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표에 노출된 폐광미의 산화작용으로 인해 용출된 비소와 중금속들이 광산주변 환경에 심각한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황화광물의 산화작용과 이차 광물의 생성 및 변질과 같은 다양한 작용들이 비소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광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대상 광미는 강원도 정선군에 위치한 낙동광산에서 채취하였다. 전처리한 광미로부터 자성광물과 비자성 광물을 선별한 후, 현미경 관찰을 통해 광물의 색 및 금속광택에 따라 분류하였고, X-선 회절 분석기, 에너지 분산분광기, 그리고 전자탐침미세현미경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분석들을 이용하여 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문헌조사에서는 다양한 광석광물이 산출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산화 등과 같은 풍화작용으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부 광석광물들과 더불어 새롭게 형성된 이차 내지 삼차 광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다량으로 존재했다고 알려진 자류철석은 동정되지 않았지만 특징적으로 콜로포옴 형태의 철 (산)수산화광물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자류철석의 큰 반응성으로 인하여 풍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어 자류철석이 모두 변질된 것을 입증한다. 뿐만 아니라 일차 광석광물인 유비철석의 균열부에 충진한 이차 광물인 스코로다이트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변질 과정을 통해 용출된 비소가 고정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차 광물로 생성된 자로사이트가 다시 변질되어 삼차 광물인 철 (산)수산화광물이 형성되는 것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다양한 광석광물의 산화작용으로 인해 조성된 초기의 낮은 pH 환경으로부터 pH가 증가하는 환경으로의 전이를 지시한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이차 광물들과 주변 모암과의 작용 등에 기인하며 그 결과 이차 광물의 안정도가 떨어지게 되고 새로운 삼차 광물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정화된 비소가 재용출 되어 주변 환경에 확산되어질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senic and heavy metals leached out as a result of oxidation of tailings exposed to the surface pose a seriou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mine area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rsenic behavior is controlled by a variety of processes, such as oxidation of sulfides and formation or alteration 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광물학적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비소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낙동광산의 광미 내 비소의 거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으로는 광미 내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이 이차 광물의 생성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차 광물의 생성 및 변질과 같은 다양한 작용들이 비소의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여 낙동광산에 대해 광물학적 환경 평가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광물학적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비소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낙동광산의 광미 내 비소의 거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으로는 광미 내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이 이차 광물의 생성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차 광물의 생성 및 변질과 같은 다양한 작용들이 비소의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여 낙동광산에 대해 광물학적 환경 평가를 하고자 한다.
  • 낙동광산은 2004년에 복원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민정석 외, 2004), 본 연구에 사용된 광미는 복원되기 전 야외조사를 통해 채취하였다. 광미 내 광물조성을 알아보고 일차 광물과 이차 광물의 다양한 광물학적 특성과 화학조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아래와 같은 연구방법을 수립하였다.
  • (1992)에 의하면 pH 3 이하에서는 자로사이트 형태의 침전이 우세하며, pH 4∼6에서는 침철석과 레피도크로사이트(lepidocrocite)가 우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광산에서는 낮은 pH 환경에서 안정한 자로사이트가 높은 pH 환경에서 형성되는 침철석으로 변질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광미의 pH가 초기에 비해 상승한 것을 지시하며, 이런 자로사이트의 형성과 풍화를 화학식으로 나타내었다(식 (8), (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광산이란? 일반적인 폐광산은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AMD)에 의해 비소나 중금속이 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성광산배수는 폐광미 내에 잔류하고 있는 산-발생 광물(acid-generating minerals, AGM)의 산화반응으로 인해 발생되며, 이로 인해 광미 내 비소 및 중금속이온이 지속적으로 용출되고 공극수 및 광미 표면과 반응하여 이차 광물을 생성하게 된다(Plumlee, 1998).
광미내 오염물질의 용출가능성과 용출량을 변화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될 것으로 판단되는 요인은?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방법은 미세하며 다양한 광물로 이루어진 시료에 대해서 광물학적 연구로 접근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또한 광산에서 산출되는 광석광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광미 내 산화반응의 속도가 좌우하며, 광산 주변 모암인 암석과 광물의 종류에 따라 광미 내 산에 대한 완충력이 달라진다. 이러한 요인은 광미내 오염물질의 용출가능성과 용출량을 변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산성광산배수는 어떻게 발생되는가? 일반적인 폐광산은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AMD)에 의해 비소나 중금속이 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성광산배수는 폐광미 내에 잔류하고 있는 산-발생 광물(acid-generating minerals, AGM)의 산화반응으로 인해 발생되며, 이로 인해 광미 내 비소 및 중금속이온이 지속적으로 용출되고 공극수 및 광미 표면과 반응하여 이차 광물을 생성하게 된다(Plumlee, 1998). 이런 비소 및 중금속용출의 원인을 찾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민주 (2003) 청양.서보 중석광산 주변 토양의 중금속오염에 관한 광물학적.환경지구화학적 연구 : 자연정화와 환경관리 측면에서의 고찰.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8p 

