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의 지방 섭취 저감화를 위한 교육 콘텐츠 및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s and Textbooks for the Education to Reduce Elementary Students' Fat Intak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4 no.2, 2009년, pp.158 - 167  

김유경 (경북대학교 가정교육과) ,  김주영 (대구 청림초등학교) ,  차명화 (경북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경애 (부산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  이성숙 (광주교육대학 실과교육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children's fat intake and to establish healthy dietary lifestyles. To achieve these goals, we searched,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fat education, based on which the research personnel-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in nutrition and chi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단원, “돌연변이, 트랜스 지방”: 트랜스 지방에 대한 특성을 친구들의 대화를 통해 설명하고 이해하게 한다.
  • 3단원, “알쏭달쏭 트랜스 지방”: 캐릭터를 이용하여 트랜스 지방을 제시하고 식물성 기름과 트랜스 지방의 특성을 비교하는 활동을 해보게 한다.
  • 저학년에서는 지방과 트랜스 지방이 든 식품을 많이 섭취하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인식하도록 하고, 학생들 스스로 지방과 트랜스 지방 섭취 정도를 파악하도록 하여 본인 건강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지방과 트랜스 지방 식품의 섭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알고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사례를 설명하였다. 고학년에서는 지방과 트랜스 지방이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과다 섭취하면 발생 가능한 질환을 제시하여 나의 식생활과 연계하여 이해도를 높였다.
  • 따라서 본 교재에서도 아등의 관심과 흥미를 지속시키고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하기 위하여 ‘식품선택하기, 비교하기, 스티커 붙이기, 상차리기, 이야기하기, 노래하기, 마인드맵 구성’ 등의 다양한 ‘해보기’ 활동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읽어보기 에서 콜레스테롤을 소개하고 좋은 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을 캐릭터를 이용하여 제시하고 설명한다. 만화를 통하여 에스키모인의 낮은 심장병 발병률과 생선기름의 유익함을 소개한다. 3단원, “돌연변이, 트랜스 지방”: 트랜스 지방에 대한 특성을 친구들의 대화를 통해 설명하고 이해하게 한다.
  • 본 교재는 어린이들의 지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스스로 지방 섭취량을 조절하여 건강한 실생활을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교재가 널리 활용되어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각 단원별 관련되는 내용을 ‘읽어보기‘를 통해 보충·심화하였고, 또한 식품선택하기, 비교하기, 스티커 붙이기, 이야기하기, 평가하기, 노래하기, 마인드맵 구성, 등의 다양한 활동 ’해보기‘를 통해 교육 내용을 보다 잘 이해하고 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교재에서는 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인지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교육내용과 활동을 차별하였으며 수준별로 적절한 어휘를 선정하여 내용을 전개하였다.
  • 각 단원별 관련되는 내용을 ‘읽어보기‘를 통해 보충·심화하였고, 또한 식품선택하기, 비교하기, 스티커 붙이기, 이야기하기, 노래하기, 마인드맵 구성, 등의 다양한 활동 ‘해보기’를 통해 교육 내용을 보다 잘 이해하고 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교재에서는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어린이의 인지 수준과 언어능력을 고려하여 수준별로 적절한 어휘를 선정하고 내용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고·저학년 모두 지방산을 지방으로 대신하였고, 저학년에서는 불포화지방과 포화 지방을 식물성 지방과 동물성 지방으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소아비만을 예방하기 위하여 어린이의 지방섭취 저감화 교육을 위한 교육 콘텐츠 및 교재를 개발하였다.
