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동종의 과학적 분석과 보존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Goryeo Bronze Bell at Buyeo National Museum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10, 2009년, pp.1 - 13  

이선명 (국립부여박물관 보존과학실) ,  남궁승 (국립부여박물관 보존과학실) ,  김연미 (국립부여박물관 보존과학실) ,  김종오 (국립부여박물관 보존과학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범종은 일부가 결실된 상태이며, 표면은 부식물과 매장당시 고착된 흙, 먼지 등으로 곳곳이 오염된 상태이다. 동종의 분석 결과, 주요 성분으로 Cu 74.18%, Sn 9.58%, Pb 15.77%가 검출되었고 기타 미량성분으로 As, Fe, Sb, Bi, Ag가 확인되었다. 동종의 미세조직은 α상 기지에 부분적으로 흰색(α+δ)공석상이 관찰되고 곳곳에서 회색 개재물(S)과 검은색 개재물(Pb 편석)이 분포하였다. 동종의 안정적 보존을 위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art of the bronze bell from Goryeo (918-1392) in the collection of Buyeo National Museum was missing, and it was noted to retain corrosion products and burial accretions.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ronze bell is Cu (74.18%), Sn (9.58%), Pb (15.77%), and very sm...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4. 동종은 과학적 분석을 수행 한 후, 안정적인 보존관리를 위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처리는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부식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안정화처리 및 표면 강화처리를 실시하였다.
  • 안정화 처리 후, 산화를 방지하고 표면강도를 높이기 위해 강화처리를 실시하였다. 강화처리는 아크릴계 합성수지인 Paraloid B-72(in Acetone) 8wt% 용액을 사용하여 유화 붓으로 도포한 후, 자연건조 하였다. 처리과정에서 강화제가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표면에 도포되도록 아세톤을 스프레이와 붓을 사용하여 정리하였다.
  • 건조된 시편은 에칭액 (FeCl3+HCl+Ethyl Alcohol)을 이용하여 부식시켰으며 자동계수기가 장착된 Nikon Eclipse E 600W 편광/반사 겸용 현미경으로 칼라상 조직을 관찰하였다. 또한 표면을 금(Au) 코팅한 후 미세조직의 산출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TESEM, VEGAⅡ LMH, TESCAN, Czech)을 이용하였고 여기에 장착된 에너지 분산형 성분분석기(EDS X Flash detector, Bruker AXS, Germany)를 이용하여 미소부위의 화학조성을 분석하였다.
  • 동종은 부분적으로 결실되었으며, 표면이 부식물로 덮인 상태에서 출토 후, 즉시 보존처리가 이뤄지지 않아 흙,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고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동종의 안정적인 보존 관리를 위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 또한 곳곳에서 부정형의 검은색 개재물이 관찰되어 SEM-EDS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결과(Fig.
  • 이 연구에서는 부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시대 동종을 대상으로, 보존처리에 앞서 형태적 특징을 살피고 처리 전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하였다. 또한 비파괴 분석을 통해 성분분석과 미세조직 관찰을 실시하여 동종의 재질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범종의 보존처리 과정을 정리하였다. 이 자료가 동종의 보존 관리뿐만 아니라 자료가 미진한 고려시대 동종의 제작기술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또한 파단면 중 바탕금속이 잘 남아 있는 부분을 대표지점으로 선정하고 범종을 이루는 금속재료의 화학조성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형 X-선형광분석기(P-XRF, ArtTAX Basic, Bruker AXS, Germany)를 이용하여 표면 비파괴 분석을 수행하였다.
  • +HCl+Ethyl Alcohol)을 이용하여 부식시켰으며 자동계수기가 장착된 Nikon Eclipse E 600W 편광/반사 겸용 현미경으로 칼라상 조직을 관찰하였다. 또한 표면을 금(Au) 코팅한 후 미세조직의 산출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TESEM, VEGAⅡ LMH, TESCAN, Czech)을 이용하였고 여기에 장착된 에너지 분산형 성분분석기(EDS X Flash detector, Bruker AXS, Germany)를 이용하여 미소부위의 화학조성을 분석하였다.
  • 보존처리 중 탈락된 미세편을 수습하여 전처리 후, 현미경을 통해 미세조직 관찰을 하였다. 관찰 결과 동종의 미세 조직은 구리빛의 α상 기지에 부분적으로 흰색(α+δ)공석상이 관찰되는 것으로 특별한 열처리 없이 주조되어 서서히 냉각된 조직 형태를 보였다.
  • 보존처리는 동종의 처리 전 상태 진단을 통해 표면에 생성된 부식물이 안정화된 상태임을 확인하여 표면 이물질을 제거하고 더 이상 부식이 진행되지 않도록 안정화처리 및 강화처리를 실시하였다(Fig. 10). 처리 후 동종의 무게는 5.
  • 부식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 B.T.A. (in Ethyl Alcohol) 3wt% 용액을 유화붓을 이용하여 표면에 도포하고 일주일 간 자연건조 하였다. 건조 후 나타나는 흰색 B.
  • 분석대상 동종은 소형종으로, 위치에 따른 조성비의 차를 고려하지 않고 최대한 바탕금속이 잘 드러난 부분을 선정하여 재료의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측정위치는 Fig 6과 같으며, 3지점에 대하여 실시하고 각 측정결과에 대한 평균을 내었다(Table 1).
  • 동종의 미세조직 관찰은 보존처리 도중 탈락된 미세편을 수습하여 시료로 이용하였다. 수습된 시료는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 한 후 연마지 #800, #1200, #2000, #2400까지 순차적으로 연마하고 연마포 (MD-Dur, MDNap)에 연마제(DP-suspension 6㎛, 3㎛, 1㎛)를 뿌리면서 시료에 스크래치가 없을 때까지 연마하였다. 사용한 연마기는 Topmet Minipol이다.
  • 안정화 처리 후, 산화를 방지하고 표면강도를 높이기 위해 강화처리를 실시하였다. 강화처리는 아크릴계 합성수지인 Paraloid B-72(in Acetone) 8wt% 용액을 사용하여 유화 붓으로 도포한 후, 자연건조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동종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밀하게 관찰하기 위해 이동식 실체현미경(Leica M651)을 이용하였고,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내부구조는 X-ray투과탐상 조사(TVX-1160)를 통해 확인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부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시대 동종을 대상으로, 보존처리에 앞서 형태적 특징을 살피고 처리 전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하였다. 또한 비파괴 분석을 통해 성분분석과 미세조직 관찰을 실시하여 동종의 재질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범종의 보존처리 과정을 정리하였다.
  • 65㎜이다. 조성 분석에 앞서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검증된 청동 표준시료로 생성한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이와 동일한 측정조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이와 같이 표준시료로 생성한 데이터로 보정한 100% 환산치이며, 표면분석에 의한 분석오차를 감안하여 해석하였다.
  • 강화처리는 아크릴계 합성수지인 Paraloid B-72(in Acetone) 8wt% 용액을 사용하여 유화 붓으로 도포한 후, 자연건조 하였다. 처리과정에서 강화제가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표면에 도포되도록 아세톤을 스프레이와 붓을 사용하여 정리하였다.
  • 동종은 과학적 분석을 수행 한 후, 안정적인 보존관리를 위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처리는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부식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안정화처리 및 표면 강화처리를 실시하였다.
  • 한편,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범종의 부식정도와 내부구조 및 결함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X-ray 투과탐상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 천판상의 구멍 주변에서 육안으로 볼 수 없었던 불규칙한 균열이 발생하여 재질이 약화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Fig.

