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간태반양막유래 상피줄기세포의 임상적용을 위한 새로운 세포분리 및 배양 기술
New Isolation Technique and Culture System for Clinical Applications of Human Amniotic Epithelial Stem Cells 원문보기

Development & reproduction = 발생과 생식, v.13 no.4, 2009년, pp.271 - 280  

우상규 ((주)알앤엘바이오 중앙연구소) ,  조정윤 ((주)알앤엘바이오 중앙연구소) ,  신일섭 ((주)알앤엘바이오 중앙연구소) ,  강성근 ((주)알앤엘바이오 중앙연구소) ,  라정찬 ((주)알앤엘바이오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반은 성체줄기세포의 보고이다. 특히 양막상피세포는 배아줄기세포줄기세포 능력을 나타내는 세포 표면 표시자들을 그대로 발현하는 줄기세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피세포를 실험실에서 지지세포 없이 대량 증식 배양하는 것은 상피세포가 가지고 있는 내인성 성격으로 인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과 ROCK 저해제(Rho-associated kinase inhibitor)를 이용하여 양막상피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는데 있어서 임상적용이 가능한 수준의 세포를 얻었고, 최적의 세포상태를 유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배양된 양막상피세포는 상피세포의 특성과 줄기세포의 특성을 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줄기세포 치료를 이용한 재생의학의 관점에서 인간태반 유래 양막상피줄기세포는 아무런 윤리적인 논란을 일으키지 않는 주요한 줄기세포 치료제의 재료로서 여러 가지 질병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uman placenta is abundant source of adult stem cells. Especially, amniotic epithelial cells have stem cell characteristics, expressing surface markers normally present on embryonic stem cells and germ cells. However, culturing and expanding amniotic epithelial cells in vitro without feeder cells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분리 배양한 세포가 줄기세포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 번째로 세포 표면 표시자들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중간엽줄기세포에서 발현되는 CD29, CD73, CD90, CD105(Cellerix Patent US20060073124)와 상피세포에서 발현되는 CD9와 CD49f가 발현되었으며, 조혈모줄기세포 표시자인 CD31, CD34, CD45, CD133가 발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하지만 분만 직후에 얻어진 양막과 달리 본 연구에 사용된 냉장보관된 양막에서는 트립신만을 사용한 결과, 양막에 점액질이 많아 양막상피세포의 수득율이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 디티오트레이톨을 사용하여 점액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초기배양에서 양막상피세포의 수득율을 높이고 생존율을 높였다.
  • 따라서, 임상 적용 가능한 수준의 양막상피세포를 얻으려면 초기 양막으로부터 상피세포를 많이 얻은 디티오트레이톨 처리 방법과 함께 양막상피세포를 미분화 상태로 유지하며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세포 사멸 과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아 세포를 증식시킬 수 있는 배양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양막상피세포를 세포 사멸을 억제하면서 대량으로 증식 배양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2007년 Kiichi Watanabe 등은 ROCK 저해제가 단일세포로 분리된 사람유래 배아줄기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세포의 생존율을 높여주며 분화진행으로부터 보호한다고 보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대혈 혈모세포와 비교했을 때 태반 줄기세포가 가진 장점은? , 2006; Alviano et al., 2007)는 제대혈에 비해 100배 더 많은 양의 중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가능 회수에서도 제대혈이 1회에 한정하고 15세 이상이 되면 타인의 제대혈을 보충해야 하지만, 태반 줄기세포는 여러번 사용할 수 있어 성인이 되어서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태반 줄기세포는 보다 다양한 질환에 이용될 수 있다. 제대혈의 조혈모세포는 주로 혈액 질환에 사용되나, 태반 줄기세포는 세포 손상 질환에 사용에 유리하여 향후 심장마비, 뇌졸중, 당뇨병,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등 많은 질병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성체줄기세포의 공급원으로 태반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분만 직후의 태반 조직을 필요한 순간마다 바로 제공받기는 어려운 실정이며, 실제로 태반 조직의 산업적 이용(태반 주사, 태반 화장품류)은 분만 후의 태반 조직을 냉장 보관하였다가 사용하고 있다.
양막상피줄기세포의 대량 증식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그러나 이러한 양막상피줄기세포는 다른 태반 조직 유래 성체줄기세포(중간엽줄기세포)와 달리 초기 세포 배양 및 계대 배양 시 세포 사멸 과정으로 진행되기 쉬워 기존의 배양 방법으로는 미분화 상태의 양막상피세포 유래 성체줄기세포를 대량으로 증식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즉, 미분화상태로 존재하는 양막상피세포 유래 줄기세포는 오직 분만 직후의 태반으로부터 많은 양으로 수득할 수 있을 뿐, 분만 후 몇 시간이 경과되거나 특히, 오랜 시간 동안 냉장 보관되어 있던 태반 조직으로부터는 다량의 성체줄기세포를 수득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통상적으로 태반에서 분리된 양막은 혈액과 점액질 등으로 표면이 둘러싸이게 된다.
양막상피세포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 2005). 양막상피세포는 태반을 구성하는 양막상피조직 중 배 형성 이전 또는 수정 후 8일된 외배엽으로부터 발달한 것으로 배 형성 전 배아세포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양막상피세포의 표면 표시자는 배아에서 발현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면역조직화학적 분석 및 유전학적 분석에 의하여 양막상피세포 유래 성체줄기세포가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 유래 세포로 모두 분화 가능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체내에서 암 발생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Mi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viano F, Fossati V, Marchionni C, Arpinati M, Bonsi L, Franchina M, Lanzoni G, Cantoni S, Cavallini C, Bianchi F, Tazzari PL, Pasquinelli G, Foroni L, Ventura C, Grossi A, Bagnara GP (2007) Term amniotic membrane is a high throughput source for 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s with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endothelial cells in vitro. BMC Dev Biol 7:11. 

