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한국 가임기 여성의 다낭난소증후군 진단시에 복식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의 유용성과 정확도를 분석하여 국내 다낭난소증후군의 진단 기준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에서 선별설문조사를 받은 15~44세 여성 8,793명에서 복식 초음파를 시행한 총 701명 중, 정상 월경을 하면서 안드로겐 과다 및 초음파의 다낭난소 소견이 없는 정상 대조군에서 복식 초음파를 시행한 185명과 초음파 검사 소견을 제외하고 NIH 진단 기준으로 다낭난소증후군을 진단 받은 248명의 환자에서 복식 초음파를 시행한 소견을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 분석하였다. 결 과: 정상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23.64{\pm}4.26$세로 복식 초음파로 측정된 평균 난소 부피는 $6.03{\pm}1.89\;cm^3$, 평균 난포 개수는 $6.49{\pm}1.93$개였다. 복식 초음파를 진단에 사용할 경우 난소 부피를 이용하면 AURC (area under the ROC curve)가 0.761로 난소 부피>$9\;cm^3$ 기준일 때, 민감도 51.0%, 특이도 91.4%였다. 난포 개수에 대한 AURC는 0.733으로 ${\geq}9$개 기준일 때, 민감도 54.9%, 특이도 87.0%였으며, 난포 개수 ${\geq}10$개 기준일 때, 민감도 53.2%, 특이도 90.4%였다. 복식 초음파로 난소 부피와 난포 개수를 검사하여 다낭난소증후군의 선별 진단에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결 론: 복식 초음파를 이용하여 다낭난소증후군을 진단하는 방법은 유용성과 정확도에서 신뢰할만하지 못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ransabdominal ultrasound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in order to evaluate the usefulness in establishing the diagnosi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Methods: Questionnaire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다낭난소증후군 진단시 초음파 검사 기준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과 정확도가 매우 중요하므로, 본 연구는 한국 가임기 여성에서 다낭난소증후군을 진단할 때, 복식 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의 유용성과 정확도에 대하여 분석하여 국내 다낭난소증후군의 진단 기준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낭난소증후군의 조기 진단에 중요한 미혼의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고, 질식 초음파를 시행할 수 없고 직장 초음파를 원하지 않았던 이들에게서 복식 초음파를 시행하였을 때, 다낭난소증후군의 진단에 적절한 기준을 알고자 하였다. 하지만 복식 초음파 소견은 난포 개수와 난소 부피를 측정한 기준들에서 진단적 검사로써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인 ROC 곡선 분석30을 통하여 AURC,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하였을 때, 다낭난소증후군의 선별 진단에 적합하지 못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낭난소증후군은 무엇에 의해 나타나는가? 다낭난소증후군은 1935년 미국에서 Stein과 Leventhal에 의해 처음 설명된 질환으로1 현재 여성에서 가장 흔한 내분비 질환 중 하나이며,2 배란 장애로 인한 불임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3 다낭난소증후군은 주로 안드로겐 과다와 배란 이상으로 나타나며 유전적 요인이 있는 복잡한 질환이다.4 다낭난소증후군의 50~70% 환자에서 인슐린 저항성과 고인슐린혈증이 나타나므로,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성이 높고5 지질이상, 고 혈압, 뇌혈관 질환,6 심혈관 질환과7 관련된다.
ESHRE에 따른 다낭난소증후군의 진단 기준은 무엇인가? 다낭난소증후군의 진단 기준 중 초음파는 최대 난포 개수와 난소의 부피를 사용하고 연구자마다 기준치가 다른데, ESHRE 진단 기준에서는 한 쪽 난소에 2~9 mm의 난포가 12개 이상 있거나 난소 부피가 10 cm3를 넘는 경우에 다낭난소 소견을 보인다고 정의하였다.9,10
다낭난소증후군과 연관되어 위험성이 증가하는 대사성 질환은 무엇인가? 다낭난소증후군과 연관되어 위험이 증가하는 대사성 질환이 증가한다. 다낭난소증후군 환자의 50~70%가 인슐린 저항성과 고인슐린혈증을 가지고 있으며,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이 4~6배 가량 높고, 이상 지혈증, 고혈압,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의 발생이 증가하며 산과적 합병증으로 임신당뇨병, 자간전증의 위험이 증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ein IF, Leventhal NL. Amenorrhea associated with bilateral polycystic ovaries. Am J Obstet Gynecol 1935; 29: 181-91 

  2. Azziz R, Woods KS, Reyna R, Key TJ, Knochenhauer ES, Yildiz BO. The prevalence and features of the polycystic ovary syndrome in an unselected population.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89: 2745-9 

  3. Hull MG. Ovulation failure and induction. Clin Obstet Gynaecol 1981; 8: 753-85 

  4. Legro RS. The genetics of obesity. Lessons for polycystic ovary syndrome. Ann NY Acad Sci 2000; 900: 193-202 

  5. Ovalle F, Azziz R. Insulin resistance,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Fertil Steril 2002; 77: 1095-105 

  6. Wild S, Pierpoint T, McKeigue P, Jacobs H.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t longterm follow-up: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Clin Endocrinol (Oxf) 2000; 52: 595-600 

