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로감염 영아에서 일차성 방광요관역류
Factors Related to the Resolution of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3 no.1, 2009년, pp.40 - 48  

정재원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  우미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  구자국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영아기 VUR은 다른 시기에 비해 그 유병률이 높으며 여러 가지 상반된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데 영아에서는 VUR의 소실율이 크지만, 역류가 지속되면, 신결손, 신실질 내의 위축, 신기능의 저하 등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영아기 VUR의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7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소아 청소년과에서 요로 감염으로 진단받은 1세 미만인 183명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인 증상과 검사실 소견 및 요로감염 원인 균주를 조사하였고, 환아들에게 신초음파, DMSA 신스캔 및 VCUG를 시행하였으며, 이후 추적 DMSA 신스캔과 VCUG를 통해 VUR 등급, 성별, VUR 양측성 유무 및 신반흔과 VUR의 소실율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VUR이 있는 영아 51명중 I-II등급이 18명, III등급은 10명, 나머지 23명은 IV-V등급이었다. 여아들의 경우 급성기 DMSA 신스캔에서 신결손 소견과 VUR 등급간에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P<0.001), 남아의 경우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849). 추적 DMSA를 시행한 결과, 남아에서 여아보다 신반흔 발생이 많았으며, VUR 등급이 높을수록, 신반흔 발생이 많았다(P<0.001). 수신증 등의 초음파 이상 소견의 빈도는 남아, 여아 모두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1명의 VUR 환아들에게 추적 VCUG를 실시하였다. VUR을 보인 51명의 환아에서 남아 37명 중에 25명(67.6%), 여아는 전체 14명 중에서 11명(78.6%)에서 VUR이 소실되어 성별에 따른 VUR 소실율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여아의 경우 VUR 등급에 따른 VUR 소실율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581), 남아의 경우 VUR이 심할수록 VUR 소실율이 낮았다(P=0.025). 남아는 VUR가 일측성인 경우, 양측성인 경우보다 의미 있게 높은 VUR 소실율을 나타내었으나, 여아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신반흔이 없는 경우 유의하게 VUR 소실율이 신반흔이 있는 경우보다 높았다(P<0.001). 결 론 : 영아기 일차성 VUR 환아들에 있어 신반흔이 없는 경우 VUR 소실율이 높았고, 남아의 경우 VUR 등급이 낮으며, 일측성 VUR인 경우 VUR 소실율이 높았으나, 여아의 경우에는 VUR 등급 및 VUR의 양측성 유무가 VUR 소실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resolution of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VUR) in infants. Methods : We reviewed 183 infants (M : F=149 : 34) diagnosed as urinary tract infection (UTI) between February 2002 and July 2007 at Sanggye Paik Hospital. The diagno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신생아기에서 소아기로의 이행기인 영아기 일차성 VUR에서는 남아에서 VUR 정도가 심하고 위축신 동반율이 높지만 자연 소실율이 높아 수술적 치료가 불필요하다는 많은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8, 9]. 본 연구는 요로감염 발생 후에 진단된 영아기 일차성 VUR의 임상적 특징을 확인하고 자연 소실율과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에서 요로감염 유병률은 얼마인가? 소아에서 요로감염 유병률은 여아에서 3-5%, 남아에서 1%로 영아기에 가장 많이 발병하며, 방광요관역류와 요관의 폐쇄성 병변 등 요로계 기형과 관련되어 있는 경우가 흔하다[1]. 요로감염 환아에서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하는 목적은 요로감염에 선행하는 비뇨기계의 이상을 발견하여 진단, 치료, 추적관리를 하는데 있다[1].
요로감염 환아에서 영상학적 검사에서 발견되는 기형 중 가장 흔한 것은 무엇인가? 요로감염 환아에서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하는 목적은 요로감염에 선행하는 비뇨기계의 이상을 발견하여 진단, 치료, 추적관리를 하는데 있다[1]. 발견되는 기형 중 가장 흔한 것은 방광요관역류로(vesicoureteral reflux, VUR)일반적으로 1%의 유병률을 보이나 요로감염 환아의 약 40%에서 동반된다[1, 2]. VUR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고혈압, 말기신부전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의 진단과 치료는 중요하다[3].
요로감염 환아에서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소아에서 요로감염 유병률은 여아에서 3-5%, 남아에서 1%로 영아기에 가장 많이 발병하며, 방광요관역류와 요관의 폐쇄성 병변 등 요로계 기형과 관련되어 있는 경우가 흔하다[1]. 요로감염 환아에서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하는 목적은 요로감염에 선행하는 비뇨기계의 이상을 발견하여 진단, 치료, 추적관리를 하는데 있다[1]. 발견되는 기형 중 가장 흔한 것은 방광요관역류로(vesicoureteral reflux, VUR)일반적으로 1%의 유병률을 보이나 요로감염 환아의 약 40%에서 동반된다[1,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Elder JS. Urinary tract infections. In: Kliegman RM, Behrman RE, Jenson HB, Staton BF. Nelson Textbook of Pediatrucs 18th ed. Philadephia : W.B Saunders Co, 2007:2223-8. 

