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3 no.2, 2009년, pp.36 - 40
이종호 (원광대학교 소방행정학부) , 김두현 (충북대학교 안전공학과) , 김성철 (충북대학교 안전공학과)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about the development of electrical fire cause classif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electrical fire statistics and to collect electrical fires data efficiently. The incorrect and biased knowledge for electrical fires changed the classification of certai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일본에서는 전기화재뿐만 아니라 모든 화재를 발화원과 화재원인을 혼용하여 통계 처리 및 화재종별 종합출화 원인까지도 통계처리를 하고 있는 이유는? | 일본의 전기화재 분류는 출화의 경과별과 발화설비 별로 분류하고 있다. 경과별 분류는 전기에너지가 착화에 기인할 수 있는 과정을 중심으로 경과별로 화재의 원인을 분류하고 있지만 경과별 원인에 대한 조사자의 입장차이로 유사한 화재에 대해 서로 다른 원인으로 분류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특히, 트래킹이나마이그레이션 등이 포함되어 있어 감식 및 원인판단의 어려움이 내포하고 있다. 발화설비별은 전기기기 및 설비를 전열기, 전기기기, 배선·배선기구, 전기장치, 기타 전기관련이라는 5가지의 범주로 분류하고 있고 각각의 범주에 속하는 기기들이나 설비들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 |
국내 화재통계상에서 전기화재의 점유율은? | 전기화재 통계분석을 위한 자료는 원인조사 과정에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에 의한 결과이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작성한 통계는 화재예방대책을 세우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3) 국내 화재통계상에서 전기화재는 지난 1973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30% 이상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가 2007년 국가화재분류체계를 재정비하면서 화재발생 원인별 2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화재 비율은 원인분류체계의 오류에서 비롯된 것임을 판단할 수 있다. | |
체계적인 전기화재 분류 및 범주의 정의 등이 필요한 이유는? | 전기화재의 원인분류는 원인 규명과 진단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즉, 원인조사 및 규명이 어려운 화재를 분류체계상의 문제로 전기화재라는 결론을 내리는 경우가 있어 체계적인 전기화재 분류 및 범주의 정의 등이 필요하다. |
김만건, '전기화재 원인과 예방대책', 손해보험협회, pp.70-85(2002)
이종호, 김두현, 김성철, '전기화재 원인진단을 위한 사례기반 시스템 구축',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1, No.2, pp.42-47(2007)
John D. DeHaan, 'Kirk's Fire Investigation-Fifth edition', pp.305-351(2002)
소방방재청, '2007년 전국화재발생현황분석결과분석', http://www.nema.go.kr(2008)
한국전기안전공사, '해외 전기재해 총괄통계', http://www.kesco.or.kr(2008)
NFPA 901, 'Uniform Coding for Fire Protection', NFPA(2004)
USFA, 'National Fire Incident Reporting System Version 5.0 Design Documentation Specification', FEMA(2006)
東京消防, '新火災調査敎本-第2卷 電氣火災編', 東京防災指導協會, pp.437-548(2004)
소방방재청, '국가화재분류체계 매뉴얼', pp.29-33 (200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