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oastal Eros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1 no.2, 2009년, pp.174 - 181  

조광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전략평가연구실) ,  맹준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검토센터) ,  신현화 (동일기술공사 항만부) ,  주용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검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환경평가제도에서 해안침식 문제를 합리적으로 다루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기존 환경평가서를 대상으로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기술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안침식 검토가 필요한 개발계획은 전체 검토사업 중 약 20%를 차지하였으며 사업규모가 클수록 그 비율은 증가하였다. 환경평가 대상사업 중 해안침식 검토가 필요한 사업에 대한 재정비와 함께 현재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에 대해서도 항목설정, 영향예측, 및 사후관리 등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황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작성규정 재정비, 관련 가이드라인 개발, 누적영향평가 실시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안침식 영향평가의 과학적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사후관리가 주요한 과정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해안침식과 관련하여 사후관리 기간의 재검토, 과학적 보상방안 도입 및 사후관리 기관의 설치 등의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연안토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가종합정책의 개발이 필요하며, 전략 환경평가를 통한 이들 정책 및 계획의 합리성을 검토하고 사업환경평가를 통하여 일관성이 유지되는 과정이 구축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s a preliminary attempt to effectively incorporate the environmental issue of coastal erosion into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ss of Korea. We assess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n coastal erosion for the previous development plans and provide potential dir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P7사업의 경우 해수욕장의 해안선의 변화여부에 대해 34개 지점을 대상으로 해안선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사업의 경우 조사 자료를 토대로 다양한 분석을 통하여 유실량과 퇴적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나타내었다. 그 결과 사업지 주변 해수욕장은 전반적인 침식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지속발전의 이행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환경평가제도 내에서 해안침식평가를 정립하기 위한 기초적이고 일차적인 시도이며 이를 통하여 해안의 지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해양환경평가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을 스크리닝, 영향평가 및 사후관리 단계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제도적 및 기술적 관점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을 기존 사업계획에 대한 환경평가를 토대로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해안침식 환경평가의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안침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사업은 전체 환경평가 대상사업 중 약 20%를 차지하였으며, 사업규모가 증가할수록 그 비율은 증가하였다.
  • 우리나라 개발사업 환경평가시 해안침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이 상당수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나 몇몇 분야를 제외하고는 해안침식 영향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검토가 이루어지는 분야의 경우에도 환경평가기준에 크게 미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침식 환경평가의 개선방안을 환경평가의 기본적인 접근 방법 및 최적관행에 기초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제도적 개선의 일환으로 현행 환경평가서작성규정(환경부, 2008)의 개선 필요성도 함께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후자의 경우 사후 모니터링을 통하여 그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이 과학적 진보와 함께 환경평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사후모니터링의 일관성 문제이다. 사후관리는 환경평가시 예측된 사항의 적절 여부, 저감효과 확인 및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처 등을 목적으로 수행하며 이 과정을 통하여 습득된 지식 및 경험은 평가과정에 다시 제공되어 영향평가제도의 발전 및 효율성에 기여하여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평가는 언제 어느 국가에서 처음으로 법제화되었는가? 환경평가는 각종 개발 계획을 수립·시행하는 정책결정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분석하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제도이다(IAIA, 1999; UNEP, 2002). 환경평가는 1969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법제화(National Environment Protection Act: NEPA)(USEPA, 1998) 된 이후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환경보전법을 시작으로 2009년 환경영향평가법으로 확대·발전되어 왔다(조 등, 2008).
해안침식이 세계적인 환경문제로 대두된 배경은 무엇인가? 해안침식은 인류사회의 개발 관행과 기후변화 등 환경 영향의 중첩으로 세계적인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Eurosion, 2004; IPCC, 2007). 국제사회는 해안침식을 연안서식지 유실 등의 자연환경 문제와 수산, 관광, 방제 등 사회·경제 문제는 물론 국토유실 측면까지 연안역의 지속발전을 위협하는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Tyndall Centre, 2006).
해안침식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누적영향평가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누적영향은 해당 사업계획은 물론 과거 및 장래의 사업에 의한 영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다양한 사업들에 의한 영향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해안침식의 경우 기후변화와 같이 시·공간규모가 매우 큰 요소에서 준설과 같이 규모가 작은 다양한 요소가 중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특정 개발 사업으로 인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누적영향평가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규한, 유형석, 정의진 (2008). 해안침식 관리시스템과 그 적용,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6호, 602-610 

  2. 맹준호, 조광우, 주용준, 이지현, 홍재상, 강윤구, 김규한 (2005). 해양매립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의 효율적인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조공장, 최준규, 박영민, 송영일, 사공희, 이상법, 정주철, 임영신 (2008). 환경평가제도 30년의 성과분석과 발전방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 조광우, 맹준호, 주용준, 신현화, 김규한 (2006). 해안개발사업에 따른 해안침식 영향 저감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 환경부 (2008). 고시·훈령·예규 등 환경영향평가 관련 규정집. 환경부 환경평가과 

  6. 해양수산부 (2002). 연안침식방지 종합대책수립을 위한 조사 연구용역(I). 해양수산부 

  7. 해양수산부 (2002). 연안침식방지 종합대책수립을 위한 조사 연구용역(I). 해양수산부 

  8. 해양수산부 (2003). 연안침식 모니터링체계 구축용역 I. 해양수산부 

  9. 해양수산부 (2008). 연안침식방지 기술개발연구 제3차년도 보고서. 해양수산부 

  10. EC (2009). The National Environmental Effects Monitoring 

  11. Eurosion (2004). Living with Coastal Erosion in Europe: Sediment and Space for Sustainability. European Union 

  12. FEARO (1994). A Reference Guide fo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Act. Addressing Cumulative Environmental Effects. Federal Environmental Assessment Review Office. Environment Canada 

  13. GC (2004). Smart Regulation-A Regulatory Strategy for Canada. External Advisory Committee on Smart Regulation. Government of Canada 

  14. Hanna, K.S. (2005).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Canada 

  15. HCC (2003).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House of Commons Canada. Canada 

  16. IAIA (1999). Principl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est Practic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 

  1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Working Group I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8. Tyndall Centre (2006). Research Strategy 2006-2009. Tyndall Centre for Climate Change Research. UK 

  19. UNCED (1992). Agenda 21.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Earth Summit. Rio de Janeiro 

  20. UNEP (2002).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raining Resource Manual.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21. USEPA (1998). Principl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A 

  22. WCED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