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봄철 SWAT 모형의 산림 토양수분과 Terra MODIS 위성영상 NDVI와의 상관성 분석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WAT Predicted Forest Soil Moisture and MODIS NDVI During Spring Season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1 no.2, 2009년, pp.7 - 14  

홍우용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박민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박종윤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하림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박근애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성준 (건국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much the MODI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can explain the forest soil moisture simulated from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For ChungjuDam watershed ($6,661.3\;km^2$) which covers 82.2% of forest, the SWAT mo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식생의 활동이 활발한 봄 기간의 토양수분과 NDVI의 상관성을 시간적으로 분석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SWAT에 의해 모의된 토양수분과 MODIS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한 NDVI와의 봄 기간 산림지역의 공간적, 시간적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유역의 일 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SWAT 모형의 보정과 검증을 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하였다. 토양수분의 추출은 토지이용과 토양의 특성을 고려하는 HRU (Hydrologic Response Unit)를 단위로 하고 일별 토양수분 16일 단위로 평균하여 MODIS NDVI와 비교 분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SWAT에서 모의한 토양수분과 Terra MODIS 위성 영상에서 추출한 NDVI와의 상관관계를 구하는 것이다. 식물이 자라는 봄 (3월~6월)의 산림 지역을 대상으로 NDVI와 시간해상도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16일을 기준으로 한 평균한 토양수분을 공간내삽 (interpolation) 하여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토양수분 분포도를 작성하여 NDVI 영상 자료와 영상 간 비교를 수행하였고, 동일기간의 토양수분과 NDVI 상관성을 분석하여 식으로 나타내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DVI는 어떤 경우 사용하는가? 그러나 모형에서 모의된 토양수분의 신뢰성을 판단할 때는 실측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토양수분의 실측값이 부족하므로, 유역의 토양수분 실측자료 대신 모의된 토양수분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척도가 필요하다. NDVI는 토양수분과 큰 상관성이 있다고 밝혀진 증발산량을 산정할 때도 이용되며 (신사철, 2007), Farrar 등 (1994)은 NDVI와 토양수분이 식물이 자라는 시기에 매우 잘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Hutchinson 등 (2006)은 MODIS NDVI와 LST (Land Surface Temperature)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토양수분 분포도를 작성하는 연구를 하였다.
토양수분이란 무엇이며 어떤 기능을 하는가? 미래 물 부족 현상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물 순환계통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우 및 토양수분의 연구가 필수적이며, 특히 토양수분은 지표의 다양한 과정을 통제하는 중요한 수문학적 변수이며, 침투나 침루를 통하여 강우와 지하수를 연결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증발산을 통하여 에너지 순환을 연결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기후 변화의 측면으로 보아도 계절적 기후변화의 예측가능성은 해수면 온도나 토양수분에 의존하므로 초여름 토양수분의 정보는 여름의 기온예측개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Rind, 1982).
토양수분의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어려운 까닭은 무엇인가?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토양수분의 정보를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정확한 토양수분의 실측자료는 그 설치비용과 인력부족으로 매우 빈약하여 이를 대체할 만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요즘, 많은 수문모형의 개발로 토양수분 또한 결과물로써 많이 이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T. Y., 2003. Development of drought map based on climatic water balance using satellite data. Master thesis, Andong University 

  2. Farrar, T. J., 1994. The influence of soil typ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NDVI, rainfall, and soil moisture in semiarid Botswana; . NDVI response to soil moisture, Remote Sensing of Environ., 50(2): 121-133 

  3. Huete, A. R., K. Didan, T. Miura, E. P. Rodriguez, X. Gao & L. G. Ferreira, 2002. Overview of the radiometric and biophysical performance of the MODIS vegetation indic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 195-213 

  4. Hutchinson, J. M. S. & T. J. Vought, 2006. Continuous soil moisture mapping using MODIS NDVI and LST products, Papers of the Applied Geography Conferences, 29: 140-149 

  5. Hwang, T. H., B. S. Kim, H. S. Kim & B. H. Seo, 2006. The Estimation of soil moisture index by SWAT model and drought monitor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6(4B): 345-354 

  6. Jang, J. S., 2003. Introduction of hydrologic models and parameters, Korean Commission on Irrigation and Drainage Journal, 10(1): 95-102 

  7. Nash, J. E. & J. E. Sutcliffe,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10(3): 282-290 

  8. Park, E. J., C. S. Hwang & J. C. Seong, 2002. The analysis of drought susceptivility using soil moisture information and spatial factor involved in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3): 481-492 

  9. Park, J. Y., M. S. Lee, Y. J. Lee & S. J. Kim, 2008. The analysis of future land use change impact on hydrology and water quality using SWAT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2B): 187-197 

  10. Park, M. J., Y. J. Lee, H. J. Shin & S. J. Kim, 2008.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son hydrological behavior of dam watershed using SWAT-K model, 2008 ASABE Annual International Meeting 

  11. Rind, D., 1982. The influence of ground moisture conditions in North America on summer climate as modeled in the GISS GCM, Monthly Weather Rev., 100: 501-526 

  12. Shin, S. C. & T. Y. An. 2007.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광역증발산량의 산정방법 개발,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0(2): 70-80 

  13. 기상청 홈페이지: http://www.kma.go.kr. Accessed 9 May 2008 

  14. NASA WIST Primary Data Search: https://wist.echo.nasa.gov/api. Accessed 29 Apr.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