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ipopolysaccharide로 활성화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애엽(艾葉) 물추출물의 면역활성 연구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Artemisiae Argi Folium on Mouse Macrophage Stimulated by LP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4 no.1, 2009년, pp.151 - 157  

박완수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Artemisiae Argi Folium (WAAF) on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Methods : Cell viabilities were measured by MTT assay. And the intracellular productions of hydrogen pe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온경지혈약(溫經止血藥)으로 분류되면서, 소복냉통(少腹冷痛), 월경부조, 궁랭불잉(宮冷不孕), 토혈(吐血), 뉵혈(衄血), 붕루경다(崩漏經多)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애엽(Artemisiae Argi Folium; dry leaf of Artemisia argyi Levl. et Vant.)9,10)의 물추출물이 Lipopolysaccharide(LPS)로 활성화된 마우스 대식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실험을 수행하고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cells의 TNF-α와 IL-6 생성과 관련된 시료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시행한다.
  • 그러므로 여러 가지 산화적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들로 인해 mouse의 대식세포내에서 대량으로 발생 하는 hydrogen peroxide의 수준을 dihydrorhodamine 123 assay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LPS에 의해 유발하는 세포내 H2O2 생성감소에 대한 시료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되도록 1×105 cells/mL의 cell을 100 uL씩 넣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버리고 배양세포 표면을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용액으로 씻어주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인체 면역체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대식세포의 면역활성과 관련하여 LPS로 마우스 대식세포의 생존율 감소, 세포 내 hydrogen peroxide 생성 억제, 염증유발 cytokine인 TNF-α와 IL-6 생성 증가를 유발하고, 이에 대한 艾葉 물추출물(WAAF)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LPS로 유발되는 마우스 대식세포의 생존율감소, hydrogen peroxide 생성억제, TNF-α와 IL-6의 생성증가에 대한 애엽(艾葉) 물추출물 WAAF 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가면역질환은 무엇이며, 그 원인은 어떠한가? 자가면역질환(自家免疫疾患; autoimmune disease) 이란 인체 내의 면역체계가 정상적이면서 건강한 자신의 조직, 기관, 세포 등을 공격하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직까지 그 원인이나 자세한 기전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유전적 요소, 환경의 영향, 호르몬 분비이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자가면역질환은 전신성 질환과 기관국한성질환으로 나뉘는데, 전신성 질환이란 자가면역반응의 대상이 되는 항원이 전신의 기관에 존재 하는 것이며, 기관국한성 질환이란 체내에 있는 기관중 어느 하나의 기관에 있는 항원에만 작용하는 면역질환이다.
자가면역질환 중 전신성 질환과 기관국한성 질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자가면역질환은 전신성 질환과 기관국한성질환으로 나뉘는데, 전신성 질환이란 자가면역반응의 대상이 되는 항원이 전신의 기관에 존재 하는 것이며, 기관국한성 질환이란 체내에 있는 기관중 어느 하나의 기관에 있는 항원에만 작용하는 면역질환이다. 전신성 자가면역질환에는 전신성 홍반성 낭창,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근염, 피부경화증 등이 있으며, 기관국한성 자가면역질환에는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아디손병(addisons disease;부신피질기능부전병) 등이 있다3,4). 이러한 질환들은 면역체계이상의 원인을 완전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치료는 주로 염증반응의 억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으로 인한 초기 증상은 어떠한가?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만성염증성 관절염)은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서 신체의 결합조직, 특히 관절부위에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전신질환이므로 신체 어느 곳에나 증세가 나타날 수 있고 여러 가지 전신 증상을 동반한다. 초기에는 주로 다발성 관절통, 즉 무릎, 발목, 발가락, 팔꿈치, 손목, 손가락 등의 관절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며 손가락 마디가 방추형으로 부으면서 통증이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증세들은 만성적으로 진행되어 차츰 관절의 변형, 종창, 근육위축 그리고 관절파괴 등을 일으키게 된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Ryan JG, Kastner DL. Fevers, genes, and innate immunity. Curr Top Microbiol Immunol. 2008 ; 321 : 169-84. 

  2. Bennett MK, Kirk CJ. Development of proteasome inhibitors in oncology and autoimmune diseases. Curr Opin Drug Discov Devel. 2008 ; 11 : 616-25. 

  3. Li L, Yi Z, Tisch R, Wang B. Immunotherapy of type 1 diabetes. Arch Immunol Ther Exp (Warsz). 2008 ; 56 : 227-36. 

  4. Farasat S, Aksentijevich I, Toro JR. Autoinflammatory diseases: clinical and genetic advances. Arch Dermatol. 2008 ; 144 : 392-402. 

