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순 비만아에서 간효소치와 신체 계측 및 생화학 측정치와의 관련성
Relationships with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and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Measures in Obese Children 원문보기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v.12 no.1, 2009년, pp.30 - 38  

윤경빈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김재영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비만에서 발생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대부분 무증상이어서 혈청 검사에서 간효소치 상승이 있거나 간초음파검사에서 지방간이 발견되는 경우에 이 질환에 대한 의학적 관심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아와 과체중아에서 간세포손상을 반영하는 ALT 상승과 신체 계측치 및 생화학적 검사치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충남대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비만 또는 과체중으로 진단받은 142예를 대상으로 신체 계측, 생화학 검사를, 간초음파검사는 일부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ALT치를 기준으로 정상 군(I군)과 상승 군(II군)으로 분류하여 신체 계측치, 생화학 검사치, 간초음파 소견을 비교하였다. 바이러스간염, 약물 유발 간염, 대사이상 간염, 내분비 장애, 유전 질환이 있는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단순 비만아에서 간전이효소치의 상승은 전체의 54.2%에서 있었으며, 남녀별로는 남아 63.0%, 여아 26.5%에서 있었다. I군과 II군의 나이는 각각 11.4${\pm}$3.3, 11.7${\pm}$3.2세로 차이가 없었다. 성별 분포는 I군은 남아 40예, 여아 25예로 총 65예, II군은 남아 68예, 여아 9예로 총 77예로 양군 모두 남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으며(p=0.003, 0.001) 남녀 비는 I군 1.6:1, II군 7.6:1로 II군에서 남아의 발생빈도가 4.8배 더 높았다. 신체 계측치는 허리둘레/키 비, 엉덩이둘레/키 비가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0.046), 키,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리둘레/엉덩이둘레 비, 비만 정도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화학 검사치와 인슐린 저항성에서는 AST, ${\gamma}$-GT,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AST/ALT비는 I군 1.10${\pm}$0.41, II군 0.55${\pm}$0.17로 I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0.001, <0.001). 중성지방, 고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수치, 공복 시 인슐린 농도, 혈당, 인슐린 저항성 지표는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변량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체질량지수, 엉덩이둘레/키 비, 허리둘레/키 비, ${\gamma}$-GT, 중성지방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초음파검사는 I군 11예, II군 32예에서 시행되었는데, 양 군 모두 경도의 지방간 소견이 가장 많았으며, 양 군 간에 지방간 빈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비만아에서 허리둘레/키 비, AST, AST/ALT비, ${\gamma}$-GT,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ALT치가 정상인 군 보다 상승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허리둘레/키 비와 ${\gamma}$-GT가 ALT 상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신체 계측치인 허리둘레/키 비를 ALT치가 상승된 비만아의 관리에 참고 자료로 이용해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related with elevate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in obese children. Methods: One hundred forty-two obese or overweight children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 적: 비만에서 발생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대부분 무증상이어서 혈청 검사에서 간효소치 상승이 있거나 간초음파검사에서 지방간이 발견되는 경우에 이 질환에 대한 의학적 관심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아와 과체중아에서 간세포손상을 반영하는 ALT 상승과 신체 계측치 및 생화학적 검사치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문제점은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계측 시에 완전 호기 시점에 대한 측정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으며, 측정치도 개인 간의 차이나 개인내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음식 섭취 여부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계측 치에 오차가 포함될 수 있어서, 허리둘레/키 비가 측정 시기나 측정자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간효소치 상승이 지방간염이나 간섬유화 등의 조직학적 변화를 반영하는 지표가 아니기 때문에 지방간염을 평가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 저자들은 비만아와 과체중아에서 간세포 손상을 반영하는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상승과 신체 계측치 및 생화학 검사치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범주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비만에서 발생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최근 성인뿐만 아니라 소아에서도 간전이효소치 상승과 만성 간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1,2). 이 질환의 범주는 단순 지방간에서부터 지방간염 및 간섬유화와 간경화까지 다양하며, 간암 발생도 보고되고 있다3∼5). 간섬유화에 전신 비만보다는 복부 비만이 더 기여하며6), 비록 아직까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병태 생리가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간실질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과 간세포 손상에 인슐린저항성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여 대사증후군의 간 관련 질환으로 이해되고 있다7∼10).
비만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발생은 어떤 위험을 야기하는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알코올 섭취가 없는 상태에서 섭취된 지방의 대사에 평형이 깨져 중성 지방이 간 실질세포에 축적되면서 나타나는 넓은 범주의 질환이다. 비만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발생은 고인슐린혈증으로 인한 지질대사의 불균형으로 간 실질세포 내에 지방이 축적되는 단순 지방간이 일차손상(first hit)이고, 지방이 축적된 간이 산소유리기와 사이토카인에 의한 세포손상(second hit)에 취약해져 염증세포의 침윤으로 지방간염이 생기고 간 내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세포자멸사 및 간섬유화와 간경화 드물게 간암으로 까지 진행할 수 있다10,15,16).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란 무엇인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알코올 섭취가 없는 상태에서 섭취된 지방의 대사에 평형이 깨져 중성 지방이 간 실질세포에 축적되면서 나타나는 넓은 범주의 질환이다. 비만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발생은 고인슐린혈증으로 인한 지질대사의 불균형으로 간 실질세포 내에 지방이 축적되는 단순 지방간이 일차손상(first hit)이고, 지방이 축적된 간이 산소유리기와 사이토카인에 의한 세포손상(second hit)에 취약해져 염증세포의 침윤으로 지방간염이 생기고 간 내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세포자멸사 및 간섬유화와 간경화 드물게 간암으로 까지 진행할 수 있다10,15,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Vuppalanchi R, Chalasani 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Selected practical issues in their evaluation and management. Hepatology 2008;48:1-12. 

