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점차 종합과학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동굴학의 특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동굴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262편의 논문 중 1970년대 이전에 행해진 연구는 24편으로 9.2%의 비중을 차지하며, 1980년대가 43편으로 16.4%, 1990년대가 158편으로 60.3%, 2000년대에 발표된 연구가 37편으로 14.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연대별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전에는 지형학(지질학) 분야가 11편 (45.8%), 1980년대에는 동굴학이 12편(27.9%), 1990년대에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듯 지형학과 환경학이 각각 41편(25.9%)과 36편22.8%)으로 특정 분야에 집중되고 있지만, 2000년대에는 동굴학(9편, 24.3%)과 측량학(1편, 2.7%)를 제외하면 모든 분야에서 고르게 연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1970년대 주제 중에서 지역학과 관광학 분야가 전혀 연구되지 않았으며 지형학(지질학) 분야에 집중하여 연구되었다. 1980년대에는 동굴학과 지형학(지질학) 두 분야의 연구가 50%를 넘고 있으며, 1990년대에는 지형학뿐만 아니라 환경학, 관광학(교통학), 동굴학, 개발(안전) 등의 분야가 1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여 연구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동굴학과 측량학을 제외하면 전 분야에서 고르게 연구가 진행되고 연구 분야의 확산이 정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leology has been recognized as a comprehensive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the cave in korea.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was used for analysis. In the 1970s, research was focused primarily in the field of geomorphology(geology). But, since the 2000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차 종합과학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동굴학의 특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동굴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대 구분을 1970년대 이전,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로 하고, 동굴 관련 학문 분야를 지형학(지질학 포함), 환경학, 지구과학(수문학·기후학·화학), 생물학 등과 네 분야에 포함시키지 못하는 자연 분야는 동굴학, 인문 분야는 지역학(인문 현상)과 관광 학(교통학) 및 개발(안전), 측량학(탐사)로 구분 하여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굴은 생성 원인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이런 동굴은 그 성인에 따라 화산작용에 의해 형성된 ‘화산동굴(또는 용암동굴)’과 석회석과 지하수의 용해로 형성된 ‘석회동굴’, 파도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해식동굴’, 그리고 철도나 도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공동굴’들로 구분할 수 있다.
동굴은 어떤 특성을 갖추고 있는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런 동굴들은 단순히 지하경관이 갖는 ‘예술성’ 뿐만 아니라 원시종교와 초자연적인 신비성을 갖춘 ‘종교성’, 레저 스포츠로서 당당하게 자리를 갖춘 동굴 탐험 및 핵폐기물 처리장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유용성’, 지구과학 및 동굴학의 현장학습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학문성’ 등을 고루 갖추고 있다.
키를레는 1953년에 출판한 본인의 저서에서 동굴학을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① 이론적 동굴학(과학적 동굴학 : 동굴생성학, 문화사적 동굴학) ② 응용적 동굴학(동굴 연구 : 연구조사 기술, 동굴 보전) ③ 동굴경제학(동굴 개발 이용)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강승삼, 1997, '카르스트 지형과 석회동굴 소고,' '동굴', 제51호 

  2. 권동희, 1997, '석회동굴의 형성과정 연구,' '동굴', 제52호 

  3. 김건철, 1999, '동굴 운행에서의 나침반 사용과 방향,' '동굴', 제59호 

  4. 김건철.김천년, 1999, '수직동굴 탐사Ⅰ,' '동굴', 제59호 

  5. 김경훈, 1997, '제주도 만장굴의 환경보전과 수질분석,' '동굴', 제51호 

  6. 김병우, 1997, '제주도의 생태적 특성과 분포,' '동굴', 제51호 

  7. 김병우.박상영, 2005, '신단양 고수동굴의 환경과 서식생물에 관한 연구,' '동굴', 제67호 

  8. 김병우.오영주, 2000, '자병산 일대의 호석회 및 혐석회식물의 분류,' '동굴', 제60호 

  9. 김병우.오영주.김수미, 1998, '단양 석회암지역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동굴', 제56호 

  10. 김병우.이승호.박무범, 1998, '월둔동굴지역의 지표 생태환경연구,' '동굴', 제54호. 

