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슬러지 호기성 소화공정에서의 유기물 분해 및 질산화 특성
Organic Matter Degradation and Nitrification Characteristics in Aerobic Digestion of Sewage Sludge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1 no.10, 2009년, pp.865 - 872  

황응주 (대구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슬러지의 감량과 최종처분 기술 개발을 위해 실험실 규모 호기성 소화공정을 279일간 운전하였다. 혐기성 소화 슬러지를 원료로 $40^{\circ}C$에서 120분간 알칼리 전처리하여 호기성 소화조에 유입시켰다. 유입 슬러지 성상과 HRT의 변화에 따라 소화효율의 변화가 있었으며 적정 HRT는 6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NH_3$-N, SCOD, TKN, TCOD, SS, VSS의 평균 제거율(소화조 유입 슬러지 기준)은 각각 97.4%, 81.7%, 68.7%, 61.4%, 50.6%, 47.0% 이었다. SS는 전처리와 호기성 소화를 통해 원료 슬러지(23,920 mg/L)의 73.9% 감량화가 가능하였다. 처리 슬러지는 약 350 mg/L의 SCOD를 포함하고 있어 액비로 활용하기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HRT를 5일 이상으로 유지할 경우 질산화 반응이 활성화되었으며 최대 658 mg/L의 유출 슬러지 질산성 질소 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는 20 mg/L 내외로 크게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inuous operation of aerobic sludge digestion reactor was attempted for 279 days. Anaerobic digester sludge, the target material of the experiment, was pretreated by sodium hydroxide at $40^{\circ}C$ for 120 minutes, and the pretreated sludge was fed to 5 L CSTR (continuous stirred t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8~21) 특히 호기성 소화 조건에서는 탄소성 기질이 제한되므로 질산화 반응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다.14) 본 연구에서는 연속 소화공정에서도 회분식 공정과 유사하게 질소화합물이 변화하는지 관찰하였다(Fig. 4). 먼저 TKN은 고형물 및 유기물과 같은 변화 양상을 보였다.
  • 본 연구에 앞서 진행된 40일간의 회분식 호기성 소화 실험에서 슬러지의 고형물 및 유기물 안정화를 통해 작물 증산에 유리한 처리 슬러지(또는 액비)가 생산되었으며, 특히 호기성 소화 공정에서 작물에 흡수가 용이한 질산성 질소가 높은 농도로 생산됨을 확인한 바 있다.14)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속식 소화공정의 장기간 운전을 시도하였다. 호기성 소화 장치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수리학적 체류시간(HRT, hydraulic retention time)을 변화시켜가며 실제 슬러지를 원료로 279일간 연속 운전하였다.
  • 질산화 독립영양세균은 성장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므로16) 반응조 체류시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세포유실(washout)이 일어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질산화 세균의 활성화를 위해 최소 5일 이상의 HRT가 유지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유출수 질산성 질소 농도는 최대 658 mg/L까지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슬러지의 액상 비료화를 위해서는 어떤 기술이 확립되어야 하는가? 슬러지의 액상 비료화를 위해서는 안정화를 의미하는 소화공정의 구성과 운전 기술을 확립해야 하나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연구는 극히 드물었다. 호기성 소화를 통한 고형물 또는 유기물의 안정화 효율을 검토한 연구는 다소 있었으나10~13) 비료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없었다.
지금까지의 슬러지 처분은 무엇에 의존했는가? 1) 런던협약에 의해 해양투기가 2012년부터 전면 금지될 예정에 있으며, 육상매립도 2003년 7월부터 국내 모든 폐수종말처리시설 및 하수처리시설 중 하루 처리용량 10,000 m3 이상의 시설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직매립이 금지되고 있어 막대한 양의 슬러지 처리 및 처분 방안이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2) 지금까지의 슬러지 처분은 눈에 보이지 않도록 버리거나 묻거나 태워 없애는 방식에 의존하였으나 앞으로는 하수 슬러지에 포함된 유용한 성분을 활용하는 자원순환형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 같은 관점에서 하수 슬러지의 퇴비화 또는 액비화 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슬러지 호기성 소화 공정에서 유기물 분해 및 질산화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1) 소화 효율은 소화조 수리학적 체류시간(HRT)과 정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HRT 6일에서 가장 높고 안정적인 소화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 NH3-N, SCOD, TKN, TCOD, SS, VSS의 평균 제거효율은 각각 97.4%, 81.7%, 68.7%, 61.4%, 50.6%, 47.0% 이었다. 2) 원료 슬러지의 VSS/SS비는 0.77이었고 알칼리 전처리 후 0.70으로 감소하였으나 호기성 소화공정에서 다시 0.75로 증가하였다. 알칼리 전처리에 의해 VSS 성분이 부분적으로 액상화되는 단계를 거치고 이후 호기성 소화에 의해 잔존 입자가 완전 액상화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3) 알칼리 전처리에서 생성된 SCOD는 호기성 소화에서 최대 80.9~81.7%만 제거되고 소화조 유출 슬러지에 최소 350 mg/L가 잔류하였다. 처리된 슬러지를 액비로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나 최종 처분 방안이 다를 경우 추가적인 효율 향상이 필요하다. 4) HRT 5일 이상의 조건에서 지속적인 질산화 반응이 이루어졌으며 최대 658 mg/L의 질산성 질소가 생성되었다. 처리된 슬러지는 작물에 유해한 암모니아 성분이 거의 없고 작물에 흡수가 용이한 질산이 풍부하여 액비로의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5) 질산화로 인해 pH가 5.5~6.0으로 감소하였으며 pH 변화는 알칼리도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환경부, 하수도 통계, http://info.waternow.go.kr 

