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자생 백리향의 추출용매에 따른 페놀함량
Phenol Contents of Solvent Extraction in Several Domestic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8 no.4, 2009년, pp.468 - 474  

백정애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조경학과) ,  백이화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조경학과) ,  장매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역별 백리향 지상부 잎의 phenols 성분의 효과적인 추출을 알아보기 위해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한 결과thymol과 carvacrol을 포함한 phenol함량이 methanol 추출 시 울릉도, 제주 중간산지, 경기도, 제주도 고산지, 강원도 종이 각각 92.21, 84.92, 77.43, 74.16, 73.51%로 추출되었으며, ethanol 추출 시 전체 추출 성분 중 강원도, 제주도 중간산종, 경기도, 울릉도, 제주고산종이 각각 93.64, 93.62, 90.74, 89.52, 72.65% 순으로 나타났다. Hexane을 용매로 추출하였을 때에는 강원도와 울릉도 서식의 백리향은 거의 100, 95.71%의 phenol만 추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yme leaves of aerial part in 5 domestic species was extracted by several solven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xtracts was analyzed by GC-MS to determine the effective solvent for phenol compound extracts. Total phenol contents containing thymol and carvacrol according to methanol extracts of U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4%)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김 등(1994)은 백리향과 섬백리향의 정유성분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들 백리향의 주성분은 shikimic acid 경로로부터 생성되는 phenylpropene계 화합물인 thymol과 carvacrol으로 알려져 있다(Woo, 1999). 따라서 백리향의 향기 성분은 서식지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용매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다양한 항균,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본 연구는 추출용매에 따른 phenols 성분과 휘발성향기물질의 차이를 알아보아 백리향의 방부, 항균, 항산화 활성에 의한 천연방부시장의 수요를 만족시킬만한 유전자원확보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으로 한약재학에서 방부제로 이용되는 식물은 무엇인가? 한약재학에서 방부제로 이용되는 식물로 대표적인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Celak)은 꿀풀과 (Labiatae) 식물로 French, German 백리향(Thymus vulgaris L.) oil의 phenol 함량은 25~42%이며 thymol 이 주성분이고 carvacrol, p-cymen, l-borneol, linanool, β-pinene 등이 있고, Spanish oil은 phenol 함량이 50~70% 이나 대부분이 carvacrol인 것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현대생약학, 1986).
French, German 백리향 oil의 phenol 함량은? 한약재학에서 방부제로 이용되는 식물로 대표적인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Celak)은 꿀풀과 (Labiatae) 식물로 French, German 백리향(Thymus vulgaris L.) oil의 phenol 함량은 25~42%이며 thymol 이 주성분이고 carvacrol, p-cymen, l-borneol, linanool, β-pinene 등이 있고, Spanish oil은 phenol 함량이 50~70% 이나 대부분이 carvacrol인 것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현대생약학, 1986). 또한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육환경은 재배시기나 재배서식지의 자연환경에 의해 생육에 변화가 있으며 식물의 향이나 약용성분 등의 2차대사물질인 성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재배작물 등을 통해 이미 여러 차례 보고된바 있으며 백리향과 유사한 생약으로 Thymus marschallanus는 geraniol 성분이 대표적이며 계절과 시기에 따라 함량과 성분에 변동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Kang et al.
phenols 성분의 효과적인 추출을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에서 어떤 용매를 사용했을 때 강원도와 울릉도 서식의 백리향에서 거의 100, 95.71%의 phenol만 추출되었는가? 65% 순으로 나타났다. Hexane을 용매로 추출하였을 때에는 강원도와 울릉도 서식의 백리향은 거의 100, 95.71%의 phenol만 추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H.R. 2001.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and western herbs. Seoul Women's Univ. Master thesis 

  2. Han, D.Y. 1986. Pharmacognosy. Hakjangsa, pp. 42-44 

  3. Jeong, J.H. and H.B. Lim. 2005.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Elsholtzia splendens. Analitical Science & Technology 18:500-510 

  4. Kang, B.H. 2008. A pictorial book of korean herb medicine resources. 2008. GeoBook, pp. 230-233 

  5. Kang, H.M., I.I. Choi, and I.S. Kim. 2008. Effect of cultural regions or methods on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paprika fruit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7:325-329 

  6. Kim, Y.H., J.C. Lee, and Y.H. Choi. 1994. Essential oils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cov. and Thymus magnus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sci. 2:234-240 

  7. Oh, T.H., S.S. Kim, W.J. Yoon, J.Y. Kim, E.J. Yang, N.H. Lee, and C.G. Hyun. 2009.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Jeju Thymus quinquecostatus essential oils against Propionibacterium species inducing acne. J. Gen. Appl. Microbiol. 55:63-68 

  8. Song, Y.E., C.S. Ku, S.P. Mun, D.H. Kim, J.S. Ryu, J.S. Choi, and Y.G. Choi. 2002. Volatile aroma compound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Labiatae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Korean J. Medicinal Cropsci. 10:120-125 

  9. Woo, W.S. 1999. Method of medicinal chemistry & natural products. Snubook, p. 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