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흡연이 전문가치면세정술 및 세균막관리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fessional Tooth Cleaning and Plaque Control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Smoking Behavior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6 no.2, 2009년, pp.25 - 33  

한경순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배광학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예방치학교실) ,  권순복 (경복대학 치위생과) ,  한수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최준선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moking is related to periodontal disease and periodontal therapy. S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tooth cleaning and plaque control instruction (PT & PCI) for smoking behavior. Methods: A total of 151 adult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O'Leary 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균막 조절은 개개인의 잇솔질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잇솔질을 잘 하려고는 하지만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치은 면역성 증가를 위한 치은 맛사지도 병행되어야 하므로, 전문가에 의한 세균막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면부착물과 치은연하 치석을 제거하고 Watanabe 잇솔질을 병행하는 전문가치면세정술을 시행하였으며, 세균막 관리 교육을 한 3개월 경과 후 구강상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면세마와 Watanabe 잇솔질을 이용한 전문가치면세정술을 실시하고, 세균막관리교육을 병행한 후 대상자의 구강위생상태 및 치주상태의 개선에 있어 흡연이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으로 인한 질환 및 영향은 무엇입니까? 흡연은 다양한 질병의 위험요인(risk factor)으로 알려져왔다. 흡연으로 인한 대표적인 전신질환으로는 폐암과 심혈관계 질환이 있으며(노준, 1997), 구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특히 치주질환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Ismail, 1983). 치주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흡연, 나이, 당뇨병을 포함한 전신질환, 정상적 숙주 방어력을 방해하는 방사선 조사, 면역 억제제 복용, 치은연하 세균총에 존재하는 특정 병원성 세균, 세균성 침착물, 불량한 구강위생, 기왕력 및 유전 등을 꼽을 수 있다(Page와 Beck, 1997).
치주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흡연으로 인한 대표적인 전신질환으로는 폐암과 심혈관계 질환이 있으며(노준, 1997), 구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특히 치주질환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Ismail, 1983). 치주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흡연, 나이, 당뇨병을 포함한 전신질환, 정상적 숙주 방어력을 방해하는 방사선 조사, 면역 억제제 복용, 치은연하 세균총에 존재하는 특정 병원성 세균, 세균성 침착물, 불량한 구강위생, 기왕력 및 유전 등을 꼽을 수 있다(Page와 Beck, 1997). 이러한 위험요소들 중에서 흡연의 역할기전이 명백하진 않지만 난치성 치주질환 발생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MacFarlane 등, 1992) 흡연 빈도 및 기간과 치주질환의 심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며(Bergstrὅm 등, 1988; Harber와 Kent, 1992), 치주치료에서 치주낭 깊이의 감소와 상피부착 획득을 방해하여 치유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Ah 등, 1994; Scbbia 등 2001).
2006년 치주질환 발생율의 현황은 어떠합니까? 치주질환은 2006년도 보험급여 외래진료 다빈도 질환 순위에서 치은염과 함께 4위로 조사되었고(국민건강보험 공단, 2007), 40세 이후에서는 치아발거율의 원인 중 85.7%가 치주질환이라고 보고되어(김종배 등, 1998) 치아우식증과 함께 구강건강관리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치주질환은 치아주위질환으로 세균막을 적절히 조절하면 상당한 수준까지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장기완, 2007) 무엇보다 예방적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국민건강보험공단. 2007년 상반기 주요지표.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2007 

  2. 김종배, 문혁수, 백대일, 노인기. 한국사람치아발거원인비중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8;22(3):183-194 

  3. 김진범 외 9인. 구강보건실습. 서울: 대한나래출판사, 2005. 쪽 52-60 

  4. 노준. 흡연과 치주질환.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7;35(4):241-250 

  5. 박영채, 신형식, 강정구, 유형근, 신형식. 성인형 치주염 환자에서 흡연이 비외과적인 치주처치에 미치는 효과. 대한치주과학회지 1997;27(2):305-315 

  6. 신원창, 강성귀, 김동기. 비외과적 방법에 의한 치주질환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1;25(2):109-121 