  2. 강민주, 이평구 (2005) 폐광산 및 광미에서 비소의 고정메커니즘과 용출특성. 자원환경지질, 38, 495-512 

  3. 김순오, 이우춘, 정현수, 조현구 (2009) 침철석(goethite)과 비소의 흡착반응. 한국광물학회지, 22, 177-189 

  4. 김현정, 김영규, 추창오 (2009) 삼산제일광산 광미 매립지의 매립 심도에 따른 광물 변화 및 중금속의 거동.한국광물학회지, 22, 229-240 

  5. 민정식, 최용석, 조영도, 홍성규, 이영일 (2004) 낙동광산오염(토양, 광해) 방지사업 환경부분 책임감리 연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18p 

  6. 서지원, 윤혜온, 정찬호 (2008) 달천광산 토양 내 중금속의 존재형태 및 오염도. 한국광물학회지, 21, 57-65 

  7. 신동복 (2006) 낙동 비소-비스무스 광상의 Pb-Ag-Bi-S계 광물의 산출양상과 화학조성. 자원환경지질, 39, 643-651 

  8. 안주성, 김주용, 전철민, 문희수 (2003) 풍화 광미 내 고상 비소의 광물학적?화학적 특성 및 용출 가능성 평가. 자원환경지질, 36, 27-38 

  9. 이우춘, 정현수, 김주용, 김순오 (2009) 레피도크로사이트(lepidicrocite) 표면의 비소 흡착 특성 규명. 자원환경지질, 42, 95-105 

  10. 이평구, 강민주, 박성원, 최상훈 (2003) 청양광산 폐광석더미 내 황화광물의 산화작용과 중금속 저감화. 자원환경지질, 39, 445-459 

  11. 이평구, 이인경, 최상훈, 김지수 (2004) 만장광산에서 산출되는 황동석의 산화과정과 중금속 거동 특성. 자원환경지질, 37, 291-301 

  12. 정영욱, 이평구, 박성원, 윤 욱, 이재호, 신서천, 지세정, 이진수, 김학주, 김상연, 이변대, 최병인, 홍영국, 민정식, 조원재, 귄광수, 이상권, 강선덕, 강상수, 조영도, 윤치호, 홍성규, 임길재 (2002) 폐금속광산 환경오염 평가 및 정화기술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R-02(연차)-07, 300p 

  13. 정현수, 이우춘, 조현구, 김순오 (2008) 자철석의 비소에대한 흡착특성 연구. 한국광물학회, 21, 425-434 

  14. 최선규, 박상준, 이평구, 김창성 (2004) 한반도 광상 성인유형에 따른 환경 특성. 자원환경지질, 37, 1-19 

  15. Ahn, J.S., Park, Y.S., Kim, J.Y., and Kim, K.W. (2005)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rsenic in an abandoned mine tailings of Korea,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27, 147-157 

  16. Bigham, J.M., Schwertmann, U., and Carlson, L. (1992) Mineralogy of precipitates formed by geochemical oxidation of Fe(II) in mine drainage. In: Skinner, H.C.W. and Fitzpatrick, R.W.(eds.), Biomineralization processes of iron and manganese. Cremlingen-Destedt, Catena. Verlag, Germany, 219-232 

  17. Bigham, J.M., Schwertmann, U., Traina, S.J., Winland, R.L., and Wolf, M. (1996) Schwertmannite and the chemical modeling of iron in acid sulfate water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60, 2111-2121 

  18. Bluteau, M.C. and Demopoulos, G.P. (2007) The incongruent dissolution of scorodite-solubility, kinetics and mechanism. Hydrometallurgy, 87, 163?177 

  19. Carlson, L., Bighham, J.M., Schwertmann, U., Kyek, A., and Wagner, F. (2002) Scavenging of As from acid mine drainage by Schwertmannite and ferrihydrite: a comparison with synthetic analogue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6, 1712-1719 

  20. Courtin-Nomade, A., Bril, H., Neel, C., and Lenain, J.F. (2003) Arsenic in iron cements developed within tailings of a former metalliferous mine-Enguiales, Aveyron, France. Applied Geochemistry, 18, 395-408 

  21. Craig D.B., Adrian J.B., Alan P.B., Patrick J.w., Kevin B., Takahiko O., Junji A., and David J.P. (2009) Growth controls in colloform pyrite. American Mineralogist, 94, 415-429 

