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속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한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 농후배양에서의 정성 및 정량적 미생물 군집구조 분석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Sequencing Batch Reactor for Enriching ANAMMOX Consortium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1 no.10, 2009년, pp.919 - 926  

배효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기술연구단) ,  정진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기술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혐기성 암모늄 산화공정을 안정화시키기 전에 많은 양의 식종 미생물 투여가 필요하므로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의 농후배양은 실규모의 혐기성 암모늄 산화 반응기를 운영할 때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슬러지 미생물을 식종한 연속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을 농후배양하고, 미생물 군집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여 농후배양 결과를 검증하였다.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의 농후배양은 70일간 시행되었고, 농후배양 후 활성시험에서 $NH_4\;^+$$NO_2\;^-$의 기질제거효율이 각각 98.5%와 90.7%로 관찰되어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의 배양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통분류학적 분지도 작성 결과, 다양하였던 Planctomycetes 문(phylum)의 미생물 군집구조가 농후배양 이후에 현저하게 단순해졌다는 것이 밝혀졌다. 농후배양 이후 발견된 36개의 clone들 모두가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이었으며, Candidatus Brocadia (36%) 와 Candidatus Anammoxoglobus (64%) 속(genus)에 속하였다. RTQ-PCR (real-time quantitative PCR)을 통해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을 정량한 결과, 혐기성 암모늄 산화 상향류식 연속 배양기에서 1년 이상 선택 배양된 붉은색 혐기성암모늄 산화 입상 슬러지에 비해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의 16S rDNA 농도가 74.8%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70일간 농후배양된 활성슬러지가 혐기성 암모늄 산화 실용화 공정의 접종 미생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richment of anaerobic ammonium oxidation (ANAMMOX) bacteria is the essential step for operating full-scale ANAMMOX bioreactor because adding a significant amount of seeding sludge is required to stabilize the ANAMMOX reactor. In this study, the enrichment of ANAMMOX bacteria from an activated sl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에서 1년 이상 선택 배양된 붉은색 혐기성 암모늄 산화 입상 슬러지를 채취하여 분쇄기로 균질화시키고 농후배양된 슬러지와 함께 정량분석을 시행하였다.(Fig. 5) 농후배양된 슬러지와 표준 슬러지의 휘발성 부유 고형물 농도가 서로 다르므로 측정된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의 16S rDNA 농도를 휘발성 부유 고형물 농도 나눈 표준화된 값을 상호비교하였다. 농후배양된 슬러지는 mg 휘발성 부유 고형물 당 4.
  • 순수정제된 plamid 시료를 Solgent Inc.(Korea)에 송부 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 (NH4)2SO4와 NaNO2로 질소 기질농도를 조절하였고, 기본 배지는 van de Graaf 등17)의 조성을 변용하여 Table 1과 같이 조성하였다. 미량원소 I 용액은 EDTA 5 g/L와 FeSO4.
  • 10~15) 이러한 연구사례들은 혐기성 암모늄 산화 반응의 효율로 농후배양의 성공도를 가늠할 뿐만 아니라, 분자생물학적인 분석법을 이용하여 배양된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의 종류를 판별하거나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이 얼마나 증가하였는지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FISH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와 RTQ-PCR (real-time quantitative PCR)을 이용하여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을 정량한 정보는 농후배양의 성공도를 나타내는 집적적인 지표가 되었다.
