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암면 혼합 상토를 이용한 수목류 용기묘의 급액 적정 농도
Optimum Strengths of Supply Nutrient Solution in Container Seedling of Trees Using Media Mixed Used-Rockwool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8 no.1, 2009년, pp.46 - 50  

김호철 (원광대학교 원예. 애완동식물학부) ,  이수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배종향 (원광대학교 원예. 애완동식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침엽수종인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활엽수종인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na)와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를 대상으로 수경 재배를 이용한 우량 용기묘 생산 시 'Sonneveld' 배양액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배양액의 공급 농도에 따른 소나무(0-0)의 생체중, 수고 및 원줄기 직경은 모두 높은 농도일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며 3.0배액에서 가장 높았다. 비자나무(1-1)의 생체중은 1.5배액과 3.배액에서 많이 증가하였고 수고와 원줄기 직경은 1.5 배액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상수리나무(0-0)의 생체중은 2.0배액에서 가장 무거웠고 1.0배액에서 가장 가벼웠다. 수고와 건물중은 모두 2.0배액과 3.0배액에서 좋았고, 원줄기 직경과 엽록소 함량은 2.0배액에서 좋았다. 또한 광합성은 1.5배액과 2.0배액에서 활발하였다. 들메나무(1-1)의 생체중, 수고 및 원줄기 직경은 0.5배액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은 0.5배액과 2.0배액에서 좋았다. 그리고 대부분의 생육 특성은 3.0배액에서 저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effects of optimum supply strengths of 'Sonneveld' nutrient solu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in container seedling of trees (Pinus densiflora, Torreya nucifera, Quercus acutissina and Fraxinus mandshurica) using developed media with used-rockwool. Flesh wei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수경재배를 이용한 주요 침엽수종과 활엽수종의 용기묘 생산세 적합한 유럽분화용 표준 배양액 (Sonneveld)의 적정 급액 농도를 구명하고자 수 행하였다.
  • 침엽수종인 소나무densijlord)와 비자나무 (Torreya nucifera), 활엽수종인 상수리나무(Qi/erctzs acutissina^\- 들메나무mandshitrica)를 대상으로 수경재배를 이용한 우량 용기묘 생산시 lSonneveld, 배양액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기 위해 수 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inkley, D. 1986. Forest nutrient management.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 290 

  2. Chabot, B.F. and D.J. Hicks. 1982. The ecology of leaf life spans. Ann. Rev. Ecol. Syst. 13:229-250 

  3. Kramer, P.J. and T.T. Kozlowski. 1979. Physiology of woody plants. Academic Press, New York, p. 811 

  4. Kwon, K.W. and J.H. Lee. 1994. Growth performance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Quercus spp. and Fraxinus rhynchophylla subjected to different soil moisture regimes and nutrition levels. J. Kor. For. Soc. 83(2):164-174 

  5. Lange, O.L., L. Kappen, and E.D. Schulze. 1976. Water and plant life. Springer-Verlag, Berlin. p. 536 

  6. Lee, C.H. 1998. Effects of soil acidification on growth and nutrient statu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J. Kor. For. Soc. 87(4):611-619 

  7. Lee, C.H., H.O. Jin, and T. Izuta. 1999. Growth, nutrient status and net photosynthetic rate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various levels of aluminum concentrations. J. Kor. For. Soc. 88(2):249-254 

  8. Lee, C.H., S.W. Lee, H.O. Jin, J.H. Jeong, and C.Y. Lee. 2002. Effects of Mn on the growth and nutrient statu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 in nutrient culture solution. Kor. J. Ecol. 25(5):349-352 

  9. Lee, C.H., S.W. Lee, E.Y. Kim, Y.K. Kim, J.K. Byun, H.G. Won, and H.O. Jin. 2005.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artificially acidified soils. Kor. J. Ecol. 28(6):389-393 

  10. Lee, J.S., G.S. Kim, H.J. Bae, S.J. Jeong, and H.N. Jeong. 2000. Studies on optimum kinds and concentration of fertilizer for seedling of Pinus densiflora in greenhouse. Kor. J. Hort. Sci. Technol. 18(2):258 

  11. Levitt, J. 1980. Responses of plants to environmental stress. Vol. 2. p. 322-445. Water, radiation salt, and other stresses. Academic Press. New York 

  12. Li, B., H.L. Allen, and S.E. McKeand. 1991. Nitrogen and family effects on biomass allocation of loblolly pine seedlings. For. Sci. 37:271-283 

  13. Malik, V. and V.R. Timmer. 1998. Biomass partitioning and nitrogen retranslocation in black spruce seedlings on competitive mixed wood sites: a bioassay study. Can. J. For. Res. 28:206-215 

  14. Proe, M.F. and P. Millard. 1994. Relationships between nutrient supply, nitrogen partitioning and growth in young Sitka spruce (Picea sitchesis). Tree Physiol. 14:75-88 

  15. Rengel, Z. 1992. Role of calcium in aluminum toxicity. New Phytol. 121:499-513 

  16. Sieth, B., E. George, H. Marschner, T. Wallenda, C. Schaeffer, W. Einig, A. Wingler, and R. Hampp. 1996. Effects of varied soil nitrogen on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I. Shoot and root growth and nutrient uptake. Plant Soil. 184:291-298 

  17. Singh, S.P. and G.C.S. Negi. 1992. Leaf nitrogen dynamic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retranslocation in evergreen and deciduous tree species to Kumaun Himalaya. Can. J. For. Res. 23:349-357 

  18. Ulrich, B., R. Mayer, and P.K. Khanna. 1980. Chemical changes due to acid precipitation in a Loessderived soil in central Europe. Soil Sci. 130:193-199 

  19. Waring, R.H. and J.F. Franklin. 1979.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of the Pacific Northwest. Science 204:1380-13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