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속단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SogDan' from Korea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0 no.4 = no.159, 2009년, pp.286 - 288  

박종희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  배지영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  안미정 (진주산업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gDan(續斷)' is one of the crude drugs used mainly as a tonic and analgesic.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never been studied pharmacognostically.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SogDan from Korea,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hlomis umbrosa Turcz. and Phlomis koraiensis Naka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뿌리라고 기재되어 있다.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국산 속단의 기원을 명확히 할 목적으로 시장품과 비교식물을 비교조직학적으로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속단(續斷)은 어디에 수재 되어 있는가? 속단(續斷)은『神農本草經』1)의 중품에 수재 되어 있으며, 옛날부터 골절, 요통, 유즙 분비 부족 등의 치료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續斷散2), 續斷止血湯3), 思仙續斷圓4) 등의 처방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속단은 옛날부터 어떤 치료약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속단(續斷)은『神農本草經』1)의 중품에 수재 되어 있으며, 옛날부터 골절, 요통, 유즙 분비 부족 등의 치료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續斷散2), 續斷止血湯3), 思仙續斷圓4) 등의 처방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중국산 續斷의 기원에 관해서 『中葯志』 및 『中華人民共和國葯典』에는 무엇이 기재되어 있는가? 중국산 속단의 기원에 관해서 『中葯志』5) 및『中華人民共和國葯典』6)에는 Dipsacus asper Wall.의 뿌리,『中葯大辭典』7)에는 Dipsacus asper Wall. 및 D.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森立之重輯 (1955) 神農本草經, 64. 中國古典醫學叢刊, 群聯出版社, 上海 

  2. 孫思邈 (1954) 備急千金要方, 462. 國立中國醫藥硏究所, 台北 

  3. 孫思邈 (1954) 千金翼方, 207. 國立中國醫藥硏究所, 台北 

  4. 太平惠民和劑局編 (1959) 太平惠民和劑局方, 93. 人民衛生出版社, 北京 

  5. 中國醫學科學院藥物硏究所等編 (1982) 中葯志 II, 536. 人民衛生出版社, 北京 

  6. 國家葯典委員會編 (2005) 中華人民共和國葯典 一部, 231. 化學工業出版社, 北京 

  7. 江蘇新醫學院編 (1977) 中葯大辭典 下冊, 2267. 上海人民出版社, 上海 

  8. 南京葯學院葯材學敎硏組集體編 (1961) 葯材學, 662. 人民衛生出版社, 北京 

  9.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216. 도서출판동원문화사, 서울 

  10. 難波恒雄 (1993) 和漢藥百科圖鑑 I, 185. 保育社, 大阪 

  11. 申佶求 (1982) 申氏本草學 各論, 529. 壽文社, 서울 

  12. 陸昌洙 (1981) 韓國本草學, 242. 계축문화사, 서울 

  13. 박종희, 배지영 (2007) 한국 강활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8: 305-307 

  14. 박종희, 도원임 (2007) 익모초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8: 148-151 

  15. 권성재, 박종희 (2008) 가시오갈피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9: 50-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