  • 이후, X-gal과 ampicillin이 첨가된 한천배지에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도말하여 선택배양하였다. 16S rDNA의 삽입이 확인된 미생물을 ampicillin이 첨가된 LB Broth에서 과량배양 후, QIAprep spin miniprep kit (QIAGEN Inc., USA)를 이용하여 plasmid를 순수정제하였다. 순수정제된 plamid 시료를 Solgent Inc.
  • 배양기의 온도를 35℃로 유지하고 100 rpm15,16)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1주일에 한 번씩 배지를 교체하였고, 슬러지의 유출을 막기 위해 30분간 정치된 상태로 슬러지를 침전 시킨 이후에 0.4 L의 용액을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 0.4 L를 60 mL 주사기를 이용하여 투여하였다. 용존산소의 유입을 막기위해 배지 투여 전에 아르곤 가스로 30분간 폭기하였고, 배지 교체시에 산소가 반응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반응기를 아르곤 가스로 충진하며 작업하였다.
  • 프라이머와 탐침자는 최종 농도가 250 nM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여하고총 부피가 20 μL이 되도록 3차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ABI Prism 7300 sequence detection system (Applied Biosystems Inc., USA)기기를 사용하였으며, 증폭조건은 증폭 효소 활성화(50℃, 2분) pre-heating (95℃, 10분), denaturing (95℃, 15초), annealing과 extension (60℃, 1분)이었고. denaturing, annealing과 extension 과정을 50회 반복하였다.
  • 한 그룹 안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염기서열을 택하여 OTU (Operational Taxonomic Unit)로 사용하였다. OTU의 근유종을 BLAST Network Service에 입력하여 탐색하였고, 근유종의 16S rDNA를 계통분류학적 분지도의 작성에 활용하였다. 실험에서 획득한 미생물과 근유종의 염기서열을 ClustalX 1.
  • , Korea) 10 μL, 10 μM 농도의 프라이머 각 1 μL, 주형 DNA 1 μL, 3차 증류수 7 μL로 조성되었다. PCR 기기는 MyCyclerTM (BIO-RAD Inc., USA)를 사용하였으며, 증폭 조건은 pre-heating (95℃, 2분), denaturing (95℃, 20초), annealing (57℃, 40초), extension (72℃, 40초), final extension (72℃, 5분)이었고, denatureing, annealing, extension 과정을 30회 반복하였다. 증폭산물은 100 V에서 25분간 전기영동하고, QIAquick gel extraction kit (QIAGEN Inc.
  • 25 mL로 조정하였다. Power SoilTM DNA kit (Mo Bio Laboratories Inc., USA)에 미생물 전량을 투입하여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DNA를 추출하고, 두 개의 DNA 샘플을 하나의 1.5 mL tube에 혼합하였다.
  • 국내의 하수처리장의 활성슬러지를 식종하여 혐기성 암모늄 산화 미생물을 농후배양하고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통하여 농후 배양 결과를 평가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농후배양 반응기는 18 cm 높이의 0.5 L 유리병을 고무마개로 막아 혐기성 연속 회분식 반응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었고, 20 cm 길이의 주사기 바늘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배지를 교체하였으며, 10 cm 길이의 주사기 바늘을 이용하여 혐기성 암모늄 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질소를 하루에 한 번씩 제거해 주었다. 배양기의 온도를 35℃로 유지하고 100 rpm15,16)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 농후배양을 종료한 70일 직후 별도의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여 농후배양된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의 기질소모 활성을 연속 적인 시료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암모니아성 질소와 아질산성 질소의 소모 비율과 부산물인 질산성 질소의 생성 비율을 계산하였다.(Fig.
  • 침전시킨 활성슬러지 100 mL를 500 mL 반응기에 식종하였을 때, 반응기내 휘발성 부유 고형물의 농도는 1,038 mg/L이었다. 미생물 군집구조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두 개의 1.5 mL tube에 1 mL씩 미생물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샘플은 3차 증류수로 세척하여 16S rDNA 증폭을 저해할 수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최종 부피를 0.
  • 본 실험에서 획득한 16S rDNA 염기서열의 상대적인 유사성을 MEGA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5% 유사성을 보이는 염기서열을 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한 그룹 안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염기서열을 택하여 OTU (Operational Taxonomic Unit)로 사용하였다.
