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가스분석검사기의 일종인 Oral $Chroma^{(R)}$(CHM-1, Osaka, Japen)를 이용하여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질환 판정검사에서 이상소견을 가진 환자에서 구취를 일으키는 휘발성 황화합물을 측정 비교하여 전신질환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12.0(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구강검사(CPI index, 탐침 시 출혈 유무, 설태의 유무) 결과 및 각 검사별 전신질환의 유무에 따른 황화수소, 메틸 머캅탄, 황화 디메틸의 농도를 교차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휘발성 황화합물과 관계있는 질환은 간질환과 담낭질환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외 골밀도와 혈압, 지질검사 등에서의 관련성도 관찰되어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ic diseases and oral malodor. The author measured the volatile sulfur compound(VSC) of the patients who visited Pusan National University Health Promote Center for a comprehensive medical testing. The patients were examined gin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HM-1, Osaka, Japen)를 이용하여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질환 판정검사에서 이상소견을 가진 환자에서 구취를 일으키는 휘발성 황화합물을 측정 비교하여 전신질환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저자는 구취의 원인에 대한 광범위한 진단기준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전신질환에 원인이 있는 경우 필요한 검사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스분석검사기의 일종인 Oral Chroma (CHM-1, Osaka, Japen)를 이용하여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질환 판정검사에서 이상소견을 가진 환자에서 구취를 일으키는 휘발성 황화합물을 측정 비교하여 전신질환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저자는 구취의 원인에 대한 광범위한 진단기준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전신질환에 원인이 있는 경우 필요한 검사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신질환을 평가하는 검사법과 구취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부산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구강검진을 포함하여 전신질환에 대한 종합검진을 시행한 환자들 중 본 연구에 동의한 182명(남 112명, 여 70명, 연령분포 20∼72세)을 대상으로 구강검사 및 전신질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고, Oral ChromaⓇ로 구취의 지표가 되는 구강 내 휘발성 황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 이 등19)은 이에 대한 연구를 시행한 바 있으나 표본수가 작고 조사한 질환 수도 작은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질환과 휘발성황화합물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했다. 부산대학교 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구강검진을 포함한 전신질환에 대한 종합검진을 시행한 환자들 중 본 연구에 동의한 182명을 대상으로 가스분석검사기의 일종인 Oral Chroma를 이용하여 구취를 측정하여 전신질환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질환과 휘발성황화합물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했다. 부산대학교 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구강검진을 포함한 전신질환에 대한 종합검진을 시행한 환자들 중 본 연구에 동의한 182명을 대상으로 가스분석검사기의 일종인 Oral Chroma를 이용하여 구취를 측정하여 전신질환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것은 구강 내 요인과 상관성이 적었던 황화합물은 황화디메틸이였다는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보인다. 이는 구강 내 요인은 주로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의 농도에 주로 영향을 미치며 폐기능 장애는 황화 디메틸의 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만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 향후 좀 더 많은 표본을 확보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는 무엇을 말하는가? 구취는 구강 및 인접기관에서 나는 불유쾌한 냄새로 일반적으로 호기의 냄새 중에서도 타인으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악취를 말한다.1,2) 복잡하고 다양한 대인관계를 맺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구취는 사회생활 및 정신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왔다.
구취의 원인은 어떻게 나누어 볼 수 있는가? 1,2) 복잡하고 다양한 대인관계를 맺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구취는 사회생활 및 정신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왔다. 3) 구취의 원인은 크게 나누어 전신적 원인, 구강 내 원인, 심인적 원인, 생리적 원인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신적 원인으로는 신장질환, 간질환, 당뇨, 호흡기장애, 탈수 등에 의하여 구취가 발생될 수 있으며, 4) 공복, 기상, 월경, 흡연, 약물 섭취 시에도 생리적으로 구취가 발생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구취의 원인 중 심인적 원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전신적 원인으로는 신장질환, 간질환, 당뇨, 호흡기장애, 탈수 등에 의하여 구취가 발생될 수 있으며, 4) 공복, 기상, 월경, 흡연, 약물 섭취 시에도 생리적으로 구취가 발생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5) 심인적 원인으로는 가상 구취, 구취 공포증, 자가 구취 등이 있으며, 6,7) 구강 내 원인으로는 불량한 구강 위생상태, 치주질환, 설태, 식편 압입, 비위생적인 의치, 부적절한 보철물, 구강암종 등을 들 수 있다. 2,4,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osenberg M, Septon I, Eli I et al. Halitosis measurement by an industrial sulphide monitor. J Periodontol 1991;62:487-489 

