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공포-회피 반응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6 no.2, 2009년, pp.24 - 30  

주명규 (대전대학교 둔산 한방병원 물리치료실) ,  김택연 (스포츠 의학 연구소) ,  김진택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선엽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FABQ) in assessing Korea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e performed translation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questionnaire and enrolled 52 patients (18 males and 34 femal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는 아직 번역된 FABQ가 없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들도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본의 고유성을 유지하면서 한국 문화의 특성에 맞추어 FABQ를 번역하여 제작한 한국판 공포-회피 반응 설문지를 만들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52명의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심리사회적평가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FABQ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구하였다. 이 도구를 이용해 평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FABQ 한국 버전이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3)로 분류한다(Fermanian, 1984). 본 연구에서는 FABQ를 SAS,K-BDI, VAS, ODI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항목 간에 보통 이상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VAS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골격계와 관련된 통증의 발생과 만성화에 대한 원인으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것은? 최근 근골격계와 관련된 통증의 발생과 만성화에 대한 원인으로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심리사회적 요인들 중 공포-회피 반응(fear-avoidance beliefs)은 근골격계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다(Pfingsten 등, 2000).
공포-회피 반응이 지속될 경우 연관되는 것은? 공포-회피 반응은 통증이 발생할 우려 때문에 환자들이 움직임을 회피하는 행동으로 통증 발생 시 나타나는 정상적 반응이며(Asmundson 등, 1997), 적절한 기간이 지나면 사라져야 한다. 하지만 지속되는 경우 신체 증상의 악화와 만성화로의 진행에 직접적으로 연관된다(Fritz 등, 2001).
공포-회피 반응이란? 이러한 심리사회적 요인들 중 공포-회피 반응(fear-avoidance beliefs)은 근골격계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다(Pfingsten 등, 2000). 공포-회피 반응은 통증이 발생할 우려 때문에 환자들이 움직임을 회피하는 행동으로 통증 발생 시 나타나는 정상적 반응이며(Asmundson 등, 1997), 적절한 기간이 지나면 사라져야 한다. 하지만 지속되는 경우 신체 증상의 악화와 만성화로의 진행에 직접적으로 연관된다(Fritz 등,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등.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표준화 연구 I ; 신뢰도 및 요인분석.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1995;4(1):77-95. 

  2. 이중훈, 박병탁. 불안 환자에 대한 불안척도의 연구. 영남의대학술지. 1992;14:156-166. 

  3. Andresen EM. Criteria for assessing the tools of disability outcomes research. Arch Phys Med Rehabil. 2000;81(12 Suppl 2):S15-S20. 

  4. Asmundson GJ, Norton GR, Allerdings MD. Fear and avoidance in dysfunctional chronic back pain patients. Pain. 1997:69(3):231-236. 

  5. Beaton DE. Bombardier C. Guillemin F, et al. Guidelines for the proces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of self-report measures. Spine. 2000;25(24):3186-3191. 

  6. Beck AT. The Depression Inventory. Philadelphia. Center for Cognitive Therapy. 1978. 

  7. Boersma K, Linton S, Overmeer T, et al. Lowering fear-avoidance and enhancing function through exposure in vivo. A multiple baseline study across six patients with back pain. Pain. 2004:108(1-2 ):8-16. 

  8. Burton AK Tillotson KM, Main CJ. et al. Psychosocial predictors of outcome in acute and subchronic low back trouble Spine. 1995:20(6)722-728. 

  9. Chaory K, Fayad F, Rannou F, et al. Validation of the French version of the fear avoidance belief questionnaire. Spine. 2004;29(8):908-913. 

  10. Crombez G. Vlaeyen JW. Heuts PH, et al. Pain related fear is more disabling than pain itself: Evidence on the role of pain-related fear in chronic back pain disability. Pain. 1999;80(1-2):329-339. 

  11. Deyo RA, Gherkin D. Conrad D. et al. Cost, controversy, crisis: Low back pain and the health of the public Annu Rev Public Health. 1991:12:141-156. 

  12. Fairbank JC, Couper J. Davies JB, et al. The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Physiotherapy. 1980:66(8):271 -273. 

  13. Fermanian J. Measuring agreement between 2 observers: A quantitative case. Rev Epidemiol Sante Publique. 1984;32(6):408-413. 

  14. Fritz JM. George SZ. Delitto A. The role of fear-avoidance beliefs in acute low back pain: Relationships with current and future disability and work status. Pain. 2001;94(1)7-15. 

  15. Grotle M, Brox JI. Vollestad NK. Reliability,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Methodological aspects of the Norwegian version. J Rehabil Med. 2006;38(6)346-353. 

  16. Grotle M, Vollestad NK, Veierod MB. et al. Fear-avoidance beliefs and distress in relation to disability in 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Pain. 2004;112(3):343-352. 

  17. Huskisson EC. Measurement of pain. Lancet. 1974;2(7889): 1127-1131. 

  18. Kim DY. Lee SH, Lee HY,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2005;30(5):E123-E127. 

  19. Kovacs FM, Abraira V. Zamora J. et al. Correlation between pain,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mmon low back pain. Spine. 2004;29(2):206-210. 

  20. Kovacs FM, Muriel A, Medina JM, et al.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anish version of the FAB questionnaire. Spine. 2006;31(1):104-110. 

  21. Lethem J. Slade PD. Troup JD. et al. Outline of a Fear Avoidance Model of exaggerated pain perception I. Behav Res Ther. 1983:21(4):401-408. 

  22. McCracken LM, Cross RT. The role of pain-related anxiety reduction in the outcome of multi-disciplinary treatment for chronic low back pain: Preliminary results. J Occup Rehabil 1998;8(3): 179-189. 

  23. Pfingsten M. Kroner-Herwig B. Leibing E, et al. Validation of the German version of the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FABQ). Eur J Pain. 2000;4(3):259-266. 

  24. Portney LG. Watkins MP. Foundations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Health. 2008. 

  25. Rothstein JM, Echtemach JL. Rimer on Measurement: An introductory guide to measurement issues. Alexandria. VA.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1999. 

  26. Severeijns R. Vlaeyen JW. van den Hout MA, et al. Pain catastrophizing predicts pain intensity, dis-ability,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dependent of the level of physical impairment. Clin J Pain. 2001;17(2):165-172. 

  27. Vlaeyen JW, Kole-Snijders AM, Boeren RG, et al. Fear of movement/(re)injury in chronic low back pain and its relation to behavioral performance. Pain. 1995;62(3):363-372. 

  28. Vlaeyen JW, Linton SJ. Fear-avoidance and its consequences in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 state of the art. Pain. 2000;85(3)317 -332. 

  29. Waddell G, Newton M, Henderson I, et al A Fear 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FABQ) and the role of fear-avoidance beliefs in chronic low-back pain and disability. Pain. 1993:52(2):157-168. 

  30. Woby SR, Watson PJ. Roach NK, et al. Are changes in fear-avoidance beliefs, catastrophizing, and appraisals of control, predictive of changes in chronic low back pain and disability? Eur J Pain. 2004;8(3):201-210. 

  31. Zung WW. A rating instrument for anxiety disorders. Psychosomatics. 1971:12(6):371-3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