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담체 활용 생물접종에 의한 원유로 오염된 해양토양의 정화
Clean-up of the Crude Oil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Through Biocarrier-Mediated Bioaugmenta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5 no.4, 2009년, pp.354 - 361  

(한국해양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배환진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및 해양산업연구소) ,  권성현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및 해양산업연구소) ,  김병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바이오센터) ,  박득자 (을지엔텍(주)) ,  김희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바이오센터) ,  고성철 (한국해양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표는 생물담체(biocarrier)에 의한 생물접종기술(bioaugmentation)을 개발하여 원유로 오염된 해양저질의 정화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몇 군데의 원유로 오염된 해안으로부터 수 가지의 분해미생물군집을 농화배양하여 평가한 결과 기능적으로 상이한 2가지의 미생물군집을 분리하였다. 이들 미생물군집을 혼합 배양한 경우 Alcanivorax sp.가 우점종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군집과 대나무활성탄 등을 이용하여 미생물제제(MA-2)를 제조하여 사질의 원유오염 해안토양에 처리할 경우 5주 후 산소발생제의 존재하에 90% 이상의 TPH 분해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점질의 토양도 미생물제제(MA-1)를 처리할 경우 5주 후 71% 정도의 분해율을 나타냈다. 이는 분리된 토착미생물군집을 활용하여 오염토양의 처리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계면활성제의 고농도의 처리는 분해미생물의 작용을 억제하므로 적절한 농도의 확인이 필요하며 점토질의 토양의 정화를 위해서는 적절한 통기를 시키는 방법(산소발생제 투여, 기계적 aeration 등)의 활용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effective biocarrier-mediated bioaugmentation technology which will be useful for remediation of the crude oil-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Enrichment of several microbial communities was made from several oil-polluted seashore sites and the two distinc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한 연구에서는 활성탄을 분해미생물 담체(biocarrier)로 하여 원유분해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원유의 분해는 물론 미생물의 증식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8). 본 연구에서는 고온에서 활성화된 국내산 대나무활성탄을 우수 유류분해 혼합균의 배양담체로 사용하고 이에 기타 부형제를 첨가하여 미생물제제를 제조하여 원유로 오염된 해양토양의 정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대나무활성탄은 유류분해 혼합균주의 증식을 촉진하였으며 제조된 미생물제제는 산소발생제의 존재하에서 현저하게 유류분해를 촉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류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산업과 인구 증가로 인하여 유류의 사용량은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한 유출 사고의 발생빈도 또한 급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유류 유출사고가 일어나면 유출된 유류는 어떻게 되는가? 이로 인한 유출 사고의 발생빈도 또한 급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유류 유출사고가 발생하면 방제작업으로 일부분이 제거되지만 대부분은 환경 내에 잔류하여 물리학적, 화학적, 생물학적 기작에 의한 복합적인 분해가 이루어진다(1, 3). 그 동안 개발되어 사용되었던 유류오염 정화기술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생물학적 복원 기술 중 bioaugmentation 기법에서 활용되는 유류 분해균 미생물에 관한 연구로 어떤 것이 있는가? 따라서 유류 오염지역으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은 오염현장에 가장 잘 적응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2차 오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류 오염 토양의 생물학적 처리기술인 bioaugmentation 기법에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최근 Harayama 등(2004)은 유류로 오염된 해수에서 분리된 유류분해균인 Alcanivorax sp., Marinobacter sp., Neptunomonas sp., Oleiphilus sp. 및 Oleispira sp.를 보고하고 있다(16). 또한 Alcanivorax sp.는 정화가 진행되고 있는 유류로 오염된 해수의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12). Coulon 등(2007)은 호냉성균이며 4℃에서 유류를 분해하는 Thalassolituus sp., Cycloclasticus sp. 및 Roseobacter sp.을 보고하고 있는데(14), 이들은 계절에 큰 영향을 받지 앉고 해양에 오염된 유류를 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존의 해양유류오염 처리에 사용된 미생물제제는 주로 몇 가지의 우수분해 미생물을 선발하여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고성환, 이홍금, 김상진. 1998. Hydrocarbon uptake modes에 따른 유류분해 미생물 혼합제의 원유분해능. 한국생물공학회지 13, 606-614 

  2. 김병혁, 백경화, 조대현, 성열붕, 안치용, 오희목, 고성철, 김희식. 2009. 경기도 김포, 인천 서구지역 소하천의 PCE 탈염소화 군집의 선별 및 다양성 분석. 한국미생물학회지 45, 140-147 

  3. 서은영, 송홍규. 1994. 토양미생물군집의 개체수와 활성도에 미치는 경유의 영향. 한국미생물학회지 32, 163-171 

  4. 최경숙, 김순한, 정영기, 장경립, 이태호. 1997. Tsukamurella sp. 26A에 의한 계면활성제의 생산. 한국미생물학회지 33, 187-192 

