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비쿼터스 동굴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biquitous Cave Systems 원문보기

洞窟 : 한국동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peleological society, no.90 = no.90, 2009년, pp.35 - 56  

오종우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동굴환경의 황폐화에 대한 지속가능한 동굴의 연구, 관광 및 보존을 위하여 첨단정보화 기술인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차원의 동굴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첫째, 동굴에 대한 법제도나 조례 등으로 강력한 관리방안이 제시되거나 휴식년제 도입 등으로 행정적인 방안이 있으며, 둘째, 최첨단 정보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동굴의 관리로 지하동굴 자원의 청정환경을 도모하는 방법이 있다. 유비쿼터스 동굴의 구축에는 첨단 자동정보시스템 인 감지시스템(USN), 모니터링시스템(RFID/UFID), 무선통신시스템(WiBro/WiFi), 공간정보시스템(GIS), 항공레이저시스템(LiDAR), 저열 조명시스템(ELD) 및 통합관리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동굴 구현에 필요한 첨단화 정보기술분야의 산업적인 융합에 의한 차세대 동굴살리기 명품솔류션 구현을 통하여 공간정보기반의 유비쿼터스 동굴관리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u-cave모델은 정책의 적용에 따라 동굴의 자연관리, 생태관리, 시설관리, 관광관리, 문화관리 및 소득창출 등의 시너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동굴의 자연환경보존 기반의 수단으로서 기여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the karst infrastructure systems for the u-cave. IT based u-cave represents spatial information derived fields, such as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cave boundaries,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cave locations and formation charac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동굴환경의 황폐화에 대한 지속가능한 동굴의 연구, 관광 및 보존을 위하여 첨단정보화 기술인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차원의 동굴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류사의 발달과정에서 동굴은 어떤 역할로 중요시 되어왔는가? 인류사의 발달과정에서 거주공간으로서의 동굴의 역할은 매우 중요시되어왔다. 동굴에 대한 발달과정으로서 초기에는 안주공간으로서, 20C 이전까지는 탐험과 탐사로서, 20C에 들어서는 학술적인 규명으로, 그리고 현대의 정보화시대에서는 지속가능한 관리에 집중되는 과정에 이르고 있다.
동굴에 대한 발달과정은 초기부터 현대까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인류사의 발달과정에서 거주공간으로서의 동굴의 역할은 매우 중요시되어왔다. 동굴에 대한 발달과정으로서 초기에는 안주공간으로서, 20C 이전까지는 탐험과 탐사로서, 20C에 들어서는 학술적인 규명으로, 그리고 현대의 정보화시대에서는 지속가능한 관리에 집중되는 과정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정보화시대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의한 최첨단정보기술을 활용한 동굴의 연구, 관광, 보전에 과학적인 효율성을 기반으로 전환되어져야 할 시점에 있다.
현존하는 개방동굴의 무분별한 훼손과 오염으로 인한 귀중한 자연유산의 손실을 그대로 묵과할 수 없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대응해 환경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무엇이 있는가? 현존하는 개방동굴의 무분별한 훼손과 오염으로 인하 귀중한 자연유산의 손실을 그대로 묵과할 수 없는 것으로 국가적으로 동굴의 보전과 관리에 강력한 제도적인 차원에서 대처하여야할 시점에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첫째, 동굴에 대한 법제도나 조례 등으로 강력한 관리방안이 제시되거나 휴식년제 도입 등으로 행정적인 방안이 있으며, 둘째, 최첨단 정보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동굴의 관리로 지하동굴 자원의 청정환경을 도모하는 방법이 있다. 유비쿼터스 동굴의 구축에는 첨단 자동정보시스템 인 감지시스템(USN), 모니터링시스템(RFID/UFID), 무선통신시스템(WiBro/WiFi), 공간정보시스템(GIS), 항공레이저 시스템(LiDAR), 저열 조명시스템(ELD) 및 통합관리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0)