  • 이와 같이 농후배양 후에는 정성적으로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과 더불어 반드시 분자생물학적인 정량분석을 수행하여 농후배양 정도를 검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을 짧은 시간내에 농후배양하고, 농후배양 결과를 분자생물학적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OTU의 근유종을 BLAST Network Service에 입력하여 탐색하였고, 근유종의 16S rDNA를 계통분류학적 분지도의 작성에 활용하였다. 실험에서 획득한 미생물과 근유종의 염기서열을 ClustalX 1.81을 이용하여 정렬하고, MEGA 3.1로 계통분류학적 분지도를 작성 하였다. 계통분류학적 분지도 작성 시 neighbor-joining method를 알고리즘으로 이용하였으며,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1,000회의 bootstrap을 시행하였다.
  • 2 mg/L로 낮아지는 높은 기질 제거효율을 보였다. 아질산성질소의 저해농도가 100 mg/L이므로 더 이상 기질농도를 증가 시키지 않고, 농후배양된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의 활성을 테스트하고 반응기내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 2에 나타내었다. 아질산은 혐기성 암모늄 산화 미생물에 저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반응 초기에 유입 아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15 mg/L 이하로 유지해 주었고, 암모니아성 질소는 아질산성 질소와 동일한 양을 투여하였다. 암모니아성 질소와 아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각각 20 mg/L로 상승시킨 농후배양 37일 이후 현저한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의 활성을 보였고, 농후배양 70일 까지 활성이 유지되었다.
  •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는 kjeldahl nitrogen analysis (Kjeltec 1035, Sweden)로 측정하였고,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 성질소 분석을 위해 ion chromatography (Dionex 120, USA)를 사용하였다. 휘발성 부유 고형물은 Standard Methods19)에 기술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 정제된 16S rDNA는 T&A cloning vector (Real Bioteh Corp., Taiwan)를 사용하여 ligation하고, HITTM competent cells (Real Biotech Corp, Taiwan)를 사용하여 형질전환을 시행하였다.
  • , USA)를 사용하였으며, 증폭 조건은 pre-heating (95℃, 2분), denaturing (95℃, 20초), annealing (57℃, 40초), extension (72℃, 40초), final extension (72℃, 5분)이었고, denatureing, annealing, extension 과정을 30회 반복하였다. 증폭산물은 100 V에서 25분간 전기영동하고, QIAquick gel extraction kit (QIAGEN Inc., USA)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 5 mL tube에 1 mL씩 미생물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샘플은 3차 증류수로 세척하여 16S rDNA 증폭을 저해할 수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최종 부피를 0.25 mL로 조정하였다. Power SoilTM DNA kit (Mo Bio Laboratories Inc.
  • 1b)을보였다. 표준 시료의 증폭에서 DNA시료를 넣지 않은 NonTemplate Control (NTC)은 증폭을 보이지 않았고, 모든 RTQ-PCR 실험에서 NTC를 사용하여 시료의 오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 프라이머와 탐침자는 최종 농도가 250 nM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여하고총 부피가 20 μL이 되도록 3차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 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5% 유사성을 보이는 염기서열을 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한 그룹 안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염기서열을 택하여 OTU (Operational Taxonomic Unit)로 사용하였다. OTU의 근유종을 BLAST Network Service에 입력하여 탐색하였고, 근유종의 16S rDNA를 계통분류학적 분지도의 작성에 활용하였다.
  •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 증식량의 적절한 비교를 위하여 혐기성 암모늄 산화 상향류식 연속 배양기22)에서 1년 이상 선택 배양된 붉은색 혐기성 암모늄 산화 입상 슬러지를 채취하여 분쇄기로 균질화시키고 농후배양된 슬러지와 함께 정량분석을 시행하였다.(Fig.
  •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이 농후배양된 슬러지의 휘발성 부유고형물의 농도는 680 mg/L이었고, 3일간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 초기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는 92.