  2. Tonzetic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 A review of mechanism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l 1977;48:13-20 

  3. 손원영, 전양현, 이진용, 조한국, 홍정표. 타액선 기능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8;23:353-359 

  4. Spielman AI, Bivona P, Rifkin BR. Halitosis. A common oral problem. Dent J Dec 1996;62(10):36-42 

  5. Tonzetic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 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l 1977;48:560-567 

  6. Hawkin C. Real and imaginary halitosis. Br Med J 1987;294:200-201 

  7. Uchida Y. Case of self-halitosis patient. Dent Outlook 1974;43:724-726 

  8. Berg M, Fosdisk L.S. Studies in periodontal disease, II. Putrefactive organism in mouth. J Dent Res 1946;25:73-81 

  9. Mcnamara TF, Alexander JF, Lee M. The role of microorganism in the production of oral malodor. Oral Surg 1972;34:41-48 

  10. Spouge JD. Halitosis - A review of its causes and treatment. DentPractit 1964;14:307-317 

  11. Finkelstein Y, Talmi Yp, Bar Z J, Zohar Y. Otitis media with effusion as a presenting symptom of chronic sinusitis. J Laryngol Otol 1989;103:827-832 

  12. Finkelstein Y, Ophir D, Talmi YP. Adult-onset otitis media with effusion.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4;120:517-527 

  13. Tonzetich J. Oral malodor-An indicator of health status and oralcleanliness. Int Dent J 1977;28:309-319 

  14. Attia E.L., Marshall K.G. Halitosis. Can Med Assoc J 1982;126:1281-1285 

  15. 장수경, 안용우, 고명연, 박준상. 구취와 타액 내 아미노산의 상관성 비교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4;29:11-19 

  16. Rosenberg M. Bad Breath-Diagnosis and treatment. U Toronto Dent 1990;3:7-11 

  17. Rosenberg. Bad Breath Research Perspectives. 2nd ed, Seoul, 1998, Shinhung Inc, pp. 132-133 

  18. Chen S, Zieve L, Mahadevan V. Mercaptans and dimethyl sulfide in the breath of patients with cirrhosis of liver. Effect of feeding methionine. J Lab Clin Med 1970;75:628-635 

  19. 이돈녕, 안용우, 고명연, 박준상. 전신질환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4;29:119-126 

  20. Nara 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litosis and oral conditions of the periodontal patients. J Jpn Assoc Periodontol 1977;19:100-108 

  21. Solis-Gaffer M, Niles H.P. Instrumental evaluation of mouth odor in a human clinical study. J Dent Res 1975;54:351-357 

  22. Tachibana Y. The relation between pyorrhea alveolaris and H2S producing bacteria in human mouth. J Stomatol Soc Jpn 1957;24:219-221 

  23. Tonzetich J. Direct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sulphur compounds in mouth air in man. Arch Oral Biol 1971;16:587-597 

  24. Rosenberg M, Septon I, Eli I, Brenner S, Gelemter I, Gabbay J. Halitosis measurement an industrial sulphide moniter. J periodontol 1991;62:487-489 

  25. 김영구, 구취(Oral Malodor) 입냄새의 원인과 치료방법. 서울, 2008, 신흥인터내셔날, pp. 16-103 

  26. Richter J L. Diagnosis and treatment of halitosis. Compendium of Continuing Education in Dentistry 1996;17:370-372 

  27. Scully C, Oprter S R, Greenman J et al. Breath odour : etiopathogenesis, assessment, and management. European J Oral Sciences 1997;105:285-293 

  28. Gorden S M, Szidon J P, Krotoszyasky B K et 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exhaled air for patients with lung cancer. Clin Chem 1985;31:1278-1282 

  29. ABILIT Co. : User's Guide Version 3.00, Osaka, 2003, ABILIT Co., pp. 29-30 

  30. Akiko Amano, Yasuo Yoshida, Takahiko Oho, Toshihiko Koga : Monitoring ammonia to assess halitosis.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ology 2002;94:692-6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