  1. 강승삼, 1977, 충북의 Karst지형, 논문집 제10집 

  2. 강승삼, 1978, 제주도 용암동굴에 관한 분석 한국동굴학회지 제3호 

  3. 김대경, 1976, Karst지형에 관한 연구 전주교육대학논문집 12집 

  4. 김대경, 1978, Karst지형에 관한 연구-태백산맥을 중심으로-,건국대 

  5. 김련.우경식 외. 2009. 제주도 용천동굴의 지질학적 및 문화적 의미. 2009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초록집. 대한지질학회 

  6. 김상호, 1963, 제주도의 자연지리 지리학 제1호 

  7. 김점득, 1984, 문경지역 카르스트 지형연구, 경북대교육대학원 

  8. 김주욱, 1981, 강원도 정선 임계면 지역의 카르스트 지형연구 동굴 제6권 7호 

  9. 박관섭, 1971, 한국의 Karst지형연구 건대지리학보 제2호 

  10. 박관섭, 1976, 선유산 지괴의 Karst Cycle고찰 한국동굴학회지 제2호 

  11. 박관섭, 1979, 일본 종유동굴 지형의 Karst Cycle 동굴 제4호 

  12. 박병수, 1980, 제주도 용암 동굴의 성인과 특성 동굴 제7집 

  13. 박병수, 1981, 우리나라 동굴의 일반적 특성 동굴연구 No.1 

  14. 신용영, 1982, 용암동굴의 구조와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만장굴을 중심으로-,건국대 

  15. 서무송, 1966, 한국의 Karst지형 지산 선생 회갑 기념논문집 

  16. 서무송, 1970, 한국의 Karst지형, 경희대석사학위논문 

  17. 서무송, 1977, 한국의 석회암 동굴산 Pisolite 에 관한 연구 지리학 16호 

  18. C, 1978, 한국의 동굴산 2차 생성물에 대한 몇가지 연구 응용지리 제4호 

  19. 성효원, 1977, 석회암지대의 하계 특성. 녹우회보 제19호 

  20. 안웅산, 2009,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범위. 2009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초록집. 대한지질학회 

  21. 안웅산, 황상구, 2009, 세계자연유산 만장굴의 규모와 내부구조가 갖는 의미. 2009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초록집. 대한지질학회 

  22. 유재신, 1977, 영월,쌍룡리-연당리 일대의 Karst지형에 관한 연구 목포교대 논문집 제6집 

  23. 유재신, 1982, Karst지형의 연구(Sinkhole을 중심으로)동굴 제7권 8호 

  24. 이숙현, 1992, 여삼리 지역 karst 지형형태와 피복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석사논문 

  25. 이승호, 1981, 제주도 용암동굴의 관광자원적 의의 동굴 제6권 7호 

  26. 이진화, 1978, 정선군 임계면 과원리, 아수리 일대의 Karst지역에 관한 연구 녹우회보 제20호 

  27. 이진형 외 2009 용암동굴-제주만장굴의 단면 형상. 2009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초록집. 대한지질학회 

  28. 이태형, 1988, 문경 karst 지역의 용식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15, 157-163 

  29. 임종호, 1989, 단양 석회암 잔덕토의 지화학적 분석, 장안지리 4(5), 32-48 

  30. 임종호, 1990, 여천리 석회암지역 피복물의 상인과 특성에 관한 분석, 지리학연구16, 75-90 

  31. 원종관, 1978, Sinkhole 지형의 분포와 karst 현상, 건국대학교 이학 논문집 4 

  32. Oh, Jongwoo, M. Day, B. Gladfelter, G. Huppurt, G. Fludland, and M. Kolb. 1991. Potential sources of the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지리학총 19호. 31-58 

  33. Oh, Jongwoo. 1992.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Karst. University of Wisconsin Ph.D Dissertation. 201p 

  34. Oh, Jongwoo, M. Day, and B. Gladfelter. 1993. Geomorphic 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f the Holocene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1993 World Korean Scientists Symposium Proceeding -Geosience Section-. Korean Feder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390-397 

  35. 오종우, 1993. Karstic Sinkhole Sediments of Dolostone in the Upper Midwest's Driftless Area, USA. 동굴 34호. 78-104 