대상 데이터

  • 미량원소 I 용액은 EDTA 5 g/L와 FeSO4. 7H2O 5 g/L로 제조되었고, 미량원소 II 용액은 ZnSO4. 7H2O 0.
  • RTQ-PCR을 이용하여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을 정량하기 위하여 프라이머로 Pla46F (5'-GGATTAGGCATGCAAGTC-'3) 와 667R (5'-ACCAGAAGTTCCACTCTC-'3)을 사용하였고, TaqMan 탐침자로 381F (5'-AAGGGTGACGAAGCGACGCC -'3)를 사용하였다.
  • 국내 A 하수처리장의 활성슬러지를 식종슬러지로 사용하였다. 활성슬러지가 채취된 반응기내 pH는 6.
  • 혐기성 암모늄 산화 미생물이 속해있는 Planctomycetes 문의 16S rDNA를 PCR로 증폭하기 위하여 Pla46F (5'- GGATTAGGCATGCAAGTC-3')와 1392R (5'-ACGGGCG GTGTGTAC-3')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1로 계통분류학적 분지도를 작성 하였다. 계통분류학적 분지도 작성 시 neighbor-joining method를 알고리즘으로 이용하였으며,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1,000회의 bootstrap을 시행하였다.
  •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는 kjeldahl nitrogen analysis (Kjeltec 1035, Sweden)로 측정하였고,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 성질소 분석을 위해 ion chromatography (Dionex 120, USA)를 사용하였다. 휘발성 부유 고형물은 Standard Methods19)에 기술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 중 현재까지 확인된 미생물은? 혐기성 암모늄 산화(ANaerobic AMMonium OXidation, ANAMMOX)균은 혐기성 및 독립영양 조건에서 식 (1)과 같이 #와 #를 동시에 소모하여 N2 가스와 #를 생산한다.1)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은 분류학적으로 Planctomycetes 문(phylum)에 속해 있고, 현재까지 확인된 미생물은 Candidatus Brocadia2,3), Candidatus Kuenenia4), Candidatus Scalindua5), 그리고 Candidatus Anammoxoglobus6) 속(genus)이 있다.
분류학적으로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은 어디에 속해있나? 혐기성 암모늄 산화(ANaerobic AMMonium OXidation, ANAMMOX)균은 혐기성 및 독립영양 조건에서 식 (1)과 같이 #와 #를 동시에 소모하여 N2 가스와 #를 생산한다.1) 혐기성 암모늄 산화균은 분류학적으로 Planctomycetes 문(phylum)에 속해 있고, 현재까지 확인된 미생물은 Candidatus Brocadia2,3), Candidatus Kuenenia4), Candidatus Scalindua5), 그리고 Candidatus Anammoxoglobus6) 속(genus)이 있다.
최근 혐기성 암모늄 산화 균을 이용한 질소처리 공정의 개발이 가속화되는 이유는? 혐기성 암모늄 산화 반응을 이용하면 완전 혐기성 상태에서 질소처리가 가능하므로 폭기비용이 줄어들고 독립영양조건에서 탈질이 가능하여 외부탄소원을 공급해주지 않아도 되므로 전통적인 질소처리공정에 비해 운영비용이 50%까지 절감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최근 혐기성 암모늄 산화 균을 이용한 질소처리 공정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trous, M., Heijnen, J. J., Kuenen, J. G., and Jetten, M. S. M., 'The sequencing batch reactor as a powerful tool for the study of slowly growing anaerobic ammonium-oxidizing microorganisms,' Appl. Microbiol. Biotechnol., 50(5), 589-596 (1998) 

  2. Kuenen, J. G., and Jetten, M. S. M., 'Extraordinary anaerobic ammonium-oxidizing bacteria,' ASM News, 67(9), 456-463(2001) 

  3. Kartal, B., van Niftrik, L., Rattray, J., van de Vossenberg, J. L., Schmid, M. C., Sinninghe Damst , J., Jetten, M. S., and Strous, M., 'Candidatus‘Brocadia fulgida’: an autofluorescent anaerobic ammonium oxidizing bacterium,' FEMS Microbiol. Ecol., 63(1), 46-55(2008) 

  4. Schmid, M., Twachtmann, U., Klein, M., Strous, M., Juretschko, S., Jetten, M., Metzger, J. W., Schleifer, K. H., and Wagner, M., 'Molecular evidence for genus level diversity of bacteria capable of catalyzing anaerobic ammonium oxidation,' Syst. Appl. Microbiol., 23(1), 93-106(2000) 

  5. Kuypers, M. M., Sliekers, A. O., Lavik, G., Schmid, M., Jrgensen, B. B., Kuenen, J. G., Sinninghe Damst , J. S., Strous, M., and Jetten, M. S., 'Anaerobic ammonium oxidation by anammox bacteria in the Black Sea,' Nature, 422(6932), 608-611(2003) 

  6. Kartal, B., Rattray, J., van Niftrik, L. A., van de Vossenberg, J., Schmid, M. C., Webb, R. I., Schouten, S., Fuerst, J. A., Damst J. S., Jetten, M. S., and Strous, M., 'Candidatus 'Anammoxoglobus propionicus' a new propionate oxidizing species of anaerobic ammonium oxidizing bacteria,' Syst. Appl. Microbiol., 30(1), 39-49(2007) 

