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하의 빈 공간에 의한 지자기의 자속밀도분포
Effects of Underground Empty Spaces on the Geo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원문보기

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19 no.2, 2009년, pp.67 - 73  

이문호 (영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하에 존재하는 빈 공간이 지상에서의 자속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땅의 밀도와 측정높이에 따른 변화의 차이로 분석하였다. 밀도가 다른 지표면과 함몰지 및 지하터널이 있는 지표면에 대한 지자기의 자속밀도 분포를 플럭스게이트형 마그네토미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지하의 밀도가 감소하거나 빈 공간이 존재하면 지상에서의 자속밀도가 감소하는데, 경계에서부터 서서히 감소하여 중심부에서 가장 낮은 자속밀도를 나타낸다. 빈 공간에 의한 자속밀도의 감소는 지하 80m에 위치한 터널에 의해서도 관찰된다. 이러한 자속밀도 감소현상을 이용하면 지하의 천부에 존재하는 빈 공간, 저밀도 지역, 파쇄대 및 함몰지를 탐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nges of geo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on the ground surface by underground empty spaces had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variations of the soil density and measuring heights. The geo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s were monitored for the surfaces of different density, sink-hole 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밀도차가 발생한 곳, 성토지에 발생한 지하의 빈 공간 및 지하 터널이 지표면 가까이의 지자기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작은 규모의 성 토지와 구조적 결함을 야외의 평지에 조성하여 그 위에서 자력분포를 조사하였으며, 채광중인 금광의 지하터널이 있는 지표면에서 자력분포를 조사하였다.
  • 도로의 연장에 놓인 지하 터널이나 지하의 수로 혹은 지하자원 채취를 위한 지하 갱도와 같은 인위적인 지하의 빈 공간인 지하 터널이 지상의 자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전남 해남의 은산 금광에 있는 지하 터널에 대한 자력분포를 조사하였다. Fig.

가설 설정

  • 그런데, 파낸 후에 다시 덮은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경계인 박스 A는 자속밀도 분포에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Fig. 7(b)의 가로와 세로로 미분한 자속밀도 분포에서도 명확하지 않다.
  • 즉 Fig. 10에서 주위에 비하여 자속밀도가 낮은 곳은 빈 공간이나 밀도가 낮은 곳을 의미하는데, (a) 지역은 빈 공간으로 나타났으며, (b) 지역도 빈 공간이거나 밀도가 낮은 곳으로 추측된다. (c) 지역은 ±피크(peak)가 존재하는 것으로 미루어 자기적 쌍극(magnetic dipole)을 나타내는 강자성체나 이런 현상을 나타내는 다른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자기장은 무엇에 따라 변하는가? 지구의 외부전류와 내부전류로 설명되는 지구자기장(지자기장)은 지구 표면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데, 서울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의 지자기장은 약 50 µT 정도이다. 지표면으로 부터 50 cm 이하의 높이에서는 지하의 지질과 지층의 구조에 따라 지자기장의 강도가 변하는데, 이러한 지자기장의 국지적인 변화로부터 지질이나 지층의 구조 및 지층의 구조적 결함을 찾아낼 수 있다.
자력탐사는 어떤 방법인가? 지표면으로 부터 50 cm 이하의 높이에서는 지하의 지질과 지층의 구조에 따라 지자기장의 강도가 변하는데, 이러한 지자기장의 국지적인 변화로부터 지질이나 지층의 구조 및 지층의 구조적 결함을 찾아낼 수 있다. 이러한 물리탐사방법을 자력탐사라고 하는데, 암석의 자화율이나 잔류자기 등에 의거한 자력분포로부터 지하 암석의 자기적 성질, 자성물질의 존재 여부, 지질구조 등을 조사하는 방법을 말한다[1]. 따라서 자성의 차이가 거의 없는 지하에서는 자력탐사가 용이하지 않다.
자성의 차이가 거의 없는 지하에서는 자력탐사가 용이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지구의 외부전류와 내부전류로 설명되는 지구자기장(지자기장)은 지구 표면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데, 서울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의 지자기장은 약 50 µT 정도이다. 지표면으로 부터 50 cm 이하의 높이에서는 지하의 지질과 지층의 구조에 따라 지자기장의 강도가 변하는데, 이러한 지자기장의 국지적인 변화로부터 지질이나 지층의 구조 및 지층의 구조적 결함을 찾아낼 수 있다. 이러한 물리탐사방법을 자력탐사라고 하는데, 암석의 자화율이나 잔류자기 등에 의거한 자력분포로부터 지하 암석의 자기적 성질, 자성물질의 존재 여부, 지질구조 등을 조사하는 방법을 말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손호웅 외, 지반환경물리탐사, 시그마프레스, 501 (2000) 

  2. G. Backus, R. Parker, and C. Constable, Foundations of Geomagnetism, Cambridge Univ. Press, 125 (2005) 

  3. B. D. Cullity and C. D. Graham, Introduction to Magnetic Materials, John Wiley and Sons, 289 (2008) 

  4. P. Ripka, Magnetic sensors and magnetometers, Artech House, Boston, 75 (2000) 

  5. D. K. Butler, J. Appl. Geophys., 54, 111 (2003) 

  6. M. N. Nabighian and R. O. Hansen, Geophys., 66, 1805 (2001) 

  7. A. B. Reid, J. M. Allsop, H. Granser, A. J. Milleti, and I. W. Somerton, Geophys., 55, 80 (1990) 

  8. A. Selem and T. Hamada, J. K. Asahina, and K. Ushijima, Geophys., 136, 97 (2005) 

  9. D. K. Butler, Leading Edge, 20(8), 890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