  36. 오종우, 1993. 북한지역의 카르스트 지형. 북한의 지형. 한국과학기술. 107p 

  37. 오종우, 1993. 북한지역의 카르스트 분포와 동굴지형.동굴 37호. 13-32 

  38. 오종우, 1994. 카르스트 지형과 동굴지형. 동굴 37호. 89-96 

  39. 오종우, 1994. Soils and landforms on the loess mantled karst uplands in southwestern Wisconsin. 동굴 36호. 103-113 

  40. 오종우, 1994. GIS를 이용한 동굴지형 연구. 동굴 39호 

  41. 오종우, 1994. 고씨동굴의 발달과 특성. 동굴 38호 

  42. 오종우. 1995. 카르스트지형에 관한 기초공간 정보. 동굴 40호. 97-116 

  43. 오종우. 1995. A Geoarchaeological Review of the Fan Sites in the Lower Illinois Valleys, USA. 환동해권의 시간과 공간의 교감-목지 오홍석박사 회갑기념논문집 I. 753-768 

  44. Oh J. 외 1인. 1991. Sediments of the Seneca Sinkhole in the southwestern Wisconsin. The Wisconsin Geographer 7. 25-39 

  45. 오종우 외 5인. 1991. Potential sources of the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지리학총 19. 31-58 

  46. Oh JONGWOO. 1992.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Karst. University of Wisconsin Ph.D Dissertation. 201p 

  47. J. Oh 외 2인, Geomorphic 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f the Holocene Sinkhole Sediments in the Wisconsin Driftless Area. 1993년도 세계한민족과학기술자 종합학술 대회 논문집 -기초과학분과(지구과학)-.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390-397 

  48. Ford/Williams, 1989: Karst Geomorphology and Hydrology 

  49. 오종우. 1993, Karstic Sinkhole Sediments of Dolostone in the Upper Midwest's Driftless Area, USA. 동굴 34(35). 78-104 

  50. 오종우, 1993. Blacks' Economic Activities in Chicago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지역개발논문집 43-52 

  51. 오종우, 1993. 시카고 부분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지형공간정보체계(GSIS)의 이용. 지형공간정보 1(2). 223-235 

  52. 오종우 외 8인, 1993.용연동굴 내부 개발기본구상 및 실시계획 (지형분야). 강원도 태백시. 254p 

  53. 오종우 외 12인,1993. 만장굴 학술조사 보고서 (환경분야). 북제주군. 236p 

  54. 오종우.1993. 지역개발에 수반되는 동굴지역의 지형조사. 동굴 35(36) 32-36 

  55. 오종우 외3인, 1993. 북한지역의 지형연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07p 

  56. 오종우 외 1인, 1994. 북한의 카르스트지형과 동굴분포와 상관성 

  57. 오종우 외 1인, 1994. 동굴 36(37). 13-32 

  58. 오종우, 1993.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시카고 권역 흑인의 생활환경 분석. 지역개발논문집 18: 43-52 

  59. 오종우,오승훈. 1994, 지구정보학 원론, 원탑출판사, 564p 

  60. 오종우. 1994. 지리정보체계 (GIS)를 이용한 karst 연구의 가능성. 동굴 40: 13-29 

  61. 오종우, 1994. 북한의 화산지형 소고. 동굴 36(37). 33-37 

  62. 오종우 외1인,1994. 태백시 용연동굴 지대의 지리환경. 동굴 36(37). 81-102 

  63. 오종우, 1994. Soils and landforms on the loess mantled karst uplands in southwestern Wisconsin. 동굴 36(37). 103-113 