  7. van Dongen, U., Jetten, M. S., and van Loosdrecht, M. C., 'The SHARON-Anammox process for treatment of ammonium rich wastewater,' Water Sci. Technol., 44(1), 153-160(2001) 

  8. Sliekers, A. O., Derwort, N., Gomez, J. L., Strous, M., Kuenen, J. G., and Jetten, M. S., 'Completely autotrophic nitrogen removal over nitrite in one single reactor,' Water Res., 36(10), 2475-2482(2002) 

  9. van der Star, W. R., Abma, W. R., Blommers, D., Mulder, J. W., Tokutomi, T., Strous, M., Picioreanu, C., and van Loosdrecht, M. C., 'Startup of reactors for anoxic ammonium oxidation: experiences from the first full-scale anammox reactor in Rotterdam,' Water Res., 41(18), 4149-4163(2007) 

  10. Toh, S. K., Webb, R. I., and Ashbolt, N. J., 'Enrichment of autotrophic anaerobic ammonium-oxidizing consortia from various wastewaters,' Microb. Ecol., 43(1), 154-167(2002) 

  11. Chamchoi, N., and Nitisoravut, S., 'Anammox enrichment from different conventional sludges,' Chemosphere, 66(11), 2225-2232(2007) 

  12. Tsushima, I., Kindaichi, T., and Okabe, S., 'Quantification of anaerobic ammonium-oxidizing bacteria in enrichment cultures by real-time PCR,' Water Res., 41(4), 785-794(2007) 

  13. Tsushima, I., Ogasawara, Y., Kindaichi, T., Satoh, H., and Okabe, S., 'Development of high-rate anaerobic ammonium-oxidizing (anammox) biofilm reactors,' Water Res., 41(8), 1623-1634(2007) 

  14. S $\grave{a}$ nchez-Melsi $\acute{o}$ , A., C $\acute{a}$ liz, J., Balaguer, M. D., Colprim, J., and Vila, X., 'Development of batch-culture enrichment coupled to molecular detection for screening of natural and man-made environments in search of anammox bacteria for N-removal bioreactors systems,' Chemosphere, 75(2), 169-179(2009) 

  15. Wang, T., Zhang, H., Yang, F., Liu, S., Fu, Z., and Chen, H., 'Start-up of the Anammox process from the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in a membrane bioreactor,' Bioresour. Technol., 100(9), 2501-2506(2009) 

  16. L $\acute{o}$ pez, H., Puig, S., Ganigu $\acute{e}$ , R., Ruscalleda, M., Balaguer, M. D., and Colprim J., 'Start-up and enrichment of a granular anammox SBR to treat high nitrogen load wastewaters,' J. Chem. Technol. Biotechnol., 83(3), 233-241(2008) 

  17. van de Graaf, A. A., de Bruijn, P., Robertson, L. A., Jetten M. S. M., and Kuenen J. G., 'Autotrophic growth of anaerobic ammonium-oxidizing micro-organisms in a fluidized bed reactor,' Microbiology, 142(8), 2187-2196(1996) 

  18. Strous, M., Kuenen, J. G., and Jetten M. S., 'Key physiology of anaerobic ammonium oxid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5(7), 3248-3250(1999) 

  19. APHA, AWWA, WEF,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 Washington D. C., pp. 2-59 

  20. Neef, A., Amann, R., Schlesner, H., and Schleifer, K. H., 'Monitoring a widespread bacterial group: in situ detection of planctomycetes with 16S rRNA-targeted probes,' Microbiology., 144(12), 3257-3266(1998) 

  21. Ferris, M. J., Muyzer, G., and Ward, D. M.,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rofiles of 16S rRNA-defined populations inhabiting a hot spring microbial mat community,' Appl. Environ. Microbiol., 62(2), 340-346(1996) 

  22. 배효관, 박경순, 정윤철, 정진영, '혐기성 암모늄 산화 반응기 내 붉은색 입상슬러지의 미생물 군집구조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8(10), 1055-1064(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