  2. Bates RC, Buret A, van Helden DF, Horton MA, Burns GF (1994) Apoptosis induced by inhibition of intracellular contact. J Cell Biol 125:403-415. 

  3. Gimble J, Guilak F (2003) Adipose-derived adult stem cells: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Cytotherapy 5:362-369. 

  4. Grossmann J, Maxson JM, Whitacre CM, Orosz DE, Berger NA, Fiocchi C, Levine AD (1998) New isolation technique to study apoptosis in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m J Pathol 153:53-62. 

  5. Hermiston ML, Gordon JI (1995) In vivo analysis of cadherin function in the mouse intestinal epithelium: essential roles in adhesion, maintenance of differentiation, and regula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J Cell Biol 129:489-506. 

  6. Ishizaki T, Uehata M, Tamechika I, Keel J, Nonomura K, Maekawa M, Narumiya S (2000)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Y-27632, a specific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s. Mol Pharmacol 57:976-983. 

  7. Jiang Y, Jahagirdar BN, Reinhardt RL, Schwartz RE, Keene CD, Ortiz-Gonzalez XR, Reyes M, Lenvik T, Lund T, Blackstad M, Du J, Aldrich S, Lisberg A, Low WC, Largaespada DA, Verfaillie CM (2002a) Pluripotency of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adult marrow. Nature 418:41-49. 

  8. Jiang Y, Vaessen B, Lenvik T, Blackstad M, Reyes M, Verfaillie CM (2002b) Multipotent progenitor cells can be isolated from postnatal murine bone marrow, muscle, and brain. Exp Hematol 30:896-904. 

  9. Kakishita K, Elwan MA, Nakao N, Itakura T, Sakuragawa N (2000) Human amniotic epithelial cells produce dopamine and survive after implantation into the striatum of a ra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a potential source of donor for transplantation therapy. Exp Neurol 165:27-34. 

  10. Miki T, Lehmann T, Cai H, Stolz DB, Strom SC (2005) Stem cell characteristics of amniotic epithelial cells. Stem Cells 23:1549-1559. 

  11. Portmann-Lanz CB, Schoeberlein A, Huber A, Sager R, Malek A, Holzgreve W, Surbek DV (2006) Placental mesenchymal stem cells as potential autologous graft for pre- and perinatal neuroregeneration. Am J Obstet Gynecol 194:664-673. 

  12. Sagawa H, Terasaki H, Nakamura M, Ichikawa M, Yata T, Tokita Y, Watanabe M (2007) A novel ROCK inhibitor, Y-39983, promotes regeneration of crushed axons of retinal ganglion cells into the optic nerve of adult cats. Exp Neurol 205:230-240. 

  13. Sakuragawa N, Enosawa S, Ishii T, Thangavel R, Tashiro T, Okuyama T, Suzuki S (2000) Human amniotic epithelial cells are promising transgene carriers for allogeneic cell transplantation into liver. J Hum Genet 45:171-176. 

  14. Sampaolesi M, Torrente Y, Innocenzi A, Tonlorenzi R, D'Antona G, Pellegrino MA, Barresi R, Bresolin N, De Angelis MG, Campbell KP, Bottinelli R, Cossu G (2003) Cell therapy of alpha-sarcoglycan null dystrophic mice through intra-arterial delivery of mesoangioblasts. Science 301:487-492. 

  15. Sward K, Dreja K, Susnjar M, Hellstrand P, Hartshorne DJ, Walsh MP (2000) Inhibition of Rho-associated kinase blocks agonist-induced $Ca^{2+}$ sensitization of myosin phosphorylation and force in guinea-pig ileum. J Physiol 522:33-49. 

  16. Toma JG, Akhavan M, Fernandes KJ, Barnabe-Heider F, Sadikot A, Kaplan DR, Miller FD (2001) Isolation of multipotent adult stem cells from dermis of mammalian skin. Nat Cell Biol 3:778-784. 

  17. Verfaillie CM (2002) Adult stem cells: assessing the case for pluripotency. Trends Cell Biol. 12: 502-508. 

  18. Wang CY, Eshleman JR, Willson JK, Markowitz S (1995) Both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and substrate release are inducers of apoptosis in a human colon adenoma cell line. Cancer Res 55:5101-5105. 

  19. Watanabe K, Ueno M, Kamiya D, Nishiyama A, Matsumura M, Wataya T, Takahashi JB, Nishikawa S, Nishikawa S, Muguruma K, Sasai Y (2007) A ROCK inhibitor permits survival of dissociated human embryonic stem cells. Nat Biotechnol 25:681-686. 

  20. Wei JP, Zhang TS, Kawa S, Aizawa T, Ota M, Akaike T, Kato K, Konishi I, Nikaido T (2003) Human amnionisolated cells normalize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Cell Transplant 12:545-552. 

  21. Yeager AM, Singer HS, Buck JR, Matalon R, Brennan S, O'Toole SO, Moser HW (1985) A therapeutic trial of amniotic epithelial cell implantation in patients with lysosomal storage diseases. Am J Med Genet 22:347- 3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