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세포 특이적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자생식물 추출물의 항암 효과
Anti-cancer Activity of Korean Local Plant Extracts Inducing Apoptosis in Various Carcinoma Cell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0 no.1 = no.156, 2009년, pp.6 - 12  

윤이관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량생명공학과) ,  이승은 (농촌진흥청 인삼특작부) ,  이동진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량생명공학과) ,  노문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산업기술연구센터) ,  성정숙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  박충범 (농촌진흥청 인삼특작부) ,  장영주 (단국대학교, 나노바이오의과학과, 세포주기신호전달연구실 & 조직재생공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rty five methanol extracts from 19 natural local plants, which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anti-cancer medicine, were prepared. They were analyzed the cytotoxic effects on primary fibroblast cells and carcinoma cells. The root extract of Solanum nigrum were highly toxic in both cell lines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암세포 특이적인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항암효과를 가지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1 차로 자생식물과 같은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다량의 후보물질을 이용하여 스크리닝 한 후 많은 종류의 후보 물질을 확보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한국의 전통적인 약용식물로 알려진 다양한 자생식 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암세포 특이적인 세포 사멸 유도능이 있는 항암 후보 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스크리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포사멸 현상은 왜 필수적인 과정인가? 세포사멸 현상 (apoptosis 또는 programmed cell death)은 정상적인 발생 단계 및 생리 작용에서 세포의 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인간에 발생하는 다양한 암에서 세포사멸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세포사멸 기전의 파괴는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화되는 주요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세포 사멸 유도를 위한 약물 개발이 임상 단계에서 개발이 제한됨에 따라 어떤 방법으로 개발을 하는 것이 좋다고 보는가? 15-16) 최근 세포 사멸 유도를 위한 다양한 약물의 스크리닝 실험들이 진행 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후보 약물들이 낮은 항암 효율과 약물에 대한 저항성 유발 때문에 전 임상 단계에서 개발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암세포 특이적인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항암효과를 가지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1 차로 자생식물과 같은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다량의 후보물질을 이용하여 스크리닝 한 후 많은 종류의 후보 물질을 확보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한국의 전통적인 약용식물로 알려진 다양한 자생식 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암세포 특이적인 세포 사멸 유도능이 있는 항암 후보 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스크리닝 결과를 제시하였다.
약용자생식물은 어떻게 다양하게 사용되는가? 최근 세계 각국에서 자생 자원 식물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인간에게 유용한 식물에 대한 기본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특히 약용자생식물은 그 이용가치가 매우 높으며, 항암, 항염제를 비롯한 신약 개발, 건강식품의 소재 및 신기능성 소재의 자원으로써 응용되고 있을 만큼 응용분야도 다양하다.1) 식물의 종류 뿐 아니라 식물의 각 부위별 쓰임새도 매우 다양한데, 대표적인 예로 인삼, 당귀, 작약 등은 다양한 기능으로 수요가 많은 중요한 약초로써 대부분 뿌리만 사용되어왔지만, 최근 작약의 경우 지상부인 꽃잎, 줄기, 그리고 잎으로부터도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 동정하였다는 보고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Lee, C. H., Lee, H. K., Park, K. K., Park, C. H., Lee, B. Y., Sung, R. S. and Lee, S. H. (2002) Use of Resources a Plant for Biotechnology Industry development. Research Center for Bioresource and Health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 Kim, S. J., Park, J. H., Choi, S. Y., Son, K. H. and Kim, K. U. (2007) Isolated and identification of biological activity compounds from leaves and stem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 6-11 

  3. Lee, S. R., Lee, J. I. and Jung, K. J. (2004) Anticancer Medical Herbs of Korea. Jinsol Publishing company 

  4. Lee, K. H., Cho, C. H. and Yoon, W. H. (2004)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mansonone E isolated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5: 199-202 

  5. Lim, S. Y. (2007) Effect of extracts from root bark of Ulmus parvifolia on inhibition of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Journal of Life Science. 17: 1232-1236 

  6. Park, S. J., Yoo, H. J., Choi, H. S., Seo, B. Y., Yang, S. H., Kim, Y. H., Jeong, J. Y. and Lee, K. N. (2004) Effects of Saururus chinensis Bail extracts on anticancer activity and cadmium induced cytotoxicity.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ine. 8: 81-98 

  7. Kwon, Y. M., Lee, J. H. and Lee, M. W. (2002) Phenolic compounds from barks of Ulmus macrocarpa and its antitoxidativ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3: 404-410 

  8. Hu, W. and Kavanagh, J. J. (2003) Anticancer therapy targeting the apoptotic pathway. The Lancet Oncologyol. 4: 721-729 

  9. Kaufmann, S. H. and Vaux, D. L. (2003) Alterations in the apoptotic machinery and their potential role in anticancer drug resistance. Oncogene. 22: 7414-7430 

  10. Fulda, S. and Debatin, K. (2004) Exploiting death receptor signaling pathways for tumor therapy.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CR. Reviews on Cancer. 1705: 27-41 

  11. Pisano, M., Pagnan, G., Loi, M., Mura, M. E, Tilocca, M. G., Palmieri, G., Fabbri, D., Dettori, M. A., Delogu, G., Ponzoni, M. and Rozzo, C. (2007)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activity of eugenol-related biphenyls on malignant melanoma cells. Molecular Cancer. 6: 8-19 

  12. LeBlanc, H. N. and Ashkaenazi, A. (2003) Apo2L/TRAIL and its death and decoy receptors. Cell Death and Differentiation. 10: 66-75 

  13. Baetu, T. M. and Hiscott, J. (2002) On the TRAIL to apoptosis. Cytokine Growth Factor Rev. 13: 199-207 

  14. Trauzold, A., Wermann, H., Arlt, A., Schutze, S., Schafer, H., Oestern, S., Roder, C., Ungefroren, H., Lampe, E., Heinrich, M., Walczak, H. and Kalthoff, H. (2001) CD95 and TRAIL receptor-mediated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C and NF-kappaB contributes to apoptosis resistance in ductal pancreatic adenocarcinoma cells. Oncogene. 20: 4258-4269 

  15. Jaattela, M. (2002) Programmed cell death: many ways for cells to die decently. Annals of Medicine. 34: 480-488 

  16. Reed, J. C. (2002) Apoptosis-based therapies.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1: 111-121 

  17. Ku, J. L. and Park, J. G. (2005). Biology of SNU cell lines.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37: 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