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식을 위한 사람 양막의 소독 및 멸균공정에 의한 감염성 위해인자 불활화 효과
Inactivation of Infectious Microorganisms by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Processes for Human Amniotic Membrane Graf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5 no.4, 2009년, pp.346 - 353  

배정은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바이오의약품안전성검증센터) ,  김찬경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바이오의약품안전성검증센터) ,  김인섭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바이오의약품안전성검증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식을 위해 사용하는 사람 양막은 기증자로부터 수혜자에게 바이러스, 세균, 진균과 같은 감염성 위해인자를 전파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적절한 소독 및 멸균 공정을 통해 이식용 양막 내재 또는 혼입 가능한 감염성 위해인자를 완벽하게 불활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조직은행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독 공정과 멸균 공정의 바이러스 및 세균, 진균 불활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국제적 가이드에 따라 5종의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HIV-1), bovine herpes virus (BHV),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BVDV), hepatitis A virus (HAV), porcine parvovirus (PPV)]와 2종의 세균(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1종의 진균(Candida albicans)을 생물학적 지표로 사용하였다. 양막에 각 생물학적 지표를 첨가한 후 70% 에탄올 소독 공정, 감마선 조사 공정, 산화에틸렌 가스 멸균 공정을 실시한 다음 각 바이러스, 세균, 진균을 회수하여 정량한 후 불활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70% 에탄올 처리 공정에서 HIV-1, BHV, BVDV 같은 외피 바이러스는 처리 시간 2.5분 안에 불활화되었지만, HAV와 PPV 같은 비-외피 바이러스는 에탄올에 매우 큰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2.5 kGy 조사에 의해 HIV-1, BHV, BVDV는 검출한계 이하로 완벽하게 불활화되었다. HAV와 PPV는 각각 5 kGy와 25 kGy 조사에 의해 검출한계 이하로 불활화되었다. 산화에틸렌 가스 처리에 의해 본 연구에 사용한 모든 바이러스가 검출한계 이하로 불활화되었다. 70% 에탄올 처리 공정에서 E. coli와 C. albicans는 모두 5분 안에 완벽하게 사멸하였다. 하지만 B. subtilis는 큰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 공정과 산화에틸렌 가스 멸균 공정에서 E. coli, B. subtilis, C. albicans 모두 완벽하게 불활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ral, bacterial, and fungal infection can be transmitted from donor to recipient via transplantation of human amniotic membrane. Therefore human amniotic membrane for transplantation should be disinfected and sterilized before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the disin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조사한 70% 에탄올 처리 공정, 감마선조사 공정, 산화에틸렌 가스 공정의 바이러스 및 세균, 진균 불활화 효과는 얼마나 효과적으로 화학물질과 감마선이 양막안으로 침투하는 가에 달려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질층을 제거한 양막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기질층을 제거하지 않은 양막이라 할지라도 침투력이 강한 감마선조사는 동일한 불활화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에탄올 처리와 산화에틸렌 가스 공정은 화학물질의 침투력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의 목표는 양막에 대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소독방법과 멸균방법을 실험을 통하여 제시하고, 동 방법에 대한 표준모델을 확립하여, 표준화 되어 있지 못한 소독 및 멸균방법에 대하여 표준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인체조직은행의 이식용 양막 안전성 확보수준을 향상시키고, 안전한 양막조직이 공급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조직 소독 공정(70% 에탄올 처리 공정)과 멸균 공정(감마선조사 공정과 산화에틸렌 가스 공정)의 바이러스 및 세균, 진균 불활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5종의 바이러스[HIV type 1 (HIV-1), bovine herpes virus (BHV),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BVDV), HAV, porcine parvovirus (PPV)]와 2종의 세균(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체조직 이식 기증자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요인인 이유는 인체조직 이식의 어떤 특징 때문인가? 사람의 뼈, 연골, 근막, 피부, 양막, 인대, 건, 심장판막, 혈관 등과 같은 인체조직은 심장, 간, 신장 등의 고형장기와 달리 면역학적 거부반응의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다양한 용도로 환자들에게 이식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인체조직은 한 사람의 기증자로부터 불특정 다수의 수혜자에게 이식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식을 위해 채취한 조직이 감염성 위해인자에 오염되었을 경우 그 오염이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될 수 있다. 기증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기증자의 병력을 검토하고, 기증자의 신체에 대한 육안 검사를 통해 감염의 증후, 외상 등 조직의 성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유무를 확인하고, 또한 기증자의 혈액검사 및 조직에 대한 미생물학적 검사를 통해 감염질환에 대한 선별검사를 실시한다 할지라도 기증된 인체 조직에 감염성 위해 인자가 오염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2, 3, 40).
감염성 세균과 진균이 오염된 골 조직을 이식하였을 때 몇 % 정도의 감염이 발생하는가? 감염성 세균 및 진균이 오염된 골 조직을 이식하였을 경우 통계적으로 18~75%에서 감염이 발생하였고, 세균 및 진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던 조직을 이식한 경우라도 1.6~3.
인체조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사람의 뼈, 연골, 근막, 피부, 양막, 인대, 건, 심장판막, 혈관 등과 같은 인체조직은 심장, 간, 신장 등의 고형장기와 달리 면역학적 거부반응의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다양한 용도로 환자들에게 이식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인체조직은 한 사람의 기증자로부터 불특정 다수의 수혜자에게 이식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이은영. 2005. 조직은행에서 채취한 동종조직의 세균 배양평가.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31, 31-38 