  64. 오종우 외 1994. 고씨동굴의 환경보전및 안전진단 학술조사연구보고서. 영월군. 155p 

  65. 오종우. 1994. 카르스트의 지표지형과 동굴지형. 동굴 37(38) P.89-96 

  66. 오종우 외.1994. 고수동굴의 환경보전및 안전진단학술조사연구보고서. (주)유신. 169p 

  67. 오종우. 1995. 카르스트 지형에 관한 기초공간정보. 동굴 41: 97-10 

  68. 오종우. 1996. 기본 S/W 기술개발 중과제의 현황. 한국정보과학회 DB연구회 춘계 발표집 

  69. 오종우. 1996. Internet GIS의 활성화. 한국지리정보. 한국지리정보협동 조합. 1(4). pp. 56-60 

  70. 오종우. 1996. GIS로의 접근과 발전추세. 정보통신과 울산사람 학술대토론회. 울산대학교. pp. 285-299 

  71. 오종우. 1996. GIS의 소개. 통계와 GIS학술회의 논문집. 숭실대학교. pp. 1-6 

  72. 오종우. 1996. GIS구축전략. GIS관리자 과정. 한국시스템공학연구소 강론집 

  73. 오종우. 1996. 국가 GIS기술개발 사업: DBMS Independent 기본 소프트웨어 기술 중과제. 국가 GIS와 응용기술개발. 한국시스템통합연구조합 논문집 

  74. 오종우, 최병하. 1996. 낙동강 환경정보 System-수질예측 Modeling을 중심으로-'96 국가GIS 및 GIS실무 세미나 논문집 별쇄. 대구 경북 GIS연구회 

  75. 오종우. 1996. Internet GIS의 응용, 제1회 영남권 21세기 정보화를 대비한 첨단기술 연수대회 논문집, 한동대학교 GIS연구소 

  76. 오종우. 1996. DBMS Independent GIS기본 소프트웨어, In: 지리정보시스템(GIS) 프로젝트 추진기법 특강, 한국시스템통합연구조합, pp.89-102 

  77. 오종우. 1996. OGIS측면에서 본 MapObjects와 Geopia 의 Intenet GIS의 환경분석, The 6th '96 GISWorkshop, 캐드랜드, pp. 397-411 

  78. 오종우. 1996. GIS용 API 개발, 국가지리정보 시스템 (NGIS) 제1차년도 연구결과발표회 발표자로모음집. 과기부 NGIS S/W 개발중과제 Consortium 

  79. 오종우. 1996. GIS기본S/W기술개발의 현황, 한국정보과학회DB연구회 춘계발표집 

  80. 오종우 외. 1997. GIS구축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추계학술 발표집 

  81. 오종우. 1997. 대구시 교통지리정보시스템 (GIS-T)의 구축방안. 대구시 교통정보시스템 구축. 대구시청 

  82. 오종우. 1997. GIS구축전략, GIS실무과정, 서울특별시전산소, pp. 263-344 

  83. 오종우. 1997. GIS구축 및 관리전략, GIS관리자과정. 한국정보문화쎈타교육원 

  84. 오종우. 1997. GIS구축 방법론. 한국지리정보. 2(11): 74-81 

  85. 오종우. 1997. SCADA GIS의 통합개념과 사례분석. 한국지리정보 14: 66-77 

  86. 오종우. 1997. NGIS의 개발전략기술 및 추진사업 논문집 -기본S/W 기술-. GIS개발전략과 사례별 응용방안, 전자신문사. pp. 289-307 

  87. 오종우. 1997. API 과제: Gothic Base Class의 확장, 국가지리정보시스템(GIS) 기술개발 기본 SW 중과제 제2차년도 연구결과, 한국시스템통합연구조합. pp. 13-63 

  88. 오종우. 1997. DBMS Independent GIS기본SW기술. NGIS 기술개발 연구과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89. 오종우/김정대. 1997. GIS구축 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추계확술발표집 pp. 101-113 

  90. 오종우. 1997. 신기술 GIS와 토지. 한국지리정보 4(16): 6 

  91. 오종우. 1998. CALS-GIS의 상호운용 환경. GISFORUM: 국산 지리정보시스템 SW개 발과 해외시장진출 활성화 방안. 전자신문사 논문집 

