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복 들기 작업에 따른 허리주변 근육의 근활성도와 근피로도에 대한 근전도 분석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Muscle Activity and Fatigue of the Paraspinal Muscles During a Repetitive Lifting Task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6 no.3, 2009년, pp.16 - 23  

김원호 (울산과학대학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repetitive lifting task on the level of activation and median frequency of the paraspinal muscles,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the maximal acceptable duration of the lifting task to avoid muscle fatigue. Ten healthy male subjects wer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반복 들기(등장성 수축)에 의해 유발된 근육피로에 따라 중앙주파수와 근활성도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근육피로를 유발하지 않는 적절한 들기 작업 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반복 들기 작업에 따른 심장박동수, Borg CR10 점수(Tecklin, 2007), 그리고 왼쪽 척추세움근, 왼쪽 뭇갈래근, 왼쪽과 오른쪽 바깥배빗근, 그리고 왼쪽 배곧은근의 근전도 값(근활성도와 중앙주파수)의 변화를 알아보고 피로를 유발하지 않는 최대 작업 허용시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들기 작업에서, 비대칭적 들기는 대칭적 들기보다 신체에 부담을 많이 주기 때문에 대칭적 들기를 교육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작업 공간, 작업특성 때문에 대칭적들기를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 연구는 동적인 비대칭적 들기 작업에 따른 근육 피로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허리주변 근육의 근활성도와 중앙주파수의 변화와 Borg CR10 점수를 알아보았다. 부상위험을 줄이기 위해 들기 작업 시작 전에 준비운동과 마무리 운동을 실시하게 하였다.
  • 이 연구는 반복 들기(등장성 수축)에 의해 유발된 근육피로에 따라 중앙주파수와 근활성도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근육피로를 유발하지 않는 적절한 들기 작업 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반복 들기 작업에 따른 심장박동수, Borg CR10 점수(Tecklin, 2007), 그리고 왼쪽 척추세움근, 왼쪽 뭇갈래근, 왼쪽과 오른쪽 바깥배빗근, 그리고 왼쪽 배곧은근의 근전도 값(근활성도와 중앙주파수)의 변화를 알아보고 피로를 유발하지 않는 최대 작업 허용시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이 연구는 반복 들기(등장성 수축)에서 중앙주파수와 근활성도를 이용한 근육피로 측정치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근육피로를 유발하지 않는 적절한 들기 작업 시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건강한 20대 남성 12명은 15 ㎏의 상자를 분당 12회로 10분 동안 반복 들기 작업을 실시하였다.
  • 대부분의 연구들이 생리적 기준을 알아보기 위해 최대 산소소모율과 심장박동수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생리적 기준치는 전신적인 지구력을 기준으로 신체적 작업능력에 대한 생리적 기준치를 알아보는 것이다. 반복 작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신적인 지구력보다 국소적인 근육지구력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업무상 질병자 중 근골격계 질환자의 비율은 어떠한가? 특히, 건설, 제조, 물류 등의 분야에선 여전히 인력물자취급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정성학과 김홍기, 1999). 우리나라의 경우, 업무상 질병자 중 33%가 근골격계 질환이고, 근골격계 질환 중 80%가 반복 동작이나 과도한 동작에 의한 것이다(한국 산업안전공단, 2002). 고상백 등(2000)은 일부조선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전체 직업관련 질환 중 근골격계 질환이 10.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제안한 생리적 기준치가 고려하지 않은 것은?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생리적 기준치를 작업대의 높이와 작업시간에 따라 최대 940 ㎖O2/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 기준은 들기 작업의 빈도수를 고려하지 않고 적용된 것이기 때문에, 들기 작업 빈도수가 다른 경우에는 일률적으로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다(정성학과 김홍기, 1999). 또한 생리적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들기 작업이 아닌 트레이드밀과 고정식 자전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들기 작업에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기준을 국내에 그대로 적용하기 힘들다.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해 규정하는 생리적 기준치는?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생리적 기준치를 작업대의 높이와 작업시간에 따라 최대 940 ㎖O2/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 기준은 들기 작업의 빈도수를 고려하지 않고 적용된 것이기 때문에, 들기 작업 빈도수가 다른 경우에는 일률적으로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다(정성학과 김홍기,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고상백, 김형식, 최홍렬 등. 일부 조선업 근로자의 직업성 요통 발생 실태 및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1):1-11. 

  2. 김영근, 김정룡, 신현주. 비대칭 동적 듣기 작업 시 몸통근육의 피로회복 패턴 비교. 대한인간공학학회지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06:155-158. 

  3. 박지수, 김홍기, 최진영. 작업유형에 따른 생리학적 작업능력의 비교 분석. 대힌인간공학회지. 1996;15(2):89-98. 

  4. 윤훈용. 대칭과 비대칭 들기 작업에서의 인체심리학적 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4;14(1):33-40. 

