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CT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 설골 및 상기도의 변화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hyoid bone and upper airway after orthognathic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anterior open bite patients using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9 no.2, 2009년, pp.72 - 82  

이윤섭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백형선 (연세대학교 구강과학연구소,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두개안면기형 연구소) ,  이기준 (연세대학교 구강과학연구소,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두개안면기형 연구소) ,  유형석 (연세대학교 구강과학연구소,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두개안면기형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 설골상기도의 변화를 3D-CT를 이용하여 관찰하고 이를 정상교합자와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전치부 개방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악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 중 12명을 선정 후, 3D-CT를 통해 설골과 상기도의 3차원 입체영상을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 전, 후의 설골의 위치 변화 및 상기도의 부피 변화를 살펴보고, 이의 결과를 정상교합자 10명과 비교하였다. 설골은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에서 악교정 수술 전에 정상교합군의 설골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고 있었고 악교정 수술 후 설골은 후, 상방으로 변화하였으나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Hyoid plane과 mandibular plane이 이루는 각은 악교정 수술전의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이 정상교합군보다 큰 값을 나타내었고, 악교정 수술 후에는 그 차이가 더욱 증가하였다.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의 상기도 부피는 정상교합자보다 작으며 이는, 악교정수술 후에 더욱 감소하였다. 3차원 영상 분석 결과,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자의 상기도는 정상교합자에 비해 좁으며, 하악골 후퇴술 이후 더욱 감소하기 때문에 이는 수술적 개선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hyoid bone and upper airway after orthognathic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anterior open bite patients, and make comparisons with normal occlusion. Methods: Pre- and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ex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가하였다. 또한 악교정 수술 전, 후의 설골 및 상기도의 상태를 정상 교합 자와 각각 비교하여, 골격 성 Ⅲ급 부정교합 자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하악골 후퇴량, 후비극 상방 이동량과 상기도 부피 변화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B point의 Coronal plane과의 거리를 통해 Y축 상에서의 좌표를 측정하였고 이 좌표의 악교정 수술 전, 후의 차이 를 하악골 후퇴 량(mandibular setback, sBACK)으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o IJ, Rhee BT.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position of the hyoid bone in cleft lip and palate individuals. Korean J Orthod 1990;20:197-207 

  2. Seo BM, Min BI. Skeletal relapse after sagittal split osteotomies for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J Korean Oral Maxillofac Surg 1991;17:32-9 

  3. Katakura N, Umino M, Kubota Y. Morphologic airway changes after mandibular setback osteotomy for prognathism with and without cleft palate. Anesth Pain Control Dent 1993;2:22-6 

  4. Greco JM, Frohberg U, Van Sickels JE. Long-term airway space changes after mandibular setback using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0;19:103-5 

  5. Paik UB, Lee HC. A study of change of tongue position, hyoid bone position, and upper airway following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n mandible prognathism patients. Inje Med J 1999;20:457-66 

  6. Moss ML, Salentijn L. The primary role of functional matrices in facial growth. Am J Orthod 1969;55:566-77 

  7. Chung HS, Lee KS. The effect of functional pressures of the tongue and lips on the incisor relationship. Korean J Orthod 1983;13:15-30 

  8. Cuozzo GS, Bowman DC. Hyoid positioning during deglutition following forced positioning of the tongue. Am J Orthod. 1975;68:564-70 

  9. Tallgren A, Solow B. Hyoid bone position, facial morphology and head posture in adults. Eur J Orthod 1987;9:1-8 

  10. Park SH, Yu HS, Kim KD, Lee KJ, Baik HS. A proposal for a new analysis of craniofacial morphology by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29:600.e23-34 

  11. Cavalcanti MG, Vannier MW. Quantitative analysis of spiral computed tomography for craniofacial clinical applications. Dentomaxillofac Radiol 1998;27:344-50 

  12. Kim HJ, Park HS, Kwon OW. Evaluation of potency of panoramic radiography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maxillary impacted canines using 3D CT. Korean J Orthod 2008;38:265-74 

  13. Jeon YN, Lee KH, Hwang HS. Validity of midsagittal reference planes constructed in 3D CT images. Korean J Orthod 2007;37:182-91 