  5. Al-Awadhi, H., R.H. Al-Hasan, N.A. Sorkhoh, S. Salamah, and S.S. Radwan. 2003. Establishing oil-degrading biofilms on gravel particles and glass plates. Int. Biodeter. Biodegrad. 51, 181-185 

  6. Alonso-Gutierrez, J., A. Figueras, J. Albaiges, N. Jimenez, M. Vinas, A.M. Solanas, and B. Novoa. 2009. Bacterial communities from shoreline environments (costa da morte, northwestern Spain) affected by the prestige oil spill. Appl. Environ. Microbiol. 75, 3407-3418 

  7. Altas, R.M. 1981. Microbial degrad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Microbiol. Rev. 45, 180-209 

  8. Altas, R.M. and R. Bartha. 1992. Hydrocarbon biodegradation and oil spill bioremediation. Adv. Microb. Ecol. 12, 287-338 

  9. Bak, Y.C., K.J. Cho, and J.H. Choi. 2005. Production and $CO_2$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from Bamboo by $CO_2$ activation method. Kor. Chem. Engineer. Res. 43, 146-152 

  10. Balba, M.T., N. Al-Awadhi, and R. Al-Daher. 1998. Bio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 methods for feasibility assessment and field evaluation. J. Microbiol. Methods 32, 155-164 

  11. Bonin, P., J.F. Rontani, and L. Bordenave. 2001. Metabolic differences between attached and free-living marine bacteria: inadequacy of liquid cultures for describing in situ bacterial activity. FEMS Microbiol. Ecol. 194, 111-119 

  12. Cappello, S., R. Denaroa, M. Genovesea, L. Giulianoa, and M.M. Yakimova. 2007. Predominant growth of Alcanivorax during experiments on "oil spill bioremediation" in mesocosms. Microbiol. Res. 162, 185-190 

  13. Choi, B.R., V.H. Pham, S.J. Park, S.J. Kim, D.H. Roh, and S.K. Rhee. 2009. Biochemistry ; Characterization of facultative sulfuroxidizing Marinobacter sp. BR13 isolated from marine sediment of Yellow Sea, Korea. J. Appl. Biol. Chem. 52, 309-314 

  14. Coulon, F., B.A. McKew, A.M. Osborn, T.J. McGenity, and K.N. Timmis. 2007. Effects of temperature and biostimulation on oildegrading microbial communities in temperate estuarine waters. Environ. Microbiol. 9, 177-186 

  15. De Acevedo, G.T. and M.J. McInnerney. 1996. Emulsifying activity in themophilic and extremely thermophlic microorganisms. J. Inst. Microbiol. 16, 1-7 

  16. Harayama, S., Y. Kasai, and A. Hara. 2004. Microbial communities in oil-contaminated seawater. Curr. Opin. Biotech. 15, 205-214 

  17. Kodama, Y., L.I. Stiknowati, A. Ueki, K. Ueki, and K. Watanabe. 2008. Thalassospira tepidiphila sp. nov., a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degrading bacterium isolated from seawater. Int. J. Syst. Evol. Microbiol. 58, 711-715 

  18. Lianga, Y., X. Zhanga, D. Daib, and G. Lia. 2009. Porous biocarrier-enhanced biodegradation of crude oil contaminated soil. Int. Biodeter. Biodegr. 63, 80-87 

  19. Nakamura, S., Y. Sakamoto, M. Ishiyama, D. Tanaka, K. Kunii, K. Kubo, and C. Sato. 2007. Characterization of two oil-degrading bacterial groups in the Nakhodka oil spill. Int. Biodeter. Biodegr. 60, 202-207 

  20. Omar, S.H., U. Budecker, and H.J. Rehm. 1990. Degradation of oily sludge from a flotation unit by free and immobilized microorganisms. Appl. Microbiol. Biotechnol. 34, 259-263 

  21. Passeri, A., M. Schmidt, T. Haffner, V. Wray, S. Lang, and F. Wagner. 1992. Marine biosurfactants. IV. Production, characterization and biosynthesis of an anionic glucose lipid from the marine bacterial strain MM1. Appl. Microbiol. Biotechnol. 37, 281-286 

  22. Roenberg, E. and E.Z. Ron. 1997. Bioemulsans: microbial polymeric emulsifiers. Curr. Opin. Biotechnol. 8, 313-316 

  23. Yoon, J.H., T.K. Oh, and Y.H. Park. 2005. Erythrobacter seohaensis sp. nov. and Erythrobacter gaetbuli sp. nov., isolated from a tidal flat of the Yellow Sea in Korea. Int. J. Syst. Evol. Microbiol. 55, 71-75 

  24. Zhang, H., A. Kallimanis, A.I. Koukkou, and C. Drainas. 200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bacteria degrading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from polluted Greek soils. Appl. Microbiol. Biotechnol. 65, 124-131 

  25. Zhang, Y. and R.M. Miller. 1994. Effect of a Pseudomonas rhamnolipid biosurfactant on cell hydrophobicity and biodegradation of octadecane. Appl. Environ. Microbiol. 60, 2101-2106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