  5. 정성학, 김홍기. 인력물자취급시 작업빈도에 따른 생리적 작업능력의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1999;18(2):1-9. 

  6. 한국산업안전공단. 2001년 산업재해원인조사. 2002. 

  7. AIHA Technical Committee. Ergonomics guide to assessment of metabolic and cardiac costs of physical work. Am Ind Hyg Assoc J 1971;32(8):560-564. 

  8. Allison GT, Henry SM. Trunk muscle fatigue during a back extension in standing. Man Ther. 2001:6(4):221-228. 

  9. Arnall FA, Koumantakis GA, Oldham JA, et al. Between-days reliability of electromyographic measures of paraspinal muscle fatigue at 40, 50, and 60% levels of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force. Clin Rehabil. 2002;16(7):761-771. 

  10. Bonato P, Ebenbichler GR, Roy SH, et al. Muscle fatigue and fatigue-related biomechanical changes during a cyclic lifting task. Spine. 2003;28(16):1810-1820. 

  11. Champagne A, Descarreaux M, Lafond D. Back and hip extensor muscle fatigue in healthy subjects: Task-dependency effect of two variant, of the Sorensen test. Em Spine J. 2008;17(12):1721-1726. 

  12. Clark BC, Manini TM, Ploutz-Snyder LL. Derecruitment of thc lumbar musculature with fatiguing trunk extension exercise. Spine. 2003;28(3):282-287. 

  13. Clark BC, Manini TM, Ploutz-Snyder LL. Fatigue-induced changes in phasic muscle activation patterns during dynamic trunk extension exercise. Am J Phys Med Rehabil. 2007;86(5):373-379. 

  14. Cra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Maryland Aspen, 1998:322-324. 

  15. Daniels L, Worthingham C. Muscle Testing: Techniques of manual examination. 5th ed. Philadelphia, PA, W.B. Saunders Co., 1986:26-27. 

  16. Dedering A, Nemeth G, Harms-Ringdahl K. Correlation between electromyographic spectral changes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lumbar muscle fatigue in subjects without pain from the lower back. Clin Biomech. 1999;14(2):103-111. 

  17. Ebenbichler GR, Bonato P, Roy SH, et al. Reliability of EMG Lime-frequency measures of fatigue during repetitive lifting. Med Sci Sports Exerc. 2002;34(8):1316-1323. 

  18. El ahrache K, Imbeau D, Farbos B. Percentile values for determining maximum endurance times for static muscular work. Int J Ind Ergon. 2006;36:99-108. 

  19. Farina D, Gazzoni M, Merletti R. Assessment of low back muscle fatigue by surface EMG signal analysis: Methodological aspects.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19-332. 

  20. Gang A, Hegmann K, Kapellusch J. Short-cycle overhead work and girdle muscle fatigue. Int J Ind Ergon. 2006;36:581-597. 

  21. Granata KP, Orishimo KF, Sanford AH. Trunk muscle coactivation in preparation for sudden load. J Electromyogr Kinesiol. 2001;11(4):247-254. 

  22. Krogh-Lund C, Jorgensen K. Changes in conduction velocity, median frequency, and root mean square-amplitude of the electromyogram during 25%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of the triceps brachii muscle, to limit of endurance. Eur J Appl Physiol. 1991;63(1):60-69. 

  23. Kupa EJ, Roy SH, Kandarian SC, et al. Effects of muscular fiber-type and size on EMG median frequency and conduction velocity. J Appl Physiol. 1995:79(1):23-32. 

  24. Ng JK, Richardson CA, Jull GA. Electromyographic amplitude and frequency changes in the iliocostalis lumborum and mutifidus muscles during a trunk holding test. Phys Ther. 1997;77(9):954-961. 

  25. Norris CM. Back Stability. Champaign, IL, Human Kinetics. 2000:62-64. 

  26. Perry J.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New Jersey. Slack Inc., 1992:381-411. 

  27. Plamonedon A, Trimble K, Lariviere C, et al. Back muscle fatigue during intermittent prone back extension exercise. Scand J Med Sci Sports. 2004:14(4):221-230. 

  28. Portney LG, Watkins MP. Foundation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Appleton & Lange. 1993:432-435. 

  29. Roy SH, Bonato P, Knaflitz M. EMG assessment of back muscle function during cyclical lifting. J Electromyogr Kinesiol. 1998:8(4):233-245. 

  30. Tecklin. Airway clearance dysfunction. In: Cameron MH, Monroe LG, eds. Physical RehabiLitation: Evidence-based examin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Canada, Saunders Co., 2007:645. 

  31. Thuresson M, Ang B, Linder J, et al. Mechanical load and EMG activity in the neck induced by different head-worn equipment and neck postures. Int J Ind Ergon. 2005:35(1):13-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