  11. 김성길, 1997, '주변의 인문.관광환경에 따른 개방동굴의 관광적 가치,' '동굴', 제49호 

  12. 김원진, 1998a, '삼척 월둔굴의 지형지물 분석,' '동굴', 제53호 

  13. 김원진, 1998b, '성류굴의 지형구조와 2차 생성물 연구,' '동굴', 제55호 

  14. 김원진, 1998c, '환선굴의 지리적 특성,' '동굴', 제56호 

  15. 김원진, 2006, '관광동굴이 포함된 철도관광상품의 시공간적 특성,' '동굴', 제75호 

  16. 김정희, 2005, '요녕성 본계지역 자연동굴 탐사기,' '동굴', 제67호 

  17. 김주환, 2004, '우로굴 주변의 지질과 지형 경관,' '동굴', 제62호 

  18. 김주환, 2005, '점말동굴 지역의 지형과 지질,' '동굴', 제67호 

  19. 김추윤, 2000, '온달 동굴수에 관한 연구,' '동굴', 제60호 

  20. 김추윤, 2004, '우로굴의 동굴 환경,' '동굴', 제62호 

  21. 김추윤, 2005, '심복굴의 동굴환경,' '동굴', 제67호 

  22. 김추윤, 2006, '송학박쥐굴의 수문 환경,' '동굴', 제70호 

  23. 김희남.김동욱, 2006, '폐광물을 이용한 자기연마재 개발,' '동굴', 제70호 

  24. 변대준, 1997, '공개동굴의 문제점과 환경보전 진단의 필요성,' '동굴', 제52호 

  25. 변대준, 1998, '우리나라 동굴의 형성 원인에 대한 연구,' '동굴', 제54호 

  26. 변대준, 1999, '강원도 월둔굴 지역의 개발 환경,' '동굴', 제58호 

  27. 변태근.신대봉, 2005, '동굴탐사와 안전관리,' '동굴', 제67호 

  28. 소대화, 2005, '제주도 화산동굴의 용암석회질화,' '동굴', 제67호 

  29. 소대화, 2006, '동굴내부중력장의 역성장 고드름 생성기구,' '동굴', 제70호 

  30. 소대화.변길호.한상엽, 2004, '동굴 관리를 위한 친환경 쏠라-셀 전원장치와 면광원 전자발광테이프 동굴 조명,' '동굴', 제64호 

  31. 오종우.오승훈.김원지.오승우.변태근, 2006, '우로굴 생성물 미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굴', 제70호 

  32. 오종우.오승훈.신대봉, 2006, '양단굴 생성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굴', 제75호 

  33. 원병관, 1997a, '천곡동굴의 관광자원과 생태계 보존,' '동굴', 제52호 

  34. 원병관, 1997b, '동굴의 환경보존과 관광자원 개발,' '동굴', 제52호 

  35. 유영준, 1997, '동굴의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동굴', 제49호 

  36. 유영준, 1998a, '울진 성류굴의 관광적 특성,' '동굴', 제53호 

  37. 유영준, 1998b, '경북지역 동굴의 관광적 특성,' '동굴', 제54호 

  38. 유영준, 1999, '성류굴 주변 관광상업지역의 특성,' '동굴', 제57호 

  39. 유영준.이경호, 1999, '관광동굴의 환경친화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동굴', 제59호 

  40. 윤정모, 2005, '백두산과 길림지역의 동굴 현황,' '동굴', 제67호 

  41. 윤정모a, 2006, '동굴자원의 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동굴', 제70호 

  42. 윤정모b, 2006, '동굴자원의 체험학습과 보존 관리에 관한 방안,' '동굴', 제75호 

  43. 이경호, 2000, '환경오염으로 인한 동굴생태환경의 변화와 환경오염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 '동굴', 제60호 

