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의 출산력, 사망력 및 인구증가: 네 족보에 나타난 1700$\\sim$1899년간 생몰 기록을 이용한 연구
Fertility, Mortality, and Population Growth in 18th and 19th Century Korea: Evidence from Genealogies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2 no.1, 2009년, pp.113 - 137  

차명수 (영남대학교 경제금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의 목적은 족보에 나타난 생몰 기록을 근거로 조선후기의 사망력, 출산력, 인구 증가율을 추정하는 것이다. 족보에서 파악되 양반 남성의 사망력 수준을 식민지기 사망력 추계 및 모델 생명표를 이용해 전체 인구의 사망력으로 변환한 결과 18, 19세기 우리나라 남성의 출생시 기대여명은 23세로 추정되었다. 족보에서 계산된 양반 여성의 출산력 수준으로부터 여성 초혼 연령 및 식민지기 출산력 추계를 이용해서 전체 인구의 출산력을 추정한 결과는 조선 후기의 합계 출산율이 6.81이었음을 알려주었다. 추정된 조선 후기 사망력 및 출산력 지표를 안정 인구를 묘사하는 방정식에 대입해서 추정한 18, 19세기의 인구 증가율은 0.62%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uses genealogical information to estimate fertility, mortality, and population growth in Korea during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Upper class males' probability of dying as estimated from genealogies was converted into that for the whole male population drawing upon inform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권태환, 신용하와 Michell은 조선 시대 인구 규모를 추정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법을 사용했는가? 출산력, 사망력 및 인구 규모와 변화 추세는 사회경제사 연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지만 1925년에 실시된 최초의 근대적 센서스 이전의 우리나라 인구사 연구는 드문 편이다. 권태환 신용하(1977)와 Michell(1989)은 조선 시대 인구 규모를 추정하기 위해서 조선 왕조가 남긴 口數와 戶數를 부풀리는 방법을 사용했다. 우선 권태환 신용하(1977)는 조선 왕조가 파악한 口數(즉 인구) 에 2.
사회경제사 연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는 무엇인가? 출산력, 사망력 및 인구 규모와 변화 추세는 사회경제사 연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지만 1925년에 실시된 최초의 근대적 센서스 이전의 우리나라 인구사 연구는 드문 편이다. 권태환 신용하(1977)와 Michell(1989)은 조선 시대 인구 규모를 추정하기 위해서 조선 왕조가 남긴 口數와 戶數를 부풀리는 방법을 사용했다.
족보에 나타난 생몰 기록을 근거로 조선후기의 사망력, 출산력, 인구 증가율 추정한 결과는? 이 논문의 목적은 족보에 나타난 생몰 기록을 근거로 조선후기의 사망력, 출산력, 인구 증가율을 추정하는 것이다. 족보에서 파악되 양반 남성의 사망력 수준을 식민지기 사망력 추계 및 모델 생명표를 이용해 전체 인구의 사망력으로 변환한 결과 18, 19세기 우리나라 남성의 출생시 기대여명은 23세로 추정되었다. 족보에서 계산된 양반 여성의 출산력 수준으로부터 여성 초혼 연령 및 식민지기 출산력 추계를 이용해서 전체 인구의 출산력을 추정한 결과는 조선 후기의 합계 출산율이 6.81이었음을 알려주었다. 추정된 조선 후기 사망력 및 출산력 지표를 안정 인구를 묘사하는 방정식에 대입해서 추정한 18, 19세기의 인구 증가율은 0.62%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권태환, 신용하 (1977) '조선왕조시대 인구 추정에 관한 일 시론' '동아문화' 14: 289-329 

  2. 김경숙 (2002) '조선후기 산송과 사회 갈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김재진 (1967) '한국의 호구와 경제발전' 박영사 

  4. 박기주 (2005) '조선 후기의 생활수준' 이대근(편) '새로운 한국경제발달사' (서울: 나남) 

  5. 박희진 (2002) '조선후기 가계당 평균 구수 추세' '경제사학' 33: 3-33 

  6. 박희진 (2006) '조선후기와 식민지 시대의 초혼 연령' '경제사학' 40: 3-20 

  7. 박희진 (2008) '양반의 혼인 전 사망과 유배우출산율, 1600-1899: 족보, 행장 및 묘지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경제사 세미나 발표 논문 

  8. 박희진, 차명수 (2003) '조선 후기와 일제 시대의 인구 변동' '경제사학' 35: 3-27 

  9. 박희진, 류상윤, 오창현 (2008) '20세기 호적부의 인구기재범위와 기록의 정확성' '대동문화연구' 63: 301-30 

  10. 송준호 (1980) '한국에 있어서 가계 기록의 역사와 그 해석' '역사학보' 87:99-143 

  11. 신동원 (1989) '조선말의 콜레라 유행, 1821-1910', '한국과학사학회지' 11(1):53-86 

  12. 이영구 (1996) '조선시대 인구변동과 경제발전'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영훈 (1988) '조선후기 사회경제사' 한길사 