  • Lee 등(2005)도 영양 교사화 초기 단계에서 영양교육의 활성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영양교육 교재와 교사용 지침서를 함께 개발하여 보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학습자용 교재와 더불어 차시별 교수내용 및 지도방법을 상세하게 안내한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여 지방 저감화 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한 학습자와 교육자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 3단원, “돌연변이, 트랜스 지방”: 트랜스 지방에 대한 특성을 친구들의 대화를 통해 설명하고 이해하게 한다. 여러 가지 지방의 종류와 특성을 비교해보게 한다. 4 단원, “트랜스 지방 출현의 비밀”: 삽화를 통하여 가수소화를 통한 트랜스 지방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고, 액체지방을 고체지방으로 전환시켜 가공하는 이유와 트랜스 지방을 가공 식품에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 첫 번째 영역인 ‘지방의 개념’에서는 영양소로서 지방의 가치를 이해시키기 위해 지방의 종류와 기능 및 트랜스 지방의 특성을 알게 하였다. 저학년에서는 지방이 우리 몸에서 하는 일을 이해함으로써 지방의 영양학적인 가치를 알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물성 기름, 동물성 기름, 트랜스 지방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캐릭터를 통하여 설명하고 실제로 여러 가지 지방을 비교함으로써 비슷한 점과 차이를 이해하게 하였다.
  •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소아비만을 예방하기 위하여 어린이의 지방섭취 저감화을 위한 교육 콘텐츠 및 교재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의 지방섭취 저감화를 위해 만든 교재의 구성은 어떻게 되있는가? 본 교재는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지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섭취량을 줄이기 위하여 3개의 대영역-‘지방의 개념’, ‘지방과 식품’, ‘지방과 우리 생활’- 아래 6개의 소영역으로 구성하여 6차시에 걸쳐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어린 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식물성 지방, 동물성 지방, 트랜스 지방의 특성이 부각된 3가지 캐릭터를 개발하여 다양한 삽화, 사진, 만화로 각 단원별 주제를 전달하도록 구성하였다. 각 단원별 관련되는 내용을 ‘읽어보기‘를 통해 보충·심화하였고, 또한 식품선택하기, 비교하기, 스티커 붙이기, 이야기하기, 평가하기, 노래하기, 마인드맵 구성, 등의 다양한 활동 ’해보기‘를 통해 교육 내용을 보다 잘 이해하고 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교재에서는 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인지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교육내용과 활동을 차별하였으며 수준별로 적절한 어휘를 선정하여 내용을 전개하였다.
2005년 소아청소년의 과체중 및 비만인구 비율은 얼마인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과체중 및 비만인구 비율이 1997년 13.0%에서 2005년 19.0%로 1.5배 증가하였고, 특히 2005년 조사에서 7~12세 어린이들의 과체중 인구비율(12.
비만이 유발하는 질병으로 무엇이 있는가? 6%) 이 낮은 반면, 13~18세 청소년들은 반대로 나타나 어린이의 과체중이 추후 비만으로 이행되는 경향을 보였다(Oh 등 2008a). 비만은 당뇨,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암, 뇌졸중 등의 만성질환을 유발하여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사망으로 이끄는 주요 원인(Ebbeling 등 2002; Lobstein 등 2004) 이 되며 특히 소아비만의 40%, 청소년 비만의 70%가 성인 비만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nstry of Health & Welfare 2005).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이 계속된다면 10~20년 후 우리나라의 만성퇴행성 질환 발생률은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며(Minstry of Health & Welfare 2005),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약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BC, Jung HJ (2005): Socioeconomic cost of obesity in Korea. Korean J Nutr 38(9): 786-792 