  92. 오종우 외. 1998. Internet GIS의 데이터 공유 표준연구. 정통부 연구개발. 한국전산원. 104p 

  93. Oh, Jongwoo. 1998. CALS and caveInteroperability. Smallworld '98 Asia-Pacific Conference Proceedings 

  94. 오종우. 1998. GIS용 API개발. 과기부 NGIS연구과제 최종보고서 

  95. 오종우. 1998. 지리원 수치지도의 구축 및 관리. 대한지리학회 춘계발표집 

  96. 오종우. 1998. 신기술 GIS와 토지. 한국지리정보 16: 6 

  97. 오종우. 1998. 교통정보시스템의 구축 방안. 계장기술 58: 62-65 

  98. 오종우 외. 1998. 국가GIS소프트웨어 개발: DBMS Independent GIS기본SW기술. 정보과학회 16(3): 16-22 

  99. 오종우. 1998. GIS구축과정. GIS관리자과정. 한국정보통신대학원교육원 

  100. 오종우. 1998. 시스템통합. 토지정보시스템 구축실무. 한국정보통신대학원교육원 

  101. 오종우. 1999. Smallworld를 적용한 안양시 도로시설물관리시스템. 한국지리정보 32: 58-62 

  102. 오종우. 1999. 한국형 UIS의 방향. 한국지리정보 28: 28-29 

  103. 오종우. 1999. CALS-GIS에 의한 EC효과. 전자신문-테마특강 (8월24) 

  104. 오종우. 1999. 21C GIS의 흐름. 한국지리정보 30 

  105. 오종우. 2000. 국방 CALS-GIS의 운용. 육군 고급정보화정책과정. 공주대학교. pp. 99-104 

  106. 오종우. 2000. 인터넷 GIS의 흐름. 토목학회 학술지 4월호 

  107. 오종우. 2000, e-UIS의 구축 및 방향. 전자정부를 위한 지식정보화 심포지움.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108. 오종우. 2000. Future of the GIS Market. 지식 정보화를 위한 GIS학술대회. 국토개발원 

  109. 오종우. 2000. A New Vision of the CALS-GIS Interoperability. 17th EAROPH. abs 

  110. 오종우 외. 2000 카르스트지형. 자연환경과 인간. 한울아카데미. 585p 

  111. 오종우. 2001. SCADA & 4S(GIS, ITS, GPS, RS) Interoperability. KRIHS 6Th International GIS Conference 

  112. 오종우. 2001. 도시안전과 정보화. 도시안전과 시설물관리체계의 개선방향. 경실련 도시개혁쎈타 도시안전위원회 제2차 정책워크샵자료 

  113. 오종우. 2005. GIS기반 u-City. 2005년도 건교부 GIS 인력양성과정 

  114. 오종우. 2006. 공공IT 프로잭트 수발주 실태와 개선방안. 공공IT 프로잭트 수발주 제도 개선을 위한 세미나. 신산업정책포럼 

  115. 오종우 외 1인. 2006. GIS기반 u-City 도시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116. 오종우 외 4인. 2006. LiDAR를 이용한 GIS DB의 수정갱신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117. 오종우 외 2인. 2006. 공공 IT 프로젝트 수발주 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4권4호. 119-131 

  118. 오종우, 구양모, 오승훈. 2006. 3차원 u-City 포탈시스템의 구현방안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119. 오종우, 오승훈. 2006. GIS기반 u-City 도시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120. 오종우 외 4인. 2006. LiDAR를 이용한 NGIS DB의 수정갱신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디지털정책연구. 제4권4호. 119-131 

  121. 오종우. 2006. WiBro GIS를 통한 신산업 동력의 핵심 구현. GIS Review. 28: 6-7 

  122. 오종우. 2006. 가좌 Smart-Clean Town 전략수립(컨설팅부문). 서대문구 가죄뉴타운 최종보고서. 코오롱이넷 

  123. 오종우. 2006. u-City 기반 도시설계 모델 -판교 신도시 Apartment TK 블록을 중심으로-.2006 김포시 u-City 구축을 위한 학술 포럼. 김포시 

  124. 오종우, 오승훈. 2007. 공간정보 모니터링시스템 구현방안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125. 오종우, 오승훈. 2007. U-Echo City 構築의 高度化政策方案 硏究. 한국모바일학회 춘계발표논문집 

