Hines & M. Bruce (Eds.). Fashion marketing:Contemporary issues (pp. 165-189). Oxford; Boston:Butterworth-Heinemann 

  25. 이연희, 박재옥, 서미아, 안민영 (2004).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환자복 개발 사례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24, pp. 5-23 

  26. 안민영, 이연희, 박재옥, 서미아, 진성모 (2006). 업무유형에 따른 유니폼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담배인삼공사 유니폼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2), pp. 306-315 

  27. 이예영, 이윤정, 성화경 (2006). 환자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사례 연구: 고려대학교 의료원의 일반 환자복과 산부인과용 가운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12), pp. 9-18 

  28. 이화 유니폼 (2000). 자료검색일 2009. 10. 23, 자료출처 http://ewhauniform.co.kr/showproduct/shopping_main.asp?key1part2&keyword1Nurse%20Wear;이예영이 2006년 3월 20일 촬영한 고려대학교 수간호사복 

  29. 강은미, 박은주 (2003). 의류제품구매시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의복관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7(1), pp. 29-39 

  30. 안민영, 이연희, 박재옥, 서미아, 진성모 (2006). 업무유형에 따른 유니폼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담배인삼공사 유니폼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2), pp. 306-315 

  31. 한성지, 양리나, 김문숙 (2002). 50-60대 여성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의복평가기준과 구매장소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0(5), pp. 504-517 

  32.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pp. 13-22 

  33. 심순학, 이정옥, 박숙현 (1993). 임상간호사의 간호유니폼에 대한 선호경향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논문집, 14(4), pp. 95-122 

  34.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pp. 861-872 

  35. 이인자 (1998). 직물문양 차이에 따른 이미지 지각. 건국대학교 생활문화 예술 논집, 21, pp. 41-54 

  36. 추선형, 김영인 (2002). 패션 소재의 색채 이미지와 질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pp. 193-204 

  37. Hawkey, B., & Clarke, M. (1990). Dress sense ornonsense? Nursing Times, 86(3), pp. 28-31 

  38. O'Connor, S., & Wright, M. (1990). Removing barriers to communication. Nursing Standard, 5(12), pp. 26-27 

  39. Stubbs, D. A., Buckle, P. W., Hudson, M. P., Butler, P. E., & Rivers, P. M. (1985). Nurse's uniform: An investigation of mo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2(3), pp. 217-229 

  40. Hawkey, B., & Clarke, M. (1990). Dress sense ornonsense? Nursing Times, 86(3), pp. 28-31 

  41. O'Connor, S., & Wright, M. (1990). Removing barriers to communication. Nursing Standard, 5(12), pp. 26-27 

  42. 심순학, 이정옥, 박숙현 (1993). 임상간호사의 간호유니폼에 대한 선호경향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논문집, 14(4), pp. 95-122 

  43. 김선희, 류은정 (2002).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7(3), pp. 455-472 

  44. 심순학, 이정옥, 박숙현 (1993). 임상간호사의 간호유니폼에 대한 선호경향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논문집, 14(4), pp. 95-122 

  45. 김선희, 류은정 (2002).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7(3), pp. 455-472 

  46. 김앙식 (1997). 간호사복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섬유기능대학 논문집, 1, pp. 263-276 

  47. 추선형, 김영인 (2002). 패션 소재의 색채 이미지와 질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pp. 193-204 

  48. 김선희, 류은정 (2002).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7(3), pp. 455-472 

  49. 류미애, 박옥련 (2006). 간호사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1), pp. 349-361 

  50.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pp. 861-872 

  51. 이인자 (1998). 직물문양 차이에 따른 이미지 지각. 건국대학교 생활문화 예술 논집, 21, pp. 41-54 

  52. 김선희, 류은정 (2002).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7(3), pp. 455-472 

  53. 류미애, 박옥련 (2006). 간호사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1), pp. 349-361 

  54. 김선희, 류은정 (2002).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7(3), pp. 455-472 

  55. 김선희, 류은정 (2002).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7(3), pp. 455-4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