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협력유형 분류
Identifying the Types of Collaboration in Community Health Promotion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6 no.3, 2009년, pp.125 - 135  

장명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조원섭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윤난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곽민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유승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 types of collaboration that community health centers in Seoul planned to form in order to conduct health promotion programs. Methods: A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by reviewing the Phase 4 Community Health Plans for 2007-2010 of the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보건소에서 추진하는 건강증진사업의 협력에 관해 비교적 일관성 있는 유형의 정보를 공통되게 찾아볼 수 있는 자료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선택하였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은 전국의 모든 지자체가 4년마다 동일 기간에 수립하고 공개하도록 되어 있어 접근이 용이하고, 비록 계획이기는 하나 보건복지가족부가 시행결과를 평가하고 있어 실효성이 보장된다고 할 수 있다.
  • 지역사회 협력이란 해당 지역사회의 사회, 정치, 경제, 문화, 역사적 특성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지역사회 건강증진 목적의 한국적 협력의 이해와 개발을 위해서는 현재의 협력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의 지역사회 건강증진 협력 현황을 이해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 현재 지역사회에서 추진되는 건강증진사업 수행 상의 협력 유형을 파악하고 범주화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구의 제4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을 분석하여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협력의 유형을 파악하고 범주화하고자 하였다. 협력사례를 선별하는 기준으로 사업계획의 내용 중 (1)'협력' 또는 '연계'라는 용어가 직접적으로 기술된 경우와 (2)지역사회 내 '기관', '단체', '조직', '사업' 등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으면서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이 그들과 협력하여 사업을 수행함이 내포되어 있는 경우를 적용하여 614개의 협력사례를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지역사회 건강증진 사업은 어디의 주도로 이루어지는가? 개인으로 부터 가족, 집단, 사회 단위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건강행동, 생활양식, 사회적 규범, 제도, 환경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과 이들 요인 간의 상호 연관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성이 있음은 이제 주지의 사실이다. 보건소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지역사회 건강증진 사업이 운영 인력이나 사업 규모의 측면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보건소가 각자의 문화적 배경을 이루며 자발적으로 또는 제도적으로 존재하는 지역사회 조직들과 협력하는 것은 건강증진 사업의 효과와 효율은 물론 확산과 지속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 기초로 두는 협력(collaboration)의 정의는? 본 연구에서는 협력(collaboration)이 ‘각각의 독립된 조직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체계와 역할을 구성하여 활동하며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하는 것(Butterfoss, 2007), ‘두 개 이상의 조직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유익하고 잘 규정된 관계를 형성하는 것(Mattesich 등, 2005)’이라는 정의에 기초를 두고, 4인의 연구자가 문헌고찰, 세미나, 서울시 제 4기 지역보건의료계획 1차 검토를 통해 ‘협력’의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에 지역보건의료계획 상의 건강증진사업 계획에서 ‘협력’ 사례는 사업내용 중 (1) ‘협력’ 또는 ‘연계’라는 용어가 직접적으로 기술된 경우와 (2) 지역사회 내 ‘기관,’ ‘단체,’ ‘조직,’‘사업’ 등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으면서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이 그들과 협력하여 사업을 수행함이 내포되어 있는 경우로 하였다.
‘서비스 직접제공’ 유형의 협력사례 특성은? 첫째, ‘서비스 직접제공’ 유형으로 분류된 사례들에서는 사업영역에 따라 대상자와 서비스 형태에서 차이가 관찰되었다. 금연사업에서는 다른 사업영역에 비해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가 많았으며, 사업장을 대상으로는 이동금연클리닉 운영의 형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는 금연교실 형태의 서비스가 주로 제공되었다. 절주사업에서는 전문 강사가 관내 사업장 혹은 초․중․고등학교를 방문하여 절주교육을 실시하는 형태의 서비스가 주로 제공되었으며, 영양 사업에서는 관내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의 원아들이나 부모, 교사들과 복지관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형태의 서비스가 주로 제공되었다. 운동 사업에서는 다른 사업영역에 비해 경로당이나 복지관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가 많았으며, 주로 체조교실이나 운동 실천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종배. 보건소 중심의 유아교육기관 구강보건사업 모형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2000 

  2. 김창엽.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에서의 부문 간 협력.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1999 학술대회, 1999 

  3. 김혜련. 보건소 중심 지역 내 사회복지시설의 통합연계 영양서비스 제공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4. 윤태호. 부산광역시 건강증진사업 지지기반 구축 및 장기 발전 계획 개발. 부산대학교. 2005 

  5. 이상이. 건강증진사업수행을 위한 국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간 역할 분담체계 및 상호연계체계 개발, 2002 

  6. 이선자. 건강증진과 타 분야와의 통합 접근모형 개발 - 중소도시형 건강도시 모형개발. 서울대학교. 2004 

  7. 이인숙. 보건소 건강증진사업과 방문보건 사업간 사업범위 설정 및 사업연계 수행방안 개발. 서울대 간호대학, 2003 

  8. 이주열.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효율화 방안.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5 

  9. 이주열. 지역단위 건강증진사업 추진체계 구축.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5 춘계학술대회 17-32, 2005 

  10. 서영준. 보건소 단위의 건강증진사업에서 타 분야와의 상호 연계 체계 개발 및 평가. 연세대학교, 2005 

  11. 조성일. 건강증진 사업을 위한 보건소와 민간병원의 협력모형개발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3 

  12. Butterfoss FD. Coalition and partnerships in community healt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7 

  13. Butterfoss FD, Goodman RM & Wandersman A. Community coalitions for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1993;8(3),315-330 

  14. Habana-Hafner S, Reed HB & Associates. Partnerships for community development: Resources for practitioners and trainers.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Center for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Development, 1989 

  15. Himmelman A. Communities working collaboratively for a change. Monograph. Minneapolis, MN: Himmelman Consulting Group, 1992 

  16. Kagan SL. United we stand: Collaboration for child care and early education servic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Teachers College Press, 1991 

  17. Mattesich P, Murray-Close M & Monsey B. Collaboration: What makes it work -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n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collaboration. (2nd ed.) St. Paul, MN: Amherst H. Wilder Foundation, 2001 

  18. Mattesich P & Monsey B. Community building: What makes it work - A review of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community building. (2nd ed.) St. Paul, MN: Amherst H. Wilder Foundation, 2005 

  19. Miles MB & Huberman AM.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1994 

  20. Rosenthal B & Rubel D. How to conduct a needs assessment study in your community: A training manual for community board and area policy members. Prepared for the New York City Community Development Agency, 1991 

  21. Rousso ST & Fawcett SB. A review of collaborative partnerships as a strategy for improving community health.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000. 21: 369-4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