  126. 오종우. 2007. 건교부 U-Echo City의 현황. Ubiu.net 창립5주년 기념세미나 

  127. 오종우. 2007. U-Eco City의 구현. U경제포럼. 전주대학교 

  128. 오종우. 2007. 국가 GIS정책현황. 한국여성지리학자회. 13권1호. pp. 24-38 

  129. 오종우, 오승훈. 2007. 유에코시티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유비쿼터스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30. 오종우, 오승훈. 환경 생태도시(U-Eco City) 구현방안 연구. 한국모바일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pp.73-9 

  131. 오종우. 2007. U창원 생태도시 구축 방안. 2007년도 창원시 '세계측지계 도입에 따른 도시정보 시스템 수치지도 갱신 용역' 3차감리보고서, 한국정보시스템공인감리단 

  132. 오종우. 2007. 친환경 유비쿼터스 도시의 구성요건. 창원시 '세계측지계 도입에 따른 도시정보 시스템 수치지도 갱신 용역' 최종감리보고서, 한국정보시스템공인감리단 

  133. 오종우. 2007. 유비쿼터스 생태도시 구축의 미래비전.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추계세미나. pp.99-152 

  134. 오종우, 오승훈. 2007. 친환경 생태도시(u-eco city) 구현방안연구. 한국모바일학회 추계학술대회 .pp 73-82 

  135. 오종우. 2007. 운하와 U시티를 통한 한반도의 지역 균형 발전방안. 차기정부의 IT정책과 비젼. 장원포럼, IT컨버전스포럼 웍샵자료 

  136. 오종우. 2007. 수경운하와 u-City 연계에 의한 지역 균형 연구. 한국과학기술개발원 한국동굴학회 2007후기 공동학술대회. pp.112-130 

  137. 오종우. 오승훈. 2007. 유에코시티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유비쿼터스 학회 추계학술논문집 

  138. 오종우. 2007. 유에코시티의 미래비전, 대한전자공학회 추계학술대회 

  139. 오종우. 2007. 유비쿼터스 생태도시(u-Eco City)의 정책과 비젼. 정보보안학회 학술지. pp.103-110 

  140. 오종우. 2008. GIS와 u-City. 지자체GISII. 건설교통부 국토정보기획팀. 남서울대 GIS교육센터 

  141. 오종우. 2008. 유비쿼터스 시대의 디지털 콘텐츠사례, 유비쿼터스 역량강화 및 보안교육. 대한컨설팅 

  142. 오종우. 2008. u-City Sciece. 국토균형발전연구회. 231p 

  143. 오종우. 2008. u-에코시티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및 도시설계모델. 친환경, 지능형건설을 위한 유비쿼터스기반 IT융합기술 세미나. 한국 미래기술교육연구원 

  144. 오종우. 2008. 유비쿼터스와 산림 cave정책 과학화. 산림cave기본계획 고도화 워크숍. 국립산림과학원 

  145. 오종우. 2008. u시티와 지역균형발전 전략. 한국유비쿼터스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문 

  146. 오종우. 2008. uIT 기반의 국토균형발전방안, 제2회 유비커터스 연합 조찬간담회 특강.유비쿼터스 IT코리아포럼/한국u-City협회 

  147. 오종우. 2009. Ubiquitous Cave Implecation and aspects in Korea. 국제동굴컨퍼런스. 한국동굴학회 주제강연 논문집 

  148. Oh, Jongwoo. 2009. Karst Geomorphic Characteristics and Sediment Environments in Southwestern Wisconsin. 한국동굴학회지 

  149. 오종우/오승훈. 2009. 첨단 기법에 의한 u-Cave 구축. 한국동굴학회 웍샵 

  150. 오종우. 2009. 임진강 참사 대응 동굴정보 구축방안. '4대강살리기' 정책세미나. 차세대정책포럼 

  151. 오종우/오승훈/김원진. 2009. 수요자 중심의 U-서비스 환경조사 연구. 한국과학기술개발원 

  152. 오종우/오승훈. 2009. 유비쿼터스 하천관리시스템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추계발표논문집 