  2. Nobili V, Manco M, Devito R, Di Ciommo V, Comparcola D, Sartorelli MR, et al. Lifestyle intervention and antioxidant therapy in children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epatology 2008;48:119-28. 

  3. Angulo P.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2002;346:1221-31. 

  4. Bugianesi E, Leone N, Vanni E, Marchesini G, Brunello F, Carucci P, et al. Expanding the natural history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from cryptogenic cirrhosis to hepatocellular carcinoma. Gastroenterology 2002;123: 134-40. 

  5. Guzman G, Brunt EM, Petrovic LM, Chejfec G, Layden TJ, Cotler SJ. Doe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redispose patients to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he absence of cirrhosis- Arch Pathol Lab Med 2008;132:1761-6. 

  6. Manco M, Bedogni G, Marcellini M, Devito R, Ciampalini P, Sartorelli MR, et al. Waist circumference correlates with liver fibrosis in children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Gut 2008;57:1283-7. 

  7. Utzschneider KM, Kahn SE. Review: The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Clin Endocrinol Metab 2006;91:4753-61. 

  8. Kim CH, Younossi ZM.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a manifesta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Cleve Clin J Med 2008;75:721-8. 

  9. Boppidi H, Daram S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hepatic manifestation of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Postgrad Med 2008;120:E1-7. 

  10. Papandreou D, Rousso I, Mavromichalis I. Update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children. Clin Nutr 2007;26:409-15. 

  11. Burgert TS, Taksali SE, Dziura J, Goodman TR, Yeckel CW, Papademetris X, et al.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and fatty liver in childhood obesity: associations with insulin resistance, adiponectin, and visceral fat. J Clin Endocrinol Metab 2006;91:4287-94. 

  12. Kral JG, Schaffner F, Pierson RN Jr, Wang J. Body fat topography 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fatty liver. Metabolism 1993;42:548-51. 

  13. Marchesini G, Brizi M, Morselli-Labate AM, Bianchi G, Bugianesi E, McCullough AJ, et al. Associ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insulin resistance. Am J Med 1999;107:450-5. 

  14. Oh SY, Cho YK, Kang MS, Yoo TW, Park JH, Kim HJ,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increased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and metabolic factor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etabolism 2006;55:1604-9. 

  15. Hubscher SG. Histological assess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istopathology 2006;49:450-65. 

  16. Barshop NJ, Sirlin CB, Schwimmer JB, Lavine JE. Review article: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potential treatments of paediatric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liment Pharmacol Ther 2008;28:13-24. 

  17.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medical position statemen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Gastroenterology 2002;123:1702-4. 