  2. Elder JS. Vesicoureteral reflux. In: Kliegman RM, Behrman RE, Jenson HB, Staton BF. Nelson Textbook of Pediatrucs 18th ed. Philadephia : W.B Saunders Co, 2007:2228-34. 

  3. Arant BS Jr. Vesicoureteral reflux and renal injury. Am J Kidney Dis 1991;17:491-511. 

  4. Lim HS, Park CR, Ko CW, Koo JH. Urinary tract infection and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1997;1:46-52. 

  5. Rolleston GL, Shannon FT, Utley WL. Relationship of infantile vesicoureteral reflux to renal damage. Br Med J 1970;1:460-3. 

  6. Bourchier D, Abbott GD, Maling TM. Radiological abnormalities in infa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Arch Dis Child 1984;59:620-4. 

  7. Silva JM, Santos Diniz JS, Marino VS, Lima EM, Cardoso LS, Vasconcelos MA, et al. Clinical course of 735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Pediatr Nephrol 2006;21:981-8. 

  8. Silva JM, Diniz JS, Lima EM, Renata M. Vergara RM and Oliveira EA. Predictive factors of resolution of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a multivariate analysis. Pediatric Urology 2005;18:1063-8. 

  9. Yi DY, Kim NY, Cho HY, Kim JE, Sim SY, Son DW, Jeon IS and Cha H. Prediction of High Grade Vesicoureteral reflux in infants less than 3 mo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8;2:178-85. 

  10. Woo MK, Kim MS and Koo JW. Should voiding cystourethrography be performed for infa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Korean J Pediatr Nephrol 2008;12:54-61. 

  11. Lebowitz RL, Olbing H, Parkkulainen KV, Smellie JM, Tamminen-Mobius TE. International system of radiographic grading of vesicoureteral reflux. Pediatr Radiol 1985;15:105-9. 

  12. Mahant S, Fridman J, MacArthur C. Renal ultrasound findings and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hospitaliz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Arch Dis Child 2002;86:419-20. 

  13. Lin CH, Yang LY, Wang HH, Chang JW, Shen MC, Tang RB. Evaluation of imaging studies for vesicoureteral reflux in infants with first urinary tract infection. Acta Paediatr Taiwan 2007;48:68-72. 

  14. Smellie JM, Poulton A, Prescod NP. Retrospective study of children with renal scarring associated with reflux and urinary tract infection. BMJ 1994;308:1193-6. 

  15. Jakobsen BE, Genster H, Olesen S, Nygaard E.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Br J Urol 1977;49:119-27. 

  16. Goldman M Bistritzer T, Horne T, Zoareft I, Aladjem M. The etiology of renal scar in infant with pyelonephritis and vesicoureteral reflux. Pediatry Nephrol 2000;14:385-8. 

  17. Nam HY, Shin JH, Lee HJ, Choi EN, Park HW. Vesicoureteral reflux and Renal scar.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6;10:201-12. 

  18. Vachvanichsanong P, Dissaneewate P, Lim A, Geater A. Outcome of conservative management of conservative treatment of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in 87 Thai children in a single center. International Journal of Urology 2006;13:1393-97. 

  19. Kim SJ, Hong HS, Choi DL, Kim EM. Contrast VCUG and Direct Isotope VCUG in Childhood. Korean J Pediatr Nephrol 1999;12: 187-95. 

  20. Wennerstorm M, Hansson S, Jodal U, Stokland E. Disappearance of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Arch Pediatr Adolesc Med 1998;152:879-83. 

  21. Schwab CW Jr, Wu HY, Selman H, Smith GH, Snyder HM 3rd, Canning DA. Spontaneous resolution of vesicoureteral reflux: a 15-year perspective. J Urol 2002;168:2594-9. 

  22. Aladjem M, Boichis H, Hertz M, Herzfeld S. The conservative management of vesicoureteral reflux. A review of 121 children Pediatrics 1980;102:50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