  7. Legro RS.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premature association? Endocr Rev 2003; 24: 302-12 

  8. Bjercke S, Dale PO, Tanbo T, Storeng R, Ertzeid G, Abyholm T. Impact of insulin resistance on pregnancy complications and outcome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Gynecol Obstet Invest 2002; 54: 94-8 

  9. Rotterdam ESHRE/ASRM-Sponsored PCOS consensus workshop group. Revised 2003 consensus on diagnostic criteria and long-term health risks related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Hum Reprod 2004; 19: 41-7 

  10. Rotterdam ESHRE/ASRM-Sponsored PCOS Consensus Workshop Group. Revised 2003 consensus on diagnostic criteria and long-term health risks related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Fertil Steril 2004; 81: 19-25 

  11. 변은경, 김효정, 오지영, 홍영선, 성연아. 서울지역 여자 대학생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유병율. 대한내분비학회지 2005; 20: 120-6 

  12. Swanson M, Sauerbrei EE, Cooperberg PL. Medical implications of ultrasonically detected polycystic ovaries. J Clin Ultrasound 1981; 9: 219-22 

  13. Campbell S, Goessens L, Goswamy R, Whitehead M. Realtime ultrasonography for determination of ovarian morphology and volume. Lancet 1982; 1: 425-8 

  14. Orsini LF, Rizzo N, Calderoni P, Pilu G, Bovicelli L. Ultrasound monitoring of ovarian follicular development: a comparison of real-time and static scanning techniques. J Clin Ultrasound 1983; 11: 207-11 

  15. Adams J, Franks S, Polson DW, Mason HD, Abdulwahid N, Tucker M, et al. Multifollicular ovaries: clinical and endocrine features and response to pulsatile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Lancet 1985; 2: 1375-9 

  16. Pache TD, Wladimiroff JW, Hop WC, Fauser BC. How to discriminate between normal and polycystic ovaries: transvaginal ultrasound study. Radiology 1992; 183: 421-3 

  17. Van Santbrink EJ, Hop WC, Fauser BC. Classifcation of normogonadotropic infertility: polycystic ovaries diagnosed by ultrasound versus endocrine characteristic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Fertil Steril 1997; 67: 452-8 

  18. Jonard S, Robert Y, Dewailly D. Revisiting the ovarian volume as a diagnostic criterion for polycystic ovaries. Hum Reprod. 2005; 20: 2893-8 

  19. Amer SA, Li TC, Bygrave C, Sprigg A, Saravelos H, Cooke ID. An evaluation of the inter-observer and intra-observer variability of the ultrasound diagnosis of polycystic ovaries. Hum Reprod 2002; 17: 1616-22 

  20. Wild RA, Vesely S, Beebe L, Whitsett T, Owen W. Ferriman Gallwey self-scoring I: performance assessment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J Clin Endocrinol Metab 2005; 90: 4112-4 

  21. Balen AH, Laven JS, Tan SL, Dewailly D. Ultrasound assessment of the polycystic ovary: international consensus definitions. Hum Reprod Update 2003; 9: 505-14 

  22. Farquhar CM, Birdsall M, Manning P, Mitchell JM, France JT. The prevalence of polycystic ovaries on ultrasound scanning in a population of randomly selected women. Aust NZJ Obstet Gynaecol 1994; 34: 67-72 

  23. Ardaens Y, Robert Y, Lemaitre L, Fossati P, Dewailly D. Polycystic ovarian disease: contribution of vaginal endosonography and reassessment of ultrasonic diagnosis. Fertil Steril 1991; 55: 1062-8 

  24. Fox R, Corrigan E, Thomas PA, Hull MG. The diagnosis of polycystic ovaries in women with oligo-amenorrhoea: predictive power of endocrine tests. Clin Endocrinol (Oxf) 1991; 34:127-31 

  25. Pavlik EJ, De Priest PD, Gallion HH, Ueland FR, Reedy MB, Kryscio RJ, et al. Ovarian volume related to age. Gynecol Oncol 2000; 77: 410-2 

  26. Duijkers IJ, Klipping C. Polycystic ovaries, as defined by the 2003 Rotterdam consensus criteria, are found to be very common in young healthy women. Gynecol Endocrinol 2009; 15: 1-9 

  27. Porter MB. Polycystic ovary syndrome: the controversy of diagnosis by ultrasound. Semin Reprod Med 2008; 26: 241-51 

  28. Kauffman RP, Baker TE, Baker VM, DiMarino P, Castracane VD. Endocrine and metabolic differences among phenotypic expression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according to the 2003 Rotterdam consensus criteria. Am J Obstet Gynecol 2008 ; 198: 670.e1-7 

  29. Nardo LG, Gelbaya TA. Evidence-based approach for the use of ultrasound in the manage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Minerva Ginecol 2008; 60: 83-9 

  30. Escobar-Morreale HF, Asuncion M, Calvo RM, Sancho J, San Millan JL.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basal serum hormone profiles for the diagnosi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in epidemiological studies. Eur J Endocrinol 2001; 145: 619-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