  18. Westerbacka J, Corner A, Tiikkainen M, Tamminen M, Vehkavaara S, Hakkinen AM, et al. Women and men have similar amounts of liver and intra-abdominal fat, despite more subcutaneous fat in women: implications for sex differences in markers of cardiovascular risk. Diabetologia 2004;47:1360-9. 

  19. Sartorio A, Del Col A, Agosti F, Mazzilli G, Bellentani S, Tiribelli C, et al. Predictor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obese children. Eur J Clin Nutr 2007;61:877-83. 

  20. Franzese A, Vajro P, Argenziano A, Puzziello A, Iannucci MP, Saviano MC, et al. Liver involvement in obese children. Ultrasonography and liver enzyme levels at diagnosis and during follow-up in an Italian population. Dig Dis Sci 1997;42:1428-32. 

  21. Bergomi A, Lughetti L, Corciulo N. Italian multicenter study on liver damage in pediatric obesity. Int Obes Relat Metab Disord 1998;22(Suppl):22S. 

  22. Louthan MV, Theriot JA, Zimmerman E, Stutts JT, McClain CJ. Decreased preval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black obese childre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5;41:426-9. 

  23. Strauss RS, Barlow SE, Dietz WH. Prevalence of abnormal serum aminotransferase values in overweight and obese adolescents. J Pediatr 2000;136:727-33. 

  24. Schwimmer JB, McGreal N, Deutsch R, Finegold MJ, Lavine JE. Influence of gender, race, and ethnicity on suspected fatty liver in obese adolescents. Pediatrics 2005;115:e561-5. 

  25. Kinugasa A, Tsunamoto K, Furukawa N, Sawada T, Kusunoki T, Shimada N. Fatty liver and its fibrous changes found in simple obesity of childre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984;3:408-14. 

  26. Kawasaki T, Hashimoto N, Kikuchi T, Takahashi H, Uchiyama M. The relationship between fatty liver and hyperinsulinemia in obese Japanese childre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997;24:317-21. 

  27. Tazawa Y, Noguchi H, Nishinomiya F, Takada G.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in obese children. Acta Pediatr 1997;86:238-41. 

  28. Zou CC, Liang L, Hong F, Fu JF, Zhao ZY. Serum adiponectin, resistin levels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obese children. Endocr J 2005;52:519-24. 

  29. Chan DF, Li AM, Chu WC, Chan MH, Wong EM, Liu EK, et al. Hepatic steatosis in obese Chinese childr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4;28:1257-63. 

  30. Yoo JS, Lee SY, Kim KN, Yoo SM, Sung EJ, Yim JE. Relationship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s a surrogate of NAFL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obese Korean children. Diabetes Res Clin Pract 2008;81:321-6. 

  31. Baldridge AD, Perez-Atayde AR, Graeme-Cook F, Higgins L, Lavine JE. Idiopathic steatohepatitis in childhood: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J Pediatr 1995;127:700-4. 

  32. Park JY, Ko JS, Seo JK, Lee R, Shin CH, Kang GH, et al.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rogressing to cirrhosis in an obese boy with hypopituitarism.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8;2:204-13. 

  33. Hickman IJ, Jonsson JR, Prins JB, Ash S, Purdie DM, Clouston AD, et al. Modest weight loss and physical activity in overweight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results in sustained improvements in alanine aminotransferase, fasting insulin, and quality of life. Gut 2004;53:413-9. 

  34. Tazawa Y, Noguchi H, Nishinomiya F, Takada G. Effect of weight reduction on serum transaminase activities in children with simple obesity. J Pediatr 1996;128:587-8. 

  35. Uslan I, Acarturk G, Karaca E, Albayrak R, Yuksel S, Colbay M, et al. The effects of weight loss on normal transaminase levels in obese patients. Am J Med Sci 2007;334:327-30. 

  36. Vajro P, Fontanella A, Perna C, Orso G, Tedesco M, De Vincenzo A. Persistent hyperaminotransferasemia resolving after weight reduction in obese children. J Pediatr 1994;125:239-41. 

  37. Palmer M, Schaffner F. Effect of weight reduction on hepatic abnormalities in overweight patients. Gastroenterology 1990;99:1408-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