  7. 심지연 외 7인. 흡연이 비외과적 치주치료 후 치유반응에 미치는 임상적 영향. 대한치주과학회지 2006;36(1):125-137 

  8. 장기완. 전문가 치면세마관리술-Watanabe method를 중심으로-.대한치과의사협회지 2007;45(1):21-24 

  9. 장기환, 김진범.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구강건강조사법. 서울: 고문사, 2000. 쪽 45-48 

  10. 장문택, 윤정식, 최승환, 서성찬. 흡연이 치주수술을 포함한 치주치료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주과학회지 2003;33(3):395-405 

  11. 조규성 외 5인. 흡연이 치주 판막술 후 치유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주과학회지 1999;29(1):103-115 

  12. 조민정 외 11인. 치면세마총론. . 서울: 고문사, 2006. 쪽 101-110 

  13. 한수부. 비외과적 치주치료. 서울: 군자출판사, 2005. 쪽 2-4 

  14. Ah MKB, Johnson GK, Kaldahl WB, Patil KD, Kalkwarf KL. The effect of smoking on the response to periodontal therapy. J Clin Periodontol 1994;21(2):91-97 

  15. Alexander AG. The relationship between tobacco smoking, calculus and plaque accumulation and gingivitis. Dental Health 1970;9(1):6-9 

  16. Arno A, Schei O, Lovdal A, Waerhaug J. Alveolar bone loss as a function of tobacco consumption. Acta Odontol Scand 1959;17(1):3-10 

  17. Baab DA, Oberg PA. The direct cigarette smoking on gingival blood flow in humans. J Periodontol 1987;14:418-424 

  18. Bergstr $\"{o}$ m J, Persson L, Preber H. Influence of cigarette smoking on vascular reaction during experimental gingivitis. Scand J Dent Res 1988;96:34-39 

  19. Dahlen G, Lindhe J, Sato K, Hanamura H, Okamato H. The effect of supragingival plaque control on the subgingival microbiota in subjects with periodontal disease. J Clin Periodontol 1992;19:802-809 

  20. Griffiths DE. Behavioral Science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63rd Yearbook.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4 

  21. Harber J, Kent RL. Cigarette smoking in periodontal practice. J Periodontol 1992;63:100-106 

  22. Ismail AI, Burt BA, Eklund SA. Epidemiologic patterns of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 in the United Stated. J Am Dent Assoc 1983;106(5):617-621 

  23. L $\"{o}$ e H, Silness J. Periodontal disease in pregnancy. I. Prevalence and severity. Acta Odontol Scand 1963;21(6):533-551 

  24. MacFarlane GD, Herzberg MC, Wolff LF, Hardie NA. Refractory periodontitis associated with abnomal polymorphonuclear leukocyte phagocytosis and cigarette smoking. J Periodontol 1992;63(11):908-913 

  25. Miyazaki H, Pilot T, Leclercq MH, Barmes DE. Profiles of periodontal conditions in adults measured by CPITN. Int Dent J 1991;41(2):74-80 

  26. OECD. Health Data. OECD, 2006 

  27. O'Leary TJ, Drake RB, Naylor JE. The plaque control record. J Periodontol 1972;43(1):38 

  28. Page RC, Beck JD. Risk assessment for periodontal disease. Int Dent J 1997;47(2):61-87 

  29. Preber H, Bergstr $\"{o}$ m J. Occurrence of gingival bleeding in smokers and non-smokers patients. Acta Odontol Scand 1985;43:315-320 

  30. Preber H, Kant T, Bergstr $\"{o}$ 

  31. Rosen PS, Marks MH, Reynolds MA. Influence of smoking on long-term clinical results of intrabony defects treated with regenerative therapy. J Periodontol 1996;67:1159-1163 

  32. Scbbia A, Cho KS, Singurdsson T, Kim CK, Trombelli L. Cigarette smoking negatively affects healing response following flap debridement surgery. J Periodontol 2001;72(1):43-49 

  33. Sheiham A. Prevention and control of periodontal disease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search in the biology of periodontal disease. ed. B Klavan,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1977 

  34. Jette AM, Feldman HA, Tennstedt SL. Tobacco use: A modified risk factor for dental disease among the elderly. J Clin Periodontol 1996;23:658-6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