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측성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서 골스캔을 이용한 교합안정장치 치료효과 예측
Prediction of Splint Therapy Efficacy Using Bone Scan in Patients with Unilateral Temporomandibular Disorder 원문보기

핵의학 분자영상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v.43 no.2, 2009년, pp.143 - 149  

이상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이원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윤필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  김영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  김상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골스캔이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예후 예측에 유용한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편측성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서 예후 예측 인자로서 유용한 골스캔 소견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대상 및 방법 : 2005년 1월부터 2007년 7월에 걸쳐서 편측성 측두하악관절장애로 진단받고 치료 전 골스캔을 시행한 55명의 환자(남:여=9:46; 나이, $34.7{\pm}14.1$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측의 측두하악관절두정골 영역에서 $13{\times}13$ 픽셀 크기의 정사각형 관심영역을 그려서 Tc-99m HDP섭취를 정량화하였다. 측두하악관절 섭취비는(측두하악관절 카운트 - 배후영역 카운트) / 배후영역 카운트로 계산하였고 이환된 측두하악관절에 대한 비대칭지표는 이환된 관절과 비이환된 관절 섭취비의 비로 정의하였다. 교합안정장치 시행 6개월 후 임상적 평가를 통해 호전군과 비호전군으로 나누고 골스캔 소견이 이러한 예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평가하였다. 결과: 46명의 환자가 호전되었고 9명의 환자는 증상의 호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호전군과 비호전군간에 이환관절의 측두하악관절 섭취비, 반대편 정상관절의 측두하악관절 섭취비,그리고 비 대칭지표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그러나 소그룹 분석에서 이환 측두하악관절에 Tc-99m HDP의 섭취가 증가한 환자들에서는 비대칭지표에 의해 환자군이 구분되었다. 즉, 호전군의 비대칭지표가 비호전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1.32{\pm}0.35$ vs. $1.08{\pm}0.04$, p=0.023). 결론: 편측성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서 Tc-99m HDP 골스캔은 시각 분석에서 이환 관절의 섭취가 증가되어 있는 경우 교합안정장치 치료에 대한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t is not known whether bone scan is useful for the prediction of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useful prognostic markers on bone scan for the pre-therapeutic assessment of patients with unilateral TMD. Mater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W6) 그러나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와 같은 영상 검사는 교합안정장치 치료효과예측에 도움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7) 저자들은 TMD로 진단받고 교합안정장치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전 골스캔에서의 예후예측인 자를 찾고자 하였다. TMD 환자의 증상 지속 기간을 고려하기 위하여 TMD이환 관절에 골스캔상 섭취 증가가 있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급성기 환자일 가능성이 크고 섭취증가가 없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만성기 환자일 가능성이 크다는 전제 하에 I" 골스캔 이 교합안정 장치 치 료효과예 측에 도움이 되는 것은 어떠한 경우인지 알아보았다.
  •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편측성 측두하악관절 장애 환자에서 예후 예측 인자로서 유용한 골스캔 소견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대상 및 방법 : 2005년 1 월부터 2007년 7월에 걸쳐서 편측성 측두하악관절 장애로 진단받고 치료 전 골스캔을 시행한 55명의 환자(남:여 =9:46; 나이, 34.

가설 설정

  • 있다.1,2) TMD는 TMJ뿐만 아니라. 저작근, 전이개부 (preauricaular area)의 동통/압통과 관절잡음, 개구장애 등을 주증상으로 하고 진단은 병력청취와 임상검사 그리고 영상 검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骡)골스캔(bone scan) 은 TMD 진단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영상검사의 하나로서 미량의 골대사변화를 조기에 찾아낼 수 있고 골병변의 활동성을 정확하게 평가함으로써 TMD의 진단과 치료방침을 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 4) 외래 추적 관찰 기간 동안에 증상의 호전 후 다시 증상의 재발이 없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lark GT, Delcanho RE, Goulet JP. The utility and validity of current diagnostic procedures for defin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Adv Dent Res 1993;7:97-112 

  2. Im JH, Kim YK, Yun PY. The epidemiologic study of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using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MD (RDC/TMD): preliminary report. J Kor Oral Maxillofac Surg 2008;34:187-95 

  3. Goldstein HA, Bloom CY. Detection of degenerative diseas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by bone scintigraphy: concise communication. J Nucl Med 1980;21:928-30 

  4. Pocock DG, Agnew JE, Wood EJ, Bannan EC, Valentine AR. Radionuclide imaging of the neck in rheumatoid arthritis. Rheumatol Rehabil 1982;21:131-8 

  5. Collier BD, Carrera GF, Messer EJ, Ryan DE, Gingrass D, Angell D, et al.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etection by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Work in progress. Radiology 1983;149:557-61 

  6. Kim YG, Kim IJ, Kang YH, Son SM, Lee KS, Lee JB, et al. Clinical utility of bone scan in the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Korean J Nucl Med 1995; 29:511-7 

  7. Seo BJ, Ko MY. A study on clinical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using bone scan. Korean Academy of Oral Medcine 1996;21:103-13 

  8. Epstein JB, Rea A, Chahal O. The use of bone scintigraphy i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Oral Dis 2002;8:47-53 

  9. Forssell H, Kalso E, Koskela P, Vehmanen R, Puukka P, Alanen P. Occlusal treatment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ain 1999;83:549-60 

  10. Turp JC, Komine F, Hugger A. Efficacy of stabilization splint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Clin Oral Investig 2004;8:179-95 

  11. Al-Ani Z, Gray RJ, Davies SJ, Sloan P, Glenny AM.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myofascial pain: a systematic review. J Dent Educ 2005;69:1242-50 

  12. Wassell RW, Adams N, Kelly PJ.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ith stabilizing splints in general dental practice: one-year follow-up. J Am Dent Assoc 2006;137:1089-98 

  13. Glaros AG, Owais Z, Lausten L. Reduction in parafunctional activity: a potential mechanism for the effectiveness of splint therapy. J Oral Rehabil 2007;34:97-104 

  14. Hersek N, Canay S, Caner B, Ulutuncel N. Bone SPECT imaging of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before and after splint therap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2;94:576-80 

  15. Epker J, Gatchel RJ, Ellis E, 3rd. A model for predicting chronic TMD: practical application in clinical settings. J Am Dent Assoc 1999;130:1470-5 

  16. Ernshoff R. Clinical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of occlusal splint therapy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J Oral Rehabil 2006;33:393-401 

  17. Emshoff R, Rudisch A. Likelihood ratio methodology to identify predictors of treatment outcome in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algia patie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8;106:525-33 

  18. Lee SR, Hwang EH. The use of radioisotope in the diagnosis of lesions of the maxillofacial region. J Korean Dent Assoc 1996;34:192-7 

  19. Hamada Y, Kondoh T, Holmlund AB, Nakajima T, Horie A, Saito T, et al. One-year clinical course following visually guided irrigation for chronic closed lock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6;101:170-4 

  20. Even-Sapir E, Mishani E, Flusser G, Metser U. 18F-Fluorid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Semin Nucl Med 2007;37:462-9 

  21. Krasnow AZ, Collier BD, Kneeland JB, Carrera GF, Ryan DE, Gingrass D, et al. Comparison of high-resolution MRI and SPECT bone scintigraphy for noninvasive imaging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Nucl Med 1987;28:1268-74 

  22. Kacena MA, Merrel GA, Konda SR, Wilson KM, Xi Y, Horowitz MC. InfIammation and bony changes at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ells Tissues Organs 2001;169:257-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