  22. Dixit, S. and Hering, J.G. (2003) Comparison of arsenic (V) and arsenic (III) sorption onto iron oxide minerals: implications for arsenic mobility.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7, 4182-4189 

  23. Dold, B. and Fontbotef, L. (2002) A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y of element mobility in sulfide mine tailings of Fe oxide Cu-Au deposits from the Punta del Cobre belt, northern Chile. Chemical Geology, 189, 135-163 

  24. Dove, P.M. and Rimstidt, J.D. (1985) The solubility and stability of scorodite, $FeAsO_4.2H_2O$ . American Mineralogist, 70, 838-844 

  25. Harvey, M.C., Schreiber, M.E., Rimstidt, J.D., and Griffith, M.M. (2006) Scorodite dissolution kinetics: Implications for arsenic releas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0, 6709-6714 

  26. Jambor, J.L. and Blowes, D.W. (1994) Environmental geochemistry of sulfide Mine wastes. Minera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Shot Course, 22, 438p 

  27. Juillot, F., Ildefonse, P.H., Morin, G., Calas, G., Kersabie, A.M., and Benedetti, M. (1999) Remobilization of arsenic from buried wastes at an industrial sit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ontrol. Applied Geochemistry, 14, 1031-1048 

  28. Jung, M.C., Ahn, J.S., and Chon, H.T. (2001)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sequential extraction of trace elements from mine wastes around various metalliferous mines in korea. Geosystem Engineering, 4, 50-60 

  29. Kruse, E. and Ettel, V.A. (1988) Solubility and stability of scorodite, $FeAsO_4.2H_2O$ : new data and further discussion. American Mineralogist, 73, 850-854 

  30. Lee, K.Y., Kim, K.W., and Kim, S.O. (2009) Geochemical and microbial effects on the mobilization of arsenic in mine tailing soils. Environmental Geochemist by and Health, dio: 10,100n/s10653-009-9263-4 

  31. Manning B.A. and Goldberg, S. (1997) Adsorption and stability of arsenic(III) at the clay mineral-water interfac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1, 2005-2011 

  32. McGegor, R.G. Blowes, D.W., Jamor, J.L., and Robertson, D.W. (1998) The soild-phase controls on the mobility of heavy metals at Copper Cliff tailings area, Sudbury, Ontario, Canada. 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33, 247-271 

  33. Morin, K.A. and Hutt, N.M. (1997) Environmental geochemistry of mine site drainage practical theory and case studies; Description and assesment of drainage chemistry. MDAG Publishing, 63-138 

  34. Morin, G. and Calas, G. (2006) Arsenic in soils, mine tailings, and former industrial sites. Elements, 2, 97-101 

  35. Nesbitt, H.W., Muir, I.J., and Pratt, A.R. (1995) Oxidation of arsenopyrite by air, air-saturated, distilled water, implications for mechanism of oxidation.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59, 1773-1786 

  36. Papassiopi, N., Vircikova, E., Nenov, V., Kontopoulos, A., and Molnar, L. (1996) Removal and fixation of arsenic in the form of ferric arsenates; three parallel experimental studies. Hydrometallurgy, 41, 243-253 

  37. Plumlee, G.S. (1998) The environmental geology of mineral deposits. In: Plumlee G.S. and Logsdon, M.J. (eds.), The Environmental Geochemistry of Mineral Deposits Part A: Processes, Techniques, and Health Issues. Reviews i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chemistry, 6A, 71-116 

  38. Pokrovski, G.S., Kara, S., and Roux, J. (2002) Stability and Solubility of arsenopyrite, FeAsS, in crustal fluid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66, 2361-2378 

  39. Sam R. and Isablle K.B. (1999) Magnetic susceptibilities of minerals. U.S. Geological Survey, 99-529 

  40. Smedley, P.L. and Kinniburgh, D.G. (2002) A review of the source, behaviour and distribution of arsenic in natural waters. Applied Geochemistry. 17, 517-568 

  41. Sun, X. and Doner, H. (1998) Adsorption and oxidation of arsenite on goethite. Soil Science, 163, 278-287 

  42. Ure, A.M. (1995) Method of analysis for heavy metals in soils. In: Alloway, B.J. (eds.), Heavy metal in soils. Chapman & Hall, Glasgow, 55-68 

  43. Wang, S. and Mulligan, C.N. (2006) Occurrence of arsenic contamination in Canada: Sources, behavior and distribution.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66, 701-721 

  44. Williams, J.W. and Silver, S. (1984) Bacterial resistance and detoxification of heavy metals.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6, 530-5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