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입유량과 연계한 여과지 가동지수 변동 운영이 여과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iltrate Quality by Variation of Operating Filter Number Based on Inflow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1 no.9, 2009년, pp.817 - 824  

김진근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관리처.한국수자원공사 정읍수도서비스센터) ,  이정택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관리처.한국수자원공사 정읍수도서비스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과공정에서 수리적 충격부하로 인한 탁질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지 유입량 변화에 대응하여 여과지 운영지수를 변화시키면서 여과수의 탁도 및 입자수를 고찰하였다. S 정수장은 여과지 유입량 최대/최소의 비가 2.2였으며, 이에 따라 여과속도도 변동하였다. S 정수장에서는 여과속도 변동 최소화를 위하여 여과유입수량 변동에 따라 여과지수를 변동시켰다. 여과지 유입유량 변화에 따라 가동, 휴지, 재가동을 반복하였을 경우 탁질누출은 심하지 않았다. 여과가동 누계시간이 10 h 이전이나 50 h 이후에 재가동시는 탁질누출현상이 일부 발견되었다. 이런 현상은 여재의 숙성이 충분하지 않거나 입자물질의 부착량 과다에 기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지를 재가동할 때는 누계여과지속시간이 10 h 이상, 50 h 미만인 여과지를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과지 유입유량 변동에 따른 여과지수 변동은 UFRV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event turbidity breakthrough in a depth filter caused by hydraulic shock loads, influence of turbidity and particle number in filtrate by variation of operating filter number depending on inflow change was investigated. Inflow quantity at the S water treatment plant (WTP) was varied and ratio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 정수장에서는 G 정수장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여과지 유입유량 변동에 따른 탁도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지 유입유량과 연계하여 여과지 가동지수를 변동함으로써 여과속도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S 정수장의 경우 시설용량은 3,750 m3/h (90,000 m3/day)이나, Fig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대 별로 유입유량의 변화폭이 크고 최대/최소유입량의 비는 2.
  • 본 연구에서는 여과지 가동지수를 여과속도 증감과 연계해 운영하고 여과지 가동지수 변동이 여과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실제 정수장에서 수리적 충격부하 발생시 입자물질 파과 최소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입물량에 따른 여과지수 변동운영이 단위여과면적당여과량(UFRV, unit filter run volume)에 미치는 영향도 고찰하였다.
  • 정수장 운영과정 중에 취수펌프 유량제어 등의 설비개선을 통하지 않고 여과속도의 급변을 방지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여과지 운영지수를 취수물량과 연계하여 가변적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과지 가동지수를 여과속도 증감과 연계해 운영하고 여과지 가동지수 변동이 여과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실제 정수장에서 수리적 충격부하 발생시 입자물질 파과 최소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입물량에 따른 여과지수 변동운영이 단위여과면적당여과량(UFRV, unit filter run volume)에 미치는 영향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속여과공정은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처리로 무엇이 반드시 필요한가? 일반적인 정수처리공정에서 여과지 유입수내 존재하는 입자물질의 크기는 여재공극보다 매우 작아 여과지 유입 입자물질의 제거 메커니즘은 체거름보다는 입자물질과 여재표면 또는 입자물질과 여재에 이미 부착된 입자물질 표면과의 부착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다.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급속여과공정은 특성상 전처리로 약품주입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전처리를 통한 입자물질의 불안정화 정도에 따라 입자물질 제거율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7,8)
정수처리공정에서 여과지 유입 입자물질의 제거 메커니즘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일반적인 정수처리공정에서 여과지 유입수내 존재하는 입자물질의 크기는 여재공극보다 매우 작아 여과지 유입 입자물질의 제거 메커니즘은 체거름보다는 입자물질과 여재표면 또는 입자물질과 여재에 이미 부착된 입자물질 표면과의 부착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다.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급속여과공정은 특성상 전처리로 약품주입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전처리를 통한 입자물질의 불안정화 정도에 따라 입자물질 제거율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실공정 여과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여과지 유입물량은 시간별로 많은 변동이 있었으며, 유입물량의 변동은 여과속도 변동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입자물질의 파과를 초래하는데, 이러한 현상의 개선방안으로 S 정수장에서 여과지 유입물량 변동에 따라 여과지 가동지수를 연계운영한 결과는? 1. 역세척 직후에는 여재 미숙성으로 입자물질의 부착이 잘 이루어지 않아 입자물질의 파과가 발생했으며 안정화까지 약 3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일정기간 운영한 여과지를 운휴 후 재가동하였을 경우는 여재가 이미 숙성되어 초기 입자물질의 파과는 심하지 않았으며, 여과개시 약 20분 후에 안정화 되었다. 2. 일정기간 운영한 여과지를 운휴 후 재가동할 경우에는 누계여과지속시간이 길수록 입자물질의 파과정도가 심했으며, 이는 부착량이 증가할수록 수류에 의한 전단력이 상승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3. 일정시간 여과지 가동 후, 운휴, 재가동하였을 경우 여과지속시간이 지나치게 짧거나 길 경우 입자물질의 파과가능성이 높았다. 지나치게 짧을 경우는 여재 숙성이 미흡하고 길 경우에는 수류에 의한 전단력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S 정수장의 경우 누계여과지속시간이 10시간~50시간인 경우에 여과지 운휴, 재가동이 권장된다. 4. 여과속도를 설계속도에 근접한 값으로 유지함으로써 UFRV가 7~23%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유입량 변동과 연계한 여과지수 운영이 여과지 운휴 후입자물질의 파과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UFRV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cTigue, N. E., LeChevallier, M., Arora, H., and Clancy, J. (1998) National Assessment of Particle Removal by Filtration. AWWARF and AWWA, Denver 