  2. 신총식, '유기성오니 처리 종합대책(안)', 특별 기획 Symposium: 해양투기 금지에 따른 유기성오니(하수오니) 종합대책 및 기술동향, 한국폐기물학회, 대전, pp. 1-17(2006) 

  3. Aerts, R. and Berendse, F., 'The effect of increased nutrient availability on vegetation dynamics in wet healthlands', Vegetation, 76, 63-69(1988) 

  4. Bobbink, R. and Berendse, F., 'A comparative study on nutrient cycling in wet healthland ecosystem II. Litter decomposition and nutrient mineralization', Oecologia, 78, 338-348(1989) 

  5. Munson, A. D. and Bernier, P. Y., 'Comparing natural and planted black spruce seedling II. Nutrient uptake and efficiency of use', J. Forest Res., 23, 2435-2442 (1993) 

  6. Smith, S. R., Agricultural Recycling of Sewage Sludge and the Environment. CAB International, (1996) 

  7. Viraraghavan, T. and Ionescu, M., 'Land application of phosphorus~laden sludge: a feasibility analysis', J. Environ. Management, 64(2), 171-177(2002) 

  8. Singh, R. P. and Agrawal, M., 'Potential benefits and risks of land application of sewage sludge', Waste Management, 28(2), 347-358(2008) 

  9. 이영옥, 황진규, 황응주, 슬러지 액비의 비효효과 및 안정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30(3), 314-322(2008) 

  10. Mason, C. A., Hamer, G., Fleischmann, Th., and Lang, C., 'Bioparticulate solubilization and biodegradation in semicontinuous aerobic thermophilic digestion', Water, Air, Soil Pollut., 34(4), 399-407(1987) 

  11. Khalili, N. R., Chaib, E., Parulekar, S. J., and Nykiel, D., 'Performance enhancement of batch aerobic digesters vai addition of digested sludge', J. Hazard. Mater., B76, 91-102(2000) 

  12. Oviedo, M. D. C., Ramirez, J. A. L., Marquez, D. S., Alonso, J. M. Q., 'Evolution of an activated sludge system under starvation conditions', Chem. Eng. J., 94, 139-146(2003) 

  13. Estrada, I. B., Gomez, E., Aller, A., Moran, A., 'Microbial monitoring of the influence of the stabilization degree of sludge when applied to soil', Bioresour. Technol., 97(11), 1308-1315(2006) 

  14. 황응주, '알칼리 전처리에 의한 슬러지 호기성 소화 및 액비 특성 변화', 대한환경공학회지, 30(1), 90-96(2008) 

  15.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Water Environment Federatio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n, (1998) 

  16. Rittmann, B. E. and McCarty, P. L., Environmental Biotechnology, McGraw-Hill Korea(한역판), 579-590(2002) 

  17. Neyen, E., Baeyens, J., and Creemers, C., 'Alkaline thermal sludge hydrolysis', J. Hazard. Mater., B97, 295-314 (2003) 

  18. Anderson, B. C. and Mavinic, D. S., 'Behaviour and control of nutrients in the enhanced aerobic digestion process: pilot scale studies', Environ. Technol., 14, 301-318(1993) 

  19. Bhargava, D. S. and Datar, M. T., 'Ananalysis of nitrification during the aerobic digestion of secondary sludges', Environ. Pollut., 58(1), 57-72(1989) 

  20. Genc, N., Yonsel, S., Dagasan, L., and Onar, A. N., 'Investigation of organic nitrogen and carbon removal in the aerobic digestion of various sludges', Environ. Monitoring Assessment, 80, 97-106(2002) 

  21. Matsuda, A., Ide, T., and Fujii, S., 'Behaviour of nitrogen and phosphrous during batch aerobic digestion of waste activated sludge-continuous aeration and intermittent aeration by control of DO', Water Res., 22(12), 1495-1501(1988) 

  22. California Compost Quality Council, Compost Maturity Index, pp. 9-11(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