  2. 이은영, 김경원, 엄인웅. 2006. 동종조직이식술시 전염성질환의 이환가능성에 대한 고찰 I: 동종골조직.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8, 365-370 

  3. 이은영, 김경원, 엄인웅. 2006. 동종조직이식술시 전염성질환의 이환가능성에 대한 고찰 II: 동종연조직.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9, 262-267 

  4. Adds, P.J., C. Hunt, and S. Hartley. 2001. Bacterial contamination of amniotic membrane. Br. J. Ophthalmol. 85, 228-230 

  5. Beggs, W.H. 1989. Development of phenotypic resistance to direct lethal miconazole action by Candida albicans entering stationary phase. Mycopathol. 108, 201-206 

  6. Bohatyrewicz, A., R. Bohatyrewicz, R. Klek, A. Kaminski, K. Dobiecki, P. Bialecki, M. Kedzierski, M. Zienkiewicz, and A. Dziedzic-Goclawska. 2006. Factors determining the contamination of bone tissue procured from cadaveric and multiorgan donors. Transplant. Proc. 38, 301-304 

  7. Cebrian, G., N. Sagarzazu, R. Pagan, S. Condon, and P. Manas. 2007. Heat and pulsed electric field resistance of pigmented and non-pigmented enterotoxigenic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in exponential and stationary phase of growth. Int. J. Food Microbiol. 118, 304-311 

  8. Choi, Y.W. and I.S. Kim. 2008. Viral clearance during the manufacture of urokinase from human urine. Biotechnol. Bioprocess Eng. 13, 25-32 

  9. Eastlund, T. 1995.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through cell, tissue, and organ transplantation: reducing the risk through donor selection. Cell Transplant. 4, 455-477 

  10. Gomes, J.A., A. Roman, M.S. Santos, and H.S. Dua. 2005. Amniotic membrane use in ophthalmology. Curr. Opin. Ophthalmol. 16, 233-240 

  11. Goyal, R., S.M. Jones, M. Espinosa, V. Green, and K.K. Nischal. 2006.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in children with symblepharon and massive pannus. Arch. Ophthalmol. 124, 1435-1440 

  12. Grieb, T.A., R.Y. Forng, R.E. Stafford, J. Lin, J. Almeida, S. Bogdansky, C. Ronholdt, W.N. Drohan, and W.H. Burgess. 2005. Effective use of optimized, high-dose (50 kGy) gamma irradiation for pathogen inactivation of human bone allografts. Biomaterials 26, 2033-2042 

  13. Hilmy, N., A. Febrida, and A. Basril. 2000. Validation of radiation sterilization dose for lyophilized amnion and bone grafts. Cell Tissue Bank 1, 143-148 

  14. Hornicek, F.J., J.E. Woll, and D. Kasprisin. 2002. Standards for tissue banking, pp. 31-45. American Association of Tissue Banks, Bethesda, Maryland, USA 

  15.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94. Medical devices - Validation and routine control of ethylene oxide sterilization. Geneva, Switzerland 

  16.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98. Sterilization of medical devices-Microbiological methods. Part 2: Test of sterility performed in the validation of a sterilization process. Geneva, Switzerland 

  17.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2. Sterilization of health care products - Radiation sterilization - Substantiation of 25 kGy as a sterilization dose for small or infrequent production batches. Geneva, Switzerland 

  18. Karber, J. 1931. Beitrag zur kollectiven behandlung pharmakologische reihenversuche. Arch. Exp. Path. Pharmak. 162, 480-483 

  19. Kim, I.S., Y.W. Choi, Y. Kang, H.M. Sung, K.W. Sohn, and Y.S. Kim. 2008. Improvement of virus safety of an antihemophilic factor IX by virus filtration process. J. Microbiol. Biotechnol. 18, 1317-1325 