  5. Danila MI, Hughes LB, Bridges SL. Pharmacogenetics of etanercept in rheumatoid arthritis. Pharmacogenomics. 2008 ; 9 : 1011-15. 

  6. Boyer JF, Cantagrel A, Constantin A. Impact of traditional therapies and biologics on cardiovascular diseases in rheumatoid arthritis. Curr Vasc Pharmacol. 2008 ; 6 : 218-27. 

  7. Minami M, Shimizu K, Okamoto Y, Folco E, Ilasaca ML, Feinberg MW, Aikawa M, Libby P. Prostaglandin E receptor type 4-associated protein interacts directly with NF-kappaB1 and attenuates macrophage activation. J Biol Chem. 2008 ; 283 : 9692-703. 

  8. Gelderman KA, Hultqvist M, Pizzolla A, Zhao M, Nandakumar KS, Mattsson R, Holmdahl R. Macrophages suppress T cell responses and arthritis development in mice by producing reactive oxygen species. J Clin Invest. 2007 ; 117 : 3020-8. 

  9.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 : 영림사. 1991 : 405-7. 

  10. 김호철. 한약약리학. 서울 : 집문당. 2001 : 309-311. 

  11.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1983 ; 65 : 55-63. 

  12. Ferrari M, Fornasiero MC, Isetta AM. MTT colorimetric assay for testing macrophage cytotoxic activity in vitro. J Immunol Methods. 1990 ; 131 : 165-72. 

  13. Oez S, Platzer E, Welte K. A quantitative colorimetric method to evaluate the functional state of human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Blut. 1990 ; 60 : 97-102. 

  14. Gerlier D, Thomasset N. Use of MTT colorimetric assay to measure cell activation. J Immunol Methods. 1986 ; 94 : 57-63. 

  15. Roesler J, Hecht M, Freihorst J, Lohmann-Matthes ML, Emmendorffer A. Diagnosis of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and of its mode of inheritance by dihydrorhodamine 123 and flow microcytofluorometry. Eur J Pediatr. 1991 ; 150 : 161-5. 

  16. Crow JP. Dichlorodihydrofluorescein and dihydrorhodamine 123 are sensitive indicators of peroxynitrite in vitro: implications for intracellular measurement of reactive nitrogen and oxygen species. Nitric Oxide. 1997 ; 1 : 145-57. 

  17. van Pelt LJ, van Zwieten R, Weening RS, Roos D, Verhoeven AJ, Bolscher BG. Limitations on the use of dihydrorhodamine 123 for flow cytometric analysis of the neutrophil respiratory burst. J Immunol Methods. 1996 ; 191 : 187-96. 

  18. Jirapongsananuruk O, Malech HL, Kuhns DB, Niemela JE, Brown MR, Anderson-Cohen M, Fleisher TA. Diagnostic paradigm for evaluation of male patients with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based on the dihydrorhodamine 123 assay. J Allergy Clin Immunol. 2003 ; 111 : 374-9. 

  19. Richardson MP, Ayliffe MJ, Helbert M, Davies EG. A simple flow cytometry assay using dihydrorhodamine for the measurement of the neutrophil respiratory burst in whole blood: comparison with the quantitative nitrobluetetrazolium test. J Immunol Methods. 1998 ; 219 : 187-93. 

  20. Li H, Wang L, Yang Z, Kitanaka, S. Kadsuralignans H-K from Kadsura coccinea 

  21. Hultqvist M, Backlund J, Bauer K, Gelderman KA, Holmdahl R. Lack of reactive oxygen species breaks T cell tolerance to collagen type II and allows development of arthritis in mice. J Immunol. 2007 ; 179 : 1431-7. 

  22. Hultqvist M, Olofsson P, Holmberg J, Backstrom BT, Tordsson J, Holmdahl R. Enhanced autoimmunity, arthritis, and encephalomyelitis in mice with a reduced oxidative burst due to a mutation in the Ncf1 gene. Proc Natl Acad Sci USA. 2004 ; 101 : 12646-51. 

  23. Kim MJ, Han JM, Jin YY, Baek NI, Bang MH, Chung HG, Choi MS, Lee KT, Sok DE, Jeong TS.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Jaceosidin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cv. Sajabal. Arch Pharm Res. 2008 ; 31 : 429-37. 

  24. Ryu SY, Oak MH, Kim KM. Yomogin inhibits the degranulation of mast cells and the production of the nitric oxide in activated RAW 264.7 cells. Planta Med. 2000 ; 66 : 171-3.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