  2. Chang SO (2000):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3. Chang SO, Lee OH, Lee KS (2008):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5th grade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14(2): 166-175 

  4. Ebbeling CB, Pawlak DB, Ludwig DS (2002): Childhood obesity: public-health crisis, common sence cure. Lancet 360: 473-82 

  5. Evers CL (1995): How to teach nutrition to kids; A Integrated, creative approach to nutrition for children. 24 Carrots Press, Tigard 

  6.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labeling "Trans fatty acids in nutrition labeling, nutrient cost claims, and health claims". 

  7. Hwang SN (2003): Study on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in school. Ph.D. Dankook University 

  8. Hyon SM, Kim JW (2007):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by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2(2): 168-177 

  9. Kim CI, Park YS, Lee JW, Hyun WJ (2006): School dietitians need useful nutrition counseling materials. Korean J Diet Assoc 12(3):243-253 

  10. Kim DS, Lee JW (2001): Use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s in processed foo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J Korean Diet Assoc 8(3): 301-310 

  11. Kim HJM, Ryu SH, Lee SY (2004): Development and effects of nutrition program on discretional activity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s. J Korean Prac Arts Educ 17(2): 109-125 

  12. Kim HR, Shin ES, Lyu ES (2008): Mothers' perceptions on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rea I. J korean Diet Assoc 14(3): 276-290 

  13. Kim JY, Lee JH, Park SH, Yoo KS, Kwon KI, Lee JS, Kim SY, Sung H, Nam HS, Kim JW, Lee HY, Park HK, Kim MC (2007):Trans fat analysis in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40(1):22-26 

  14. Kim YH, Jang MR (2007): A research on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textbook contents for efficient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neung city. J Korean Diet Assoc 13(4): 379-388 

  15. Kozup J, Burton S, Creyer E (2006): The provision of trans fat information and its interaction with consumer knowledge. J Consumer Affairs 40(1) 163-176 

  16.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 Report on "Monitoring results of trans fat in 2008" 

  17. Kyeon YK, Jang YA, Kim JW (2006): Application of a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HIDIKIDS,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and habits of elementary students. J Koeran Nutr Soc 39(8): 808-816 

  18. Le DL, Dodds JM (2006): A school-based intervention pilot project,2004-2005. J Nutr Educ behav 38(4): S40-41 

  19. Lee KA (2003): Activity-based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Nutr Soc 36(4): 405-417 

  20. Lee KH, Her ES, Woo TJ (2005):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1(2): 205-215 

  21. Lee KJ, Lee YH (2004): A study on the dietary life of housewives and their usage practices of food-nutrition labelling. J East Asian Soc Diet Life 14(2): 161-174 

  22. Lee KW, Lee HS, Lee MJ (2005):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s of self-purchasing snac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food Culture 20(5): 594-602 

  23. Lobstein T, Baur L, Uauy R (2004): Obesity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a crisis in public health. Obes Rev 5 Suppl 1:4-104 

  2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2): The 2n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5): The 3rd Korea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6. Moon HK, Park Y, Park JH (2008):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5th grade students provided by community health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Diet Assoc 14(3): 259-275 

  27. Oh KW, Jang MJ, Lee NY, Moon JS, Lee CG, You MW, Kim YT(2008a):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1997 and 2005. J Journal of Ped 51(9): 950-955 

  28. Oh YJ, Lee YM, Kim JH, Ahn HS, Kim JW, Park HR, Seo JS, Kim KW, Kwon OR, Park HK, Lee EJ, Sung HN (2008b): Interview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trition education and practice. Korean J Community Nutr 13(4): 499-509 

  29. Park HK, Kim MC (2007): Policy for reducing trans fat contents in 

  30. Park YS, Lee JW, Suh JS, Lee BK, Lee HS (1998):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Kyomunsa, seoul 

  31. Reither KP, Harris KJ, Paine-Andrews A, Fawcett SB, Schmid TL, Lankenau BH, Johnston J (2002): Measuring the health environment for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among you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pplications for community 

  32. Rothman RL, Housam R, Weiss H, Davis D, Gregory R, Gebretsadik T, Shintani A, Elasy TA (2006): Patient understanding of food labels-the role of literacy and numeracy. Am J Prev Med 31(5):391-398 

  33.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1): 89-101 

  34. Valentine S (2002): Food and nutri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curriculum. Nutrition & Food Sci 30(3):105-108 

  35. Woo JH (2000): The principles and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mathema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36. Yoon HS, Yang HL, Her ES (200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5(3): 513-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