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처리를 통한 발틱 호박의 Sun spangle생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Sun Spangle Formation in the Transparent Baltic Amber by Heat Treatment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2 no.4 = no.62, 2009년, pp.395 - 405  

정효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재료 및 화학공학과) ,  서진교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  박종완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투명한 발틱 호박을 $300^{\circ}C$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할 때 썬 스팽글(sun spangle)을 생성하는 호박과 생성하지 않는 호박의 구분이 뚜렷하여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호박 매질의 성숙도와 내포물 분석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두 종류의 시료 내에 함유된 내포물의 색상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열처리 후 나타난 썬 스팽글에서는 미세한 틈(fissure)과 굴절률 차이를 나타내는 내포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시편의 DR방식의 적외선 분광분석 스펙트럼은 열처리 전과 후에 뚜렷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열처리 전후 화학 성분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고 원 시료들의 1000~600 $cm^{-1}$ 영역에서 스펙트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이로 인한 성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차이온질량분석(TOF-SIMS)을 통한 표면 분석에서는 썬 스팽글이 생성하지 않는 원 시료(PA)에 탄소 관련된 peak의 세기가 강하고 산소 peak이 약해 성숙 정도가 썬 스팽글을 생성하는 원 시료(SPA)보다 더 클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열중량분석-시차주사열용량분석(TG-DSC)의 열적 거동이 달라 두 시편의 화학성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두 시료가 산지는 같을지라도 지질 연령이 달라 화학성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해서 자세한 조사가 필요하다. 한편, 썬 스팽글을 생성하는 호박에서는 내포물의 열처리에 의한 물리적인 부피 팽창이 일어났으나 썬 스팽글이 생성되지 않은 호박은 상대적으로 미미한 팽창만 보였다. 그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ATR) 방식의 FTIR 분석을 수행한 결과, 썬 스팽글을 생성하는 호박은 1019 $cm^{-1}$의 peak을 나타내고 887 $cm^{-1}$의 세기가 강하게 나타나는 반면 썬 스팽글을 생성하지 않은 호박에서는 887 $cm^{-1}$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1019 $cm^{-1}$의 peak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1000~600 $cm^{-1}$에서 흡수밴드의 차이를 보였다. 열처리 후 썬 스팽글의 생성은 이들 흡수 스펙트럼의 차이를 나타내는 성분과 호박의 성숙도에서 기인된 매질 중합체의 열팽창률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turity of amber matrix and inclusion was studied to explore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formation of the sun spangle in the transparent Baltic amber from Gdansk, Poland. Optical microscope revealed two types of inclusions in the original amber samples. The inclusions in the amber whi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호박을 300℃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하면 동일한 산지의 호박일지라도 열처리 후 썬 스팽글을 생성 하는 호박과 생성하지 않는 호박으로 명확히 나뉘는데, 그 원인 및 열적 거동 차이에 대한 연구가 없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명한 발틱 호박을 열처리 후 각 시료에 따른 썬 스팽글 생성 거동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분석 결과로 미루어 원 시료 SPA의 열처리 후의 썬 스팽글의 생성은 내포물의 포획된 성분의 열에 의한 부피 팽창과 호박의 성숙도에 따른 매질의 열에 의한 부피 팽창 정도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어 호박의 성분과 성숙도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석을 위해 ATR방식의 적외선 분광분석을 시행 하였다. 호박의 열에 의한 ageing에 관한 연구에서 시간이 흐를수록 C2/CH2 (1646 cm-1/1448 cm-1) Peak의 세기의 비율이 감소하는 반면 C=O에 의한 1730 cm-1 peak의 세기는 증가하고 885 cm-1 peak 의 세기는 감소 한다는 결과(Shashoua et al., 2000; Brody et al., 2000; Trevisanni et al., 2005)를 토대로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시료 SPA와 PA의 성숙도를 비교하고 두 시료의 성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박이란 무엇인가? 호박(amber)은 유기질 보석 가운데 하나로 중생대(Mesozoic), 백악기(Cretaceous period) 무렵부터 출현한 겉씨식물과 속씨식물의 송진류가 굳어 화석화한 물질로 지질학적으로 resinite로 일컬어진다. 신생대 에오세부터 마이오세 무렵 스칸디나비아, 발틱해, 러시아 북부를 아우르는 유럽의 북부 지역이 한 덩어리로 이어져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이를 “pre-Fennoscandian continent”라 하는데(Rice, 2006) 그 영역이 서쪽으로는 북아일랜드와 그린 랜드, 북미, 영국, 프랑스 북부를, 남쪽으로는 발틱해 남부에 이를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e-Fennoscandian continent란 무엇인가? 호박(amber)은 유기질 보석 가운데 하나로 중생대(Mesozoic), 백악기(Cretaceous period) 무렵부터 출현한 겉씨식물과 속씨식물의 송진류가 굳어 화석화한 물질로 지질학적으로 resinite로 일컬어진다. 신생대 에오세부터 마이오세 무렵 스칸디나비아, 발틱해, 러시아 북부를 아우르는 유럽의 북부 지역이 한 덩어리로 이어져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이를 “pre-Fennoscandian continent”라 하는데(Rice, 2006) 그 영역이 서쪽으로는 북아일랜드와 그린 랜드, 북미, 영국, 프랑스 북부를, 남쪽으로는 발틱해 남부에 이를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preFennoscandia에서 수지(resin)를 방출하던 거대한 숲이 신생대 고 제3기 지각변동에 의해 발틱해 밑으로 가라앉아 진흙층을 이루어 점토층(blue earth)이 되었으며(Rice, 2006), 현재 대부분의 호박은 이곳에서 발견된다.
amber의 특성은? 호박은 비결정질로써 굴절률 1.539∼1.542, 경도 2∼2.5, 비중 0.96∼1.96의 특성을 나타낸다. 천연의 수지(resin)로 C10H16O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틱 호박에는 황이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nderson, K.B., Winans, R.E., and Botto (1992) The nature and fate of natural resins in the geosphere: ∥. Idenfication, classfication and nomenclature of resinites. Organic Geochemistry, 18, 829-841 