  2. LeChevallier, M. W., and Norton, W. D.,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en Particle Counts, Giardia, Cryptosporidium, and Turbidity. J. AWWA, 84(12), 54-60.(1992) 

  3. Smith, J. E., and Perdek, J. M.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watershed microbial contaminants.” Crit. Rev. Environ. Sci. and Tech., 34, pp. 109-139.(2004) 

  4. Tufenki, N., Dixon, D. R., Considine, R., and Drummond, C. J., Multi-scale Cryptosporidium/sand interactions in water treatment, Wat. Res., 40, 3315-3331.(2006) 

  5. Emelko, M. B., Huck, P. M., and Coffey, B. M., “A review of Cryptosporidium removal by granular media filtration.”, J. AWWA, 97(12), 101-115.(2005) 

  6. 환경부 (2008) 정수처리기준 등에 관한 규정(환경부고시 제 2008-60호) 

  7. Amirtharajah, A., “Some Theoretical and Conceptual Views of Filtration.”, J. AWWA, 80(12), 36-46.(1988) 

  8. Kim, J., Nason, J. A., and Lawler, D. F., “Influence of Surface Charge Distributions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n Particle Attachment in Granular Media Filtration.”, Environ. Sci. Technol., 42(7), pp. 2557-2562.(2009) 

  9. Ahmad, R. Amirtharajah, A., Detachment of Particles During Biofilter Backwashing. J. AWWA, 90(12), 74-85.(1998) 

  10. Bergendahl, J., and Grasso, D., Prediction of Colloid Detachment in a Model Porous Media: Thermodynamics. AIChE Journal, 45(3), 475-484.(1999) 

  11. Bergendahl, J., and Grasso, D., “Prediction of colloid detachment in a model porous media: hydrodynamics.”, Chem. Eng. Sci., 55, 1523-1532.(2000) 

  12. Adin, A., and Rebhun, M.,“ Deep-Ded Filtration: Accumulation-Detachment Model Parameters.”, Chem. Eng. Sci., 42(5), 1213-1219.(1987) 

  13. Sharma, M. M., Chamoun, H., Sarma, D. S., and Schechter, R. S., “Factors Controlling the Hydrodynamic Detachment of Particles from Surfaces.”, J. Colloid Interface Sci., 149(1), 121-134.(1992) 

  14. Ryan, J. N., and Gschwend, P. M., “Effects of Ionic Strength and Flow Rate on Colloid Release: Relating Kinetics to Intersurface Potential Energy.”, J. Colloid Interface Sci., 164(1), 21-34.(1994) 

  15. Bai, R., and Tien, C., “Particle Detachment in Deep Bed Filtration.”, J. Colloid Interface Sci., 186(2), 307-317.(1997) 

  16. Kim, J., and Lawler, D. F., “Particle detachment during hydraulic shock loads in granular media filtration.”, Wat. Sci. and Tech1910., 53(7), pp. 177-184.(2006) 

  17. Amburgey, J. E., “Optimization of the extended terminal subfluidization wash (ETSW) filter backwashing procedure.”, Water Res., 39(2-3), 314-330.(2005) 

  18. AWWARF, Filter Maintenance and Operations Guidance Manual. AWWARF and AWWA, Denver.(2002) 

  19. Kawamura, S., Integrated Design and Operation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2002) 

  20. McDowell-Boyer, L. M., “Chemical Mobilization of Micron-Sized Particles in Saturated Porous Media under Steady Flow Conditions.”, Environ. Sci. Tech., 26(3), 586-593.(1992) 

  21. Han, J., Fitzpatrick, C. S., and Wetherill, A., “The impact of flow surges on rapid gravity filtration.”, Wat. Res., 43, 1171-1178.(200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