대상 데이터

  • (in Ethyl Alcohol) 3wt% 용액을 유화붓을 이용하여 표면에 도포하고 일주일 간 자연건조 하였다. 건조 후 나타나는 흰색 B.T.A. 결정은 붓, 면봉, 에탄올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 동종의 미세조직 관찰은 보존처리 도중 탈락된 미세편을 수습하여 시료로 이용하였다. 수습된 시료는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 한 후 연마지 #800, #1200, #2000, #2400까지 순차적으로 연마하고 연마포 (MD-Dur, MDNap)에 연마제(DP-suspension 6㎛, 3㎛, 1㎛)를 뿌리면서 시료에 스크래치가 없을 때까지 연마하였다.
  • 75%) 함유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구리광석 중 황(S)과 철(Fe)을 포함하는 황동석(CuFeS2) 혹은 반동석(Cu5FeS4)을 원광석으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곳곳에서 관찰되는 검은색 개재물은 Pb 편석물이거나 Pb 편석물이 빠져나간 부분으로, Cu 또는 Sn과의 고용도가 거의 없고 용융점이 낮아 응고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불순물이 혼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수습된 시료는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 한 후 연마지 #800, #1200, #2000, #2400까지 순차적으로 연마하고 연마포 (MD-Dur, MDNap)에 연마제(DP-suspension 6㎛, 3㎛, 1㎛)를 뿌리면서 시료에 스크래치가 없을 때까지 연마하였다. 사용한 연마기는 Topmet Minipol이다. 연마가 끝난 시편은 표면에 연마제가 남아있지 않도록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켰다.
  • 연구대상인 동종은 충남 논산시 벌곡면에서 출토된 발견매장문화재 국가귀속품이다. 이 동종은 높이 34.

데이터처리

  • 조성 분석에 앞서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검증된 청동 표준시료로 생성한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이와 동일한 측정조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이와 같이 표준시료로 생성한 데이터로 보정한 100% 환산치이며, 표면분석에 의한 분석오차를 감안하여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이란? 종(鐘)은 금속으로 주조한 타악기의 일종으로, 경종(警鍾), 시종(時鐘) 등 그 용도의 범위가 넓지만 우리나라에서 종이라 함은 동제 범종1)을 말한다. 우리나라 범종은 중국이나 일본의 범종과는 달리 뛰어난 청동 주조기술을 바탕으로 독특한 양식과 구조를 가지며 소리가 맑고 긴 여운을 가지는 특징으로 인해 한국종이라는 학명으로까지 불릴 만큼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 범종의 특징은 무엇인가? 종(鐘)은 금속으로 주조한 타악기의 일종으로, 경종(警鍾), 시종(時鐘) 등 그 용도의 범위가 넓지만 우리나라에서 종이라 함은 동제 범종1)을 말한다. 우리나라 범종은 중국이나 일본의 범종과는 달리 뛰어난 청동 주조기술을 바탕으로 독특한 양식과 구조를 가지며 소리가 맑고 긴 여운을 가지는 특징으로 인해 한국종이라는 학명으로까지 불릴 만큼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2)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범종의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범종은 일부가 결실된 상태이며, 표면은 부식물과 매장당시 고착된 흙, 먼지 등으로 곳곳이 오염된 상태이다. 동종의 분석 결과, 주요 성분으로 Cu 74.18%, Sn 9.58%, Pb 15.77%가 검출되었고 기타 미량성분으로 As, Fe, Sb, Bi, Ag가 확인되었다. 동종의 미세조직은 α상 기지에 부분적으로 흰색(α+δ)공석상이 관찰되고 곳곳에서 회색 개재물(S)과 검은색 개재물(Pb 편석)이 분포하였다. 동종의 안정적 보존을 위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