  44. 이영혜, 1997, '제주도 화산동굴의 형성과정과 특수성 연구,' '동굴', 제50호 

  45. 이영혜, 1998a, '고수동굴의 지리환경,' '동굴', 제54호 

  46. 이영혜, 1998b, '석회동굴의 분류 기준 연구,' '동굴', 제55호 

  47. 이인화, 2004, '광천 토굴의 민속학적인 접근,' '동굴', 제64호 

  48. 이인화, 2004, '동굴의 민속학적 접근,' '동굴', 제63호 

  49. 임철호, 1997, '중국 길림성 남부지역의 석회암 동굴 연구,' '동굴', 제51호 

  50. 정창희, 1999, '천곡동굴 일대의 지질 개요,' '동굴', 제58호 

  51. 지종덕, 2004, '동굴관리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동굴', 제63호 

  52. 지종덕, 2004, '동굴의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굴', 제64호 

  53. 홍시환 외, 1997, '삼척 월둔굴의 개발 구상,' '동굴', 제50호 

  54. 홍시환, 1997a, '고수동굴의 용식지형지물 분석,' '동굴', 제50호 

  55. 홍시환, 1997b, '제주도의 화산동굴과 동굴지형지물 소고,' '동굴', 제51호 

  56. 홍시환, 1997c, '문화재동굴의 생태환경보전조사의 요령,' '동굴', 제52호 

  57. 홍시환, 1998a, '석회동굴의 형성 발전과 환경과의 상관성 연구,' '동굴', 제53호 

  58. 홍시환, 1998b, '동굴의 이용과 환경 보전,' '동굴', 제54호 

  59. 홍시환, 1998c, '우리나라 화산동굴의 지형구조 분석 - 만장굴을 중심으로,' '동굴', 제55호 

  60. 홍시환, 1998d, '환경보전 면에서 본 성류굴,' '동굴', 제56호 

  61. 홍시환, 1999a, '화산동굴지역의 일반적 특성 소고,' '동굴', 제57호 

  62. 홍시환, 1999b, '광천선굴의 개발환경과 지형지물,' '동굴', 제58호 

  63. 홍시환, 1999c, '관광동굴의 환경보전관리에 관한 연구,''동굴', 제59호 

  64. 홍시환, 2004a, '제주도의 화산동굴 소고,' '동굴', 제62호 

  65. 홍시환, 2004b, '지구환경론 소고,' '동굴', 제62호 

  66. 홍시환, 2004c, '종유굴의 형성과정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동굴', 제62호 

  67. 홍시환, 2004d, '우리나라 자연동굴의 지리적 분포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굴', 제62호 

  68. 홍시환, 2004e, '동굴의 환경보전대책에 관한 연구,' '동굴', 제62호 

  69. 홍시환, 2004f, '동굴학의 지구과학으로서의 학술적 타당성 연구,' '동굴', 제62호 

  70. 홍시환, 2004g, '우리나라 동굴의 성인에 관한 연구,' '동굴', 제62호 

  71. 홍시환.배두안, 1998, '제주도 빌레못동굴의 지형지물 연구,' '동굴', 제53호 

  72. 홍시환.유영준.홍충렬, 1997, '동굴의 국내 연구 동향,' '동굴', 제49호 

  73. 홍철화, 1997, '동굴의 특성과 환경보전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동굴', 제51호 

  74. 홍철화, 1998, '동굴과 인류의 상관성 및 보전 문제,' '동굴', 제55호 

  75. 홍철화.변대준, 1999, '제주도 화산동굴의 특수성 연구,' '동굴', 제57호 

  76. 홍충렬, 1997, '일본관광동굴의 환경보전 현황,' '동굴', 제51호 

  77. 홍충렬, 1998, '우리나라 관광석회동굴의 환경보전연구,' '동굴', 제55호 

  78. 홍충렬, 1999, '천곡동굴의 개발 타당성 연구,' '동굴', 제58호 

  79. 홍충렬.김원진,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동굴관광자원의 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 '동굴', 제64호 

  80. 홍충렬.김원진, 2005, '관광동굴 주변 관광자원의 유형별 분포,' '동굴', 제67호 

  81. 홍현철.권동희, 1997, '협재굴의 자연학습원으로서의 타당성 조사 연구,' '동굴', 제50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