  2. Brody, R.H., Howell, G., Edwards, M., and Pollard, A.M. (2000) A study of amber and copal samples using FT-Raman spectroscopy, Spectrochimica Acta Part A, 1325-1338 

  3. Carlsen, L., Feldthus, A., Klaskov, T., and Shedrinsky, A. (1997) Geographical classification of amber based on pyrolysis and infra-red spectroscopy data. J.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43, 71-81 

  4. Keyser, D. and Weitschat, W. (2005) First record of ostracods (Crustacea) in Baltic amber. Hydrologia, 107-114 

  5. Feist, M., Lamprecht, I., and Muller, F. (2007) Thermal investigations of amber and copal. thermochimita acta 458, 162-170 

  6. Guiliano, M., Asia, L., Onoratini, G., and Mille, G. (2006) Applications of diamond crystal ATR FTIR spectroscopy to the characterization of ambers. Spectrochimica Acta Part A, 1407-1411 

  7. Jablonski, P., Golloch, A., and Borchard, W. (1999) DSCMeasurement of amber and resin samples. Thermochimica acta, 333, 87-93 

  8. Kowalewska, M. and Szwedo, J. (2009) Examination of the Baltic amber inclusion surface using SEM techniques and X-ray microanalysi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71, 287-291 

  9. Matuszewska, A. and Czaja, M. (2002) Aromatic compounds in molecular phase of Baltic amber-synchronous luminescence analysis. Talanta, 56, 1049-1059 

  10. Pakutinskiene, I., Kiuberis, J., Bezdicka, P., Senvaitiene, J., and Kareiva, A. (2007) Analytic characterization of Baltic amber by FTIR, XRD and SEM. Canadian Journal of Analytical Sciences and Spectroscopy. 52, 287-294 

  11. Ragazzi, E., Roghi, G., Giaretta, A., and Gianolla, P. (2003) lassification of based on thermal analysis. thermochimita acta 404, 43-54 

  12. Rice, P.C. (2006) Golden Gem of the Ages (4th Ed) 

  13. Shashoua, Y., Berthelsen, M.D., and Nielsen, O.F. (2006) Raman and ATR-FTIR spectroscopies applied to the conservation of archaeological Baltic amber. J. of Raman Spectroscopy, 1221-1227 

  14. Stout, E.C., Beck, C.W., and Anderson, K.B. (2000) Identification of rumanite (Romanian amber) as thermally altered succinite (Baltic amber). Phs Chem Minerals, 665-678 

  15. Trevisani, E., Papazzoni, C.A., Ragazzi, E., and Roghi, G. (2005) Early Eocene amber from the 'Pesciara di Bolca' (Lessini Mountains, Northern Italy).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23, 260-274 

  16. Mossini, V. and Cesaro, S.N. (1985) Comparison of Baltic Amber an aged Pinus Halepensis Resin by Means of Infrared Spectroscopy. Phytochemistry, 25, 244-245 

  17. Winkler, W., Musso, M., and Kirchner, E.C. (2003) Fourier transform Raman spectroscopic data on the fossil resin siegburgite. J. of Raman Spectroscopy, 157-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