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evaluate the efficacy of herbal medicine on CRF, clinical study on one case of 48 year old male patient of CRF was performed. The patient complained of general weakness and anorexia, dizziness and both lower limb edema. Methods :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ion of Symptoms(變證),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시행 하였다.이 후 입원기간 동안 BUN,Creatinine,Hgb,Albumin의 검사 소견 및 임상 증상에서 유의성 있는 호전을 확인 하였고,퇴원 후 3개월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역시 유의성 있는 호전이 관찰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全身無力感, 眩暈, 兩下肢浮腫, 食欲不振을 주 증상으로 來院한 만성신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氣血虛弱으로 인한 虛勞로 변증하고 十全大補湯을 투약하여 병리 검사 상 유의성 있는 변화 및 임상 증상의 호전을 확인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신부전은 언제 임상증상이 나타나는가? 만성 신부전(Chronicrenalfailure)이란 장기간에 걸친 신원질량의 감소로 인하여 사구체 여과율이 비가역적으로 감소한 상태를 말하며,보통 사구체 여과율이 25% 미만으로 저하되면 임상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1.2).
한의학에서 만성 신부전은 어떤 범주에 속하는가? 한의학에서 만성신부전은 浮腫,關格,虛癆,六極,腎風,虛損 등의 범주에 속하며 正氣의 不足을 주된 병리기전으로 外感,水液停滯,濕熱,托毒,血瘀등의 兼病을 나타낸다 5.
만성 신부전은 무엇인가? 만성 신부전(Chronicrenalfailure)이란 장기간에 걸친 신원질량의 감소로 인하여 사구체 여과율이 비가역적으로 감소한 상태를 말하며,보통 사구체 여과율이 25% 미만으로 저하되면 임상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대한신장학회. 임상신장학. 서울:광문출판사. 2001: 593-725. 

  2. 두호경. 신계내과학. 서울:성보사. 2003:528. 

  3. 남양훈, 서인석, 임지환, 최준혁, 김장언, 최진오, 오지민, 권규흠, 윤수진, 윤성민. 말기 신부전환자에서 사전의사결정서의 적용.대한신장학회지. 2008;27:85-93. 

  4. 김용수, 방병기. 우리나라 투석요법의 현황. 대한신장학회지. 1992;11(3) 

  5. 양 위, 주문봉, 용국향, 주소주, 호학군, 구용만. 681례의 만성신부전 환자에 대한 각 단계에서 의 사실겸증의 특점 분석. 동서의학. 2007;32(2) :28-38. 

  6. 황원덕. 만성신부전에 대한 침향의 임상적용보 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2):368-78. 

  7. 정기훈, 장선규, 조충식, 김철중. 귤피전원을 처 방한 만성신부전 환자 1례에 대한 보고. 대전대 학교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7;16(2):229-34. 

  8. 이경환, 김용성, 곽정진, 류형천, 김행진. 만성신 부전으로 의심되는 환자에서 주증에 따른 한의 학적 변증치료의 예.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 24(4):1046-54. 

  9. 조민정, 오재준, 주예진, 정혜미, 윤철호. 한약 관장법으로 호전된 신부전 환자 2례. 한방내과학회지. 2008;29(4):1115-22. 

  10. Greeeberg, Cheung, Coffman, Falk, Jennettc. 임상 신장학 입문.서울:신흥메드싸이언스.2002: 389. 

  11. 의학계열 27인공역. 가이톤의 의학 생리학. 서울:정담출판사. 2002:421-30. 

  12. 대한내과학회 편. 해리슨내과학. 서울:도서출판 MIP. 2003:1598-600. 

  13. 이종호. 만성 신부전의 투석 전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1999;57(4):783-9. 

  14. 丁?, 王?治. ?明治療慢性腎功能衰竭經驗. 北京中醫學論文集. 2008;27(8):599-601 

  15. 최승훈, 오민석, 송태원. 십전대보탕의 면역증 강 및 항암효과.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2;11:257-83 

  16. 강순주. 바른방제학. 서울:법인문화사. 1996:200-1. 

  17. RobertK. Y, Zee-Cheng. Shi-Quan-Bu-Tang, SQT. A Potent Chinese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in cancer Immunotherapy, Potentiation and Detoxification of Anticancer Drugs. Meth Find Exp Clin Pharmacol. 1992;14(9):725-36. 

  18. 채우석, 성일환. 합곡, 태충, 사관혈에 대한 문 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 연구소 논문집. 1993;2(1):133-47 

  19. 전국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편저. 침구학. 서울:집문당. 2001:383-4, 404-5, 722-3, 731-2. 

  20. 박춘하. 삼음교 침자가 부교감신경의 방광분 지, 경골신경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 학교대학원(석사).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