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나노기술과 바이오 및 의료기술의 융합 원문보기

공학교육 = Engineering education, v.16 no.1, 2009년, pp.41 - 46  

김태송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식경제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사업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이크로기술과 나노기술은 기존의 타 영역의 기술과 융합되어 세계적으로 앞서있는 선행주자들이 지배하고 있는 의료영역에서의 새로운 기술적 독자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 끝없는 경쟁 속에 효율적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연구방향으로서 마이크로/나노기술의 연구를 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내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사업단의 융합연구결과가 국내 융합연구의 저변을 다져왔고 그 열매는 국가의 새로운 산업으로 잘 이어져 국부창출로 나타나리라 기대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두 사업은 당시 융합이라는 화두는 없었지만 IT기술에 근간을 둔 MEMS 기술과 바이오 및 의료용 부품 및 시스템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오늘날 나노, 바이오, IT, NT기술의 융합의 효시라고 하겠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융합연구 중 가장 먼저 수행된 연구사업 중의 하나인 지식경제부 지원 21세기 프론티어사업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사업단의 연구현황에 대해서 발표 하고자 한다.
  • 따라서 연구의 핵심은 수많은 단백질 들 사이에 가능하면 감지하고 자하는 낮은 농도에 있는 극미량의 단백질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구현 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은 크게 두가지라고 할 수 있다. 즉 샘플 중에서 필요한 단백질만을 골라내고 이를 농축하여 특이도와 감도의 증진을 꽤하기 위한 전처리 기술이 그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존의 감지방법과는 다른 고감도 감지 툴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의 융합연구의 시작은 언제인가? 국내에서의 융합연구의 시작은 1990년대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G7 MEMS 사업이 끝나갈 즈음으로 국내의 MEMS 연구가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시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캡슐내시경은 무엇이 출시되고 있는가? 현재 캡슐내시경은 식도용 및 소장용 캡슐내시경이상용화 되어 출시되고 있다. 두 제품 모두 장기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소화기관을 자연적으로 내려가면서 진단하는 방식이다.
연구의 유행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물론 이러한 연구의 유행은 단순한 기호에 따라 반복되고 진화하는 형태와 전혀 다른 형태로 발전된 것이다. 즉 그때까지 쌓여온 지식과 기술 그리고 know-how를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접목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것은 전세계에서 그 분야를 리드하는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동시 다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960년부터 미세구조물 제작에 필요한 기초기술이 연구되어 오다가 1980년경미국버클리대학, MIT, Sandia National Lab 등과 유럽의 독일, 네덜란드, 일본 동경대학 등을 중심으로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기술이라 불리는 초소형 정밀 기계기술이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aigham J. Gabriel, Scientific American, 'Engineering Microscopic Machines', Vol. 273 No.3, pp150, 1995 

  2. Tae Song Kim, Sung June Kim, Bong Hyun Chung, Kyungwha Yoo and Seon Hee Park, 'The Korean Research & development program o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in Medical Applications, Minimally Invasive Theraphy, Vol. 16, 109, 2007 

  3. Seungmin Bang, Jeong Youp Park, Seok Jeong, Young Ho Kim, Han Bo Shim, Tae Song Kim, Don Haeng Lee, Si Young Song, 'First clinical trial of the 'MiRo'capsule endoscope by using a novel transmission technology:electric-field propagation', Gastrointestinal Endoscopy, Vol. 69 [2], 253, 2009 

  4. Tae Song Kim, Si Young Song, HAn Jung, Jinseok Kim, Eui Sung Kim, 'Micro Capsule Endoscope for Gastro Intestinal Track', Proceedings of the 29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MBS, 2007, Lyon, France 

  5. Jim Kling Seattle, 'Moving diagnostics from the bench to the bedside', Nature biotech., Vol 24, 891, 2006 

  6. RD Rocklin, RS Ramsey, JM Ramsey. 'A microfabricated fluidic device for performing two-dimensional liquidphase separations. Analytical Chemistry', Vol.72, 5244.2000 

  7. X Chen, H Wu, C Mao, GM Whitesides. 'A Prototype Two-Dimensional 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Fabricated in Poly(dimethylsiloxane)', Analytical Chemistry Vo. 74, 1772, 2002 

  8. J Fu, J Han. 'A nanofilter array chip for fast gel-free biomolecule separation in Proceedings of the MicroTAS 2005 conference, Vol. 2, 1531, 2005 

  9. Woo-Jae Chung, Min-Soo Kim, Suhyung Cho, Sung-Soo Park, Jong-Ho Kim, Byung-Gee Kim, Yong-Kweon Kim, Yoon-Sik Lee. 'Microaffinity of proteins based on photolytic elution:toward an efficient microbead affinity chromatography on a chip', Electrophoresis Vol. 26, 694, 2005 

  10. Hanyoung Kim, Jin Ku Cho, Woo-Jea Chung, Yong-Kweon Kim, Yoon-Sik Lee, 'Solid-phase core-shell type resins for solid-phase peptide synthesis resins in solidphase photolytic cleavage reaction' Organic Letters Vol.69, 3273, 2004 

  11. JH Lee, KS Hwang, J Park, DS Yoon, KH Yoon, TS Kim. 'Immunoassay of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using resonant frequency shift of piezoelectric nanomechanical microcantilever', Biosens & Bioelectr, Vol. 20, 2157, 2005 

  12. Kyo Seon Hwang, Kilho Eom, Jeong Hoon Lee, Dong Won Chun, Byung Hak Cha, Dae Sung Yoon, Tae Song Kim, Jung Ho Park. 'Surface stress driven by biomolecular interactions dominated the dynamical response of nanomechanical microcantilever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89, 173905, 20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