  14. 이우연 (2003) '18, 19세기 산림 황폐화와 농업 생산성' '경제사학' 34: 31-56 

  15. 차명수 (2009) '의궤이 나타난 조선 중후기의 비숙련 실질 임금 추세, 1600~1909' 낙성대경제연구소 워킹페이퍼 2009-1 

  16. 차명수 (2006) '경제성장, 소득분배, 구조변화' 김낙년(편) '한국의 경제성장, 1910-45' 서울대학교출판부 

  17. 호적대장연구팀(편) (2003) '단성호적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18. 鬼頭廣 (1991) '前近代日本の出産率' '上智經濟論集' 36-2: 83-96 

  19. 鬼頭廣 (2000) '人口から讀む日本の歷史' 講談社 

  20. 金哲 (1965) '韓國の人口と經濟' 岩波書店 

  21. 石南國 (1972) '韓國の人口增加の分析' 勁草書房 

  22. Barclay, George W. (1954) Colonial Development and Population in Taiwan Princeton: Princetpon University Press 

  23. Barclay, George W., A. J. Coale, M. A.Stoto, and T. J. Trussell (1976) 'A Reassessment of te Demography of Traditional Rural China' Population Index 42(4): 606-35 

  24. Gregory Clark (2007) A Farewell to Alms: A Brief Economic History of the World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Deng, Kent (2003) 'Fact or Fiction? Re-examination of Chinese Premodern Population Statistics London School of Economics Working Paper no. 76/03 

  26. Doepke, Matthias (2005) 'Child Mortality and Fertility Decline: Does the Barro Becker Model Fit the Facts?'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8: 337-66 

  27. Feuerwerker, Albert (1996) Studies in the Economic History of Late Imperial China Michigan: Michigan University Press 

  28. Gragert, Edwin H. (1994) Landownership under Colonial Rule: Korea's Japanese Experience, 1900-1935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9. Harrell, Stevan (1987) 'On the Holes in Chinese Genealogies' Late Imperial China 8(2): 53-79 

  30. Hayami, Akira (1997) The Historical Demography of Pre-modern Japan Tokyo: University of Tokyo Press 

  31. Kalemli­Ozcan, S. (2002) 'Does the Mortality Decline Promote Economic Growth?' Journal of Economic Growth 7(4): 411-39 

  32. Kim, Yun (1966) 'The Population of Korea, 1910-45'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33. Kwon, Tai Hwan (1977) Demography of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4. Kwon, T. H., H. Y. Lee, Y. Chang, & E. Y. Yu (1975) The Population of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 Press 

  35. Lee, James Z. and Cameron Campbell (1997) Fate and Fortune in Rural China: Social Organization and Population Behaviour in Liaoning, 1774-1873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Lee, James Z., Campbell and Feng Wang(1993) 'The Last Emperors: An Introduction to the Demography of the Qing (1644-1911) Imperial Lineage' in Old and New Methods in Historical Demography, edited by David S Reher and Roger Schofield, Oxford: Clarendon Press 

  37. Lee, James Z. and Feng Wang (1999) One Quarter of Humani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8. McEvedy, C. and R. Jones (1978) Atlas of World Population History Harmondsworth: Penguin 

  39. Michell, Tony (1979/80) 'Facts and Hypothesis in Yi Dynasty Economic History: the Demographic Dimension' Korea Studies Forum 6: 65-93 

  40. Shin, Susan (1974) 'The Social Structure of Kumwha County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Occasional Papers on Korea 

  41. Wagner, Edward (1974) Social Stratification in Seventeenth Century Korea: Some Observations from a 1663 Seoul Census Register, Occasional Papers on Korea 

  42. Weir, David (1984) 'Life under Pressure: France and England, 1670-1870' Journal of Economic History 44(1): 27-47 

  43. Wolf, Arthur (1985) 'Fertility in Prerevolutional Rural China' pp. 154-185 in Family and Population in East Asian History, edited by Susan B. Hanley and Arthur P. Wolf,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44. Wrigley, E. A. (1978) 'Fertility Strategy for the Individual and the Group' in Historical Studies of Changing Fertility edited by Charles Till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45. Wrigley, E. A., R. S. Davies, J. E. Oeppen, and R. S. Schofield (1997) English Population History from Family Reconstitution, 1580-183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Zhao, Zhongwei (1997) 'Long­term Mortality Patterns in Chinese Hisoty: Evidence from a Recorded Clan Population' Population Studies 51: 117-127 

  47. Zhao, Zhongwei (2001) 'Chinese Genealogies as a Source for Demographic Research: A Further Assessment of their Reliability and Biases' Population Studies 55: 181-93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