  14. Kawamata A, Fujishita M, Ariji Y, Ariji E.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ic evaluation of morphologic airway changes after mandibular setback osteotomy for prognathism.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0;89:278-87 

  15. Wickwire NA, White RP Jr, Proffit WR. The effect of mandibular osteotomy on tongue position. J Oral Surg 1972;30:184-90 

  16. Swanson LT, Murray JE. Partial glossectomy to stabilize occlusion following surgical correction of prognathism. Report of a ca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9;27:707-15 

  17. Enacar A, Aksoy AU, Sencift Y, Haydar B, Aras K. Changes in hypopharyngeal airway space and in tongue and hyoid bone positions following the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4;9:285-90 

  18. King EW. A roentgenographic study of pharyngeal growth. Angle Orthod 1952;22:23-37 

  19. Adamidis IP, Spyropoulos MN. Hyoid bone position and orientation in Class I and Class III malocclusion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2;101:308-12 

  20. Song YJ, Kim HJ, Nam SH, Kim YJ. Hyoid bone position in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s. J Korean Acad Pediatr Dent 1999;26:564-71 

  21. Chang YI. A radiographic study of the hyoid bone position in malocclusion. Korean J Orthod 1987;17:7-14 

  22. Chin KS, Shon W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and the changes in the tongue position, the hyoid bone position and the upper airway size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Korean J Orthod 1993;23:693-706 

  23. Athanasiou AE, Toutountzakis N, Mavreas D, Ritzau M, Wenzel A. Alterations of hyoid bone position and pharyngeal depth and their relationship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1;100:259-65 

  24. Gu G, Gu G, Nagata J, Suto M, Anraku Y, Nakamura K, et al. Hyoid position, pharyngeal airway and head posture in relation to relapse after the mandibular setback in skeletal Class III. Clin Orthod Res 2000;3:67-77 

  25. Tallgren A, Solow B. Long-term changes in hyoid bone position and craniocervical posture in complete denture wearers. Acta Odontol Scand 1984;42:257-67 

  26. Ferrario VF, Sforza C, Germano D, Dalloca LL, Miani A Jr. Head posture and cephalometric analyses: an integrated photographic/radiographic techniqu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4;106:257-64 

  27. Stepovich ML. A cephalometric positional study of the hyoid bone. Am J Orthod 1965;51:882-900 

  28. Wenzel A, Williams S, Ritzau M. Changes in head posture and nasopharyngeal airway following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Eur J Orthod 1989;11:37-42 

  29. Santos Junior JF, Abrahao M, Gregorio LC, Zonato AI, Gumieiro EH. Genioplasty for genioglossus muscle advancement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and mandibular retrognathia. Braz J Otorhinolaryngol 2007;73:480-6 

  30. Heller JB, Gabbay JS, Kwan D, O'Hara CM, Garri JI, Urrego A, et al. Genioplasty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hyoid advancement for correction of upper airway obstruction in patients with Treacher Collins and Nager syndromes. Plast Reconstr Surg 2006;117:2389-98 

  31. Kerr WJ. The nasopharynx, face height, and overbite. Angle Orthod 1985;55:31-6 

  32. Dunn GF, Green LJ, Cunat JJ. Relationships between variation of mandibular morphology and variation of nasopharyngeal airway size in monozygotic twins. Angle Orthod 1973;43:129-35 

  33. O'Ryan FS, Gallagher DM, LaBanc JP, Epker BN. The relation between nasorespiratory function and dentofacial morphology:a review. Am J Orthod 1982;82:403-10 

  34. Takagi Y, Gamble JW, Proffit WR, Christiansen RL. Postural change of the hyoid bone following osteotomy of the mandibl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7;23:688-92 

  35. Eggensperger N, Smolka W, Iizuka T. Long-term changes of hyoid bone position and pharyngeal airway size following mandibular setback by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J Craniomaxillofac Surg 2005;33:111-7 

  36. Kawakami M, Yamamoto K, Fujimoto M, Ohgi K, Inoue M, Kirita T. Changes in tongue and hyoid positions, and posterior airway space following mandibular setback surgery. J Craniomaxillofac Surg 2005;33:107-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