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내륙습지 미나리못의 식생 형성과 물환경과의 관계
Formation of Vegetation in an Inland Wetland, Minarimot, of Jeju Islands, and its Relationship to Water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28 no.4, 2009년, pp.365 - 370  

김명현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한민수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방혜선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정명표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나영은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types of Minarimot, in Jeju Islands. The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by the Z-M school method and cluster analysis. The vegetation in Minarimot was classified into 6 communities and 2 subcommunities: Persicaria thunbergii-Isachne globosa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내륙습지인 미나리못을 대상으로 상세한 식생조사를 통한 군락구분과 이들 군락들의 분포 특성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제주도의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비슷한 유형의 습지와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 제주도의 내륙습지인 미나리못을 대상으로 식물군락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나리못의 식생유형은 기장대풀-고마리군락, 올방개-둥근잎택사군락, 물꼬챙이골-송이고랭이군락, 올방개군락, 큰고랭이 군락, 갈대군락, 부들군락 총 7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의 유형 중 내륙습지 소택형의 특징은?? 습지의 유형은 해안습지, 내륙습지, 인공습지가 있으며, 이 중에서 내륙습지는 다시 하천형, 호수형, 소택형, 수변식생대로 구분된다1). 내륙습지의 소택형은 다른 습지유형에 비하여 높은 생물다양성, 심미적, 관광․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반도 육지에서 대표적인 내륙습지의 소택형으로는 대암산 용늪2-5), 정족산 무제치늪6-9), 양산 신불산 습원10), 수원 칠보산 습원11), 점봉산 습원12) 등이 있으며, 형성 기작, 화분 분석, 식생 및 식물상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되어왔다.
습지의 기능성은? 일반적으로 습지는 영구적 또는 계절적으로 습윤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러한 독특한 환경에 적응된 식생이 서식하고 있는 곳을 말한다1). 특히, 습지는 다양하고 귀중한 동․식물의 유전자원 유지,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주는 탄소의 저장, 환경정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습지의 보전을 위하여 국내에서는 1999년 습지보전법을 제정하였고, 습지의 현황, 특히 동․식물 등의 생물적 자원과 토지이용실태 등 사회․ 경제적 현황, 그리고 오염 현황 등에 대한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조사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습지란? 이러한 자연경관 중에서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곳이 습지(또는 습원)이다. 일반적으로 습지는 영구적 또는 계절적으로 습윤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러한 독특한 환경에 적응된 식생이 서식하고 있는 곳을 말한다1). 특히, 습지는 다양하고 귀중한 동․식물의 유전자원 유지,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주는 탄소의 저장, 환경정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oo, B. H. and Kim, K. G. (2001) Classifying and identifying the charateristics of wetlands in Korea - cases on the inland wetlands, J. Korean Env. Res. Reveg. Tech. 4, 11-25 

  2. Lee, Y. N. (1969) Swamp plants on Mt. Dae-Am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Korean J. Plant Tax. 1, 7-14 

  3. Kang, S. J. (1970) Ecological studies of the raised bog in the Dae-am mountain adjacent to DMZ in Korea (II) - relation between vegetation and peat, Korean J. Plant Tax. 13, 20-24 

  4. Choi, K. R. and Koh, J. K. (1989) Studies on moor vegetation of Mt. Daeam, east-central Korea, Korean J. Ecol. 12, 237-244 

  5. Chang, N. K., Kim, Y. P., O, I. H. and Son Y. H. (1987) Past vegetation of moor in Mt. Daeam in terms of the pollen analysis, Korean J. Ecol. 10, 195-204 

  6. Park, J. K. and Chang, N. K. (1998) Past vegetation of Moojaechi on Mt. Jungjok by pollen analysis, Korean J. Ecol. 21, 427-433 

  7. Kim, J. W. and Kim, J. H. (2003) Vegetation of Moojechi moor in Ulsan: syntaxonomy and syndynamics, Korean J. Ecol. 26, 281-287 

  8. Son, M. W. (2004) Formation process of the second Mujechi moor, J. Korean asso. regi. geograph. 10, 206-214 

  9. Kim, J. W., Kim, J. H., Jegal, J. C., Lee, Y. K. and Choi, K. R. (2005) Vegetation of Mujechi moor in Ulsan: Actual vegetation map and Alnus japonica population, Korean J. Ecol. 28, 99-103 

  10. Kim, J. W. and Han S. U. (2005)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Korean J. Ecol. 28, 85-92 

  11. Koh, J. K., Lee, E. B. and Jeon, E. S. (1995) Studies on moor vegetation and flora of Mt. Chilbo in Suwon city, Nature Cons. 89, 39-50 

  12. Kim, M. H. (2001) Succession process of the mountain moor in Mt. Jumbong, Korea.,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3. Oh, S., Zhin, K. L. and Koh, S. C. (2009) Studies on flora of wetlands on Jeju city for application as natural exploration sites, J. Environ. Sci. 18, 411-422 

  14. Kim, J. W., Lee, Y. K., Lee, Y. J. and Legal J. (1998) Vegetation of parasitic vocanos in Cheju Islands, Bull. Korean Asso. Cons. Nature ser. 17, 23-48 

  15.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niologie, 3rd ed., Springer, Vienna, New York, 865pp 

  16. Podani, J. (2001) Syn-Tax 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ical and systematics, Scientia Publishing, Budapest, Hungary, 53pp 

  17. Kang, B. H., Son, J. K., Lee, S. H. and K, N. C. (2009)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J. Korean Env. Res. Tech. 12, 33-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