  20. Kim, I.S., Y.W. Choi, Y. Kang, H.M. Sung, K.W. Sohn, and J.S. Shin. 2008. Dry-heat treatment process for enhancing viral safety of an antihemophilic factor VIII concentrate prepared from human plasma. J. Microbiol. Biotechnol. 18, 997-1003 

  21. Lambrecht, J.T., B. Glaser, and J. Meyer. 2006. Bacterial contamination of filtered intraoral bone chips. Int. J. Oral Maxillofac. Surg. 235, 996-1000 

  22. Lavanchy, D. 2008. Hepatitis B virus transmission in organ, tissue, and cell transplantation. Gastroenterol. 135, 1041-1043 

  23. Lee, S.H. and S.C. Tseng. 1997.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for persistent epithelial defects with ulceration. Am. J. Ophthalmol. 123, 303-312 

  24. Maillard, J.Y. and A.D. Russell. 1997. Virucidal activity and mechanism of action of biocides. Sci. Prog. 30, 287-315 

  25. McDonnell, G.E. 2007. Antisepsis,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pp. 32-54. ASM Press,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26. McDonnell, G.E. 2007. Antisepsis,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pp. 62-63. ASM Press,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27. McDonnell, G.E. 2007. Antisepsis,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pp. 191-197. ASM Press,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28. McDonnell, G. and A.D. Russell. 1999. Antiseptics and disinfectants: activity, action, and resistance. Clin. Microbiol. Rev. 12, 147-179 

  29. Moore, T.M., E. Gendler, and E. Gendler. 2004. Viruses adsorbed on musculoskeletal allografts are inactivated by terminal ethylene oxide disinfection. J. Orthop. Res. 22, 1358-1361 

  30. Nakamura, T., M. Yoshitani, H. Rigby, N.J. Fullwood, W. Ito, T. Inatomi, C. Sotozono, T. Nakamura, Y. Shimizu, and S. Kinoshita. 2004. Sterilized, freeze-dried amniotic membrane: a useful substrate for ocular surface reconstruc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45, 93-99 

  31. Nakamura, T., T. Inatomi, E. Sekiyama, L.P. Ang, N. Yokoi, and S. Kinoshita. 2006. Novel clinical application of sterilized, freezedried amniotic membrane to treat patients with pterygium. Acta Ophthalmol Scand. 84, 401-405 

  32. Paridaens, D., H. Beekhuis, W. van den Bosch, L. Remeyer, and G. Melles. 2001.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in the management of conjunctival malignant melanoma and primary acquired melanosis with atypia. Br. J. Ophthalmol. 85, 658-661 

  33. Pires, R.T., S.C. Tseng, P. Prabhasawat, V. Puangsricharer, S.L. Maskin, J.C. Kim, and D.T.H. Tan. 1999.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for symptomatic bullous keratopathy. Arch. Ophthalmol. 117, 1291-1297 

  34. Pruss, A., M. Kao, T. Garrel, L. Frommelt, L. Gurtler, F. Benedix, and G. Pauli. 2003. Virus inactivation in bone tissue transplants (femoral heads) by moist heat with the 'Marburg bone bank system'. Biologicals 31, 75-82 

  35. Riau, A.K., R.W. Beuerman, L.S. Lim, and J.S. Mehta. 2010. Preservation, sterilization and de-epithelialization of human amniotic membrane for use in ocular surface reconstruction. Biomaterials 31, 216-225 

  36. Sangwan, V.S., S. Burman, S. Tejwani, S.P. Mahesh, and R. Murthy. 2007.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A review of current indications in the management of ophthalmic disorders. Curr. Ophthalmol. 55, 251-260 

  37. Singh, R., S. Purohit, M.P. Chacharkar, P.S. Bhandari, and A.S. Bath. 2007. Microbiological safety and clinical efficacy of radiation sterilized amniotic membranes for treatment of seconddegree. Burns 33, 505-510 

  38. von Versen-Hoeynck, F., A.P. Steinfeld, J. Becker, M. Hermel, W. Rath, and U. Hesselbarth. 2008. Sterilization and preservation influence the biophysical properties of human amnion grafts. Biologicals 36, 248-255 

  39. von Versen-H $\ddot{o}$ ynck, F., U. Hesselbarth, and D.E. M $\ddot{o}$ ller. 2004. Application of sterilised human amnion for reconstruction of the ocular surface. Cell Tissue Bank 5, 57-65 

  40. Wang, S., C. Zinderman, R. Wise, and M. Braun. 2007. Infections and human tissue transplants: review of FDA MedWatch reports 2001-2004. Cell Tissue Bank 8, 211-2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