  153. 우경식, 원종관, 1988. 삼척군 대이리 동굴군의 관음굴과 화선굴내에 발달한 동굴생성물의 초기 광물성분과 탄산염 속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25(1), p. 90-97 

  154. 우경식, 대이리 동굴군 학술조사보고서, 원종관 외 9명, 1987년 12월, 삼척군, 151p 

  155. 우경식, 1989, 강원도 평창군 백룡굴 종합학술조사, 문화공보부, 평창군, 연구원 

  156. 우경식, 1987-1987, 강원도 삼척군 대이리 동굴군 종합학술조사, 문화공보부, 삼척군 

  157. 우경식, 1987-1989, 강원도 조선누층군 탄산염암에서 발견되는 화석 및 비화석 구성요수의 초기광물 성분과 탄산염 속성작용, 과학재단, 연구책임자 

  158. 우경식, 1999, 강릉 옥계지역 동굴 개발타당성 조사, 강릉시, 연구책임자 

  159. 우경식, 1998-1999, 환선굴 내부 학술조사, 삼척시 

  160. 우경식, 1998-1999, 영월댐 수몰지 동굴세부조사 용역, 수자원공사 

  161. 우경식, 1997, 미탄면 일원 동굴탐사 실시용역, 평창군, 연구책임자 

  162. 우경식, 1996, 춘천 감정리 동굴개발 자료조사, 춘천시, 연구책임자 

  163. 우경식, 1995, 평창군 미탄면 돈너미 일대의 석회암동굴 예정지조사 보고서, 평창군 

  164. 우경식, 1999, 석회동굴의 지질학적 의미와 연구방향, 99 Samchok International Cave Symposium & Festival, Samchok, Korea 

  165. 최돈운 외. 2009 천연기념물 개방동굴의 현황 및 노동동굴의 실태. 2009 추계지질과학연합 학술발표회 초록집. 대한지질학회 

  166. 장은미 1988 석회암과 고회암지역의 지표피복물에 관한 연구, 서운대학교 석사논문 

  167. 전용목 1979 여삼 karst 의 특성과 발달, 건국대학교 논문집 10 

  168. 전용문 외 2009. 거문오를 용암동굴계에서 발견된 신규동굴의 특징과 의미. 2009 추계지질과 학연합학술발표회 초록집. 대한지질학회 

  169. 정석재 김대순 문준 엄기태 (1989) 석회암 토양의 지형적 특성과 생성분류 1. 지형에 따른 석회암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2(4),265-270 

  170. 정석재 1990 석회암 토양의 지형적 특성과 생성분류 2. 강원도 영월지역 석회암토양의 광물특상과 생성 및 분류,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3(1),1-7 

  171. 정미숙 1980 삼척지역의 karst terrain 에 관한 연구, 간국대학교 석사논문 

  172. 정장호 1962 남한의 karst 지형에 관한 연구(大和,梅浦),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73. 정장호 1966 한국의 karst 지형, 지산선생 회갑기념논문집 

  174. 정장호 1971 Karst 지형, 원색과학대백과사전, 2 지구 

  175. 정장호 1975 Karst지형, 지리학회보 13 

  176. 조대현 1992 단양지역 karst현상의 토양지형학적 특성,충북대석사논문 106p 

  177. 지효선 외 2009 제주도 용천동굴의 석순에 기록된 지난 300년동안에 일어난 제주도의 기후 변화. 2009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초록집. 대한지질학회 

  178. 채효석, 황의호, 고덕구. 2005. 효율적인 동굴 유지 관리 방안(A Strategy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River). 국토환경연구소 

  179. 최돈원 외 2009. 천연기념물 제466호 용천동굴에 발달하는 동굴생성물의 성인과 특징에 대한 연구. 2009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초록집. 대한지질학회 

  180. 최무웅 임종호 1990 여천리 석회암지역 피복물의 성인과 특성에 관한 분석, 지리학연구 16, 75-90 

  181. 최무웅 임종호 1991 석회암의 풍화과정과 특성, 건국대학교 이학 논문집 16 

  182. 홍시환 1978 동굴의 이용에 관한 연구, 동굴 3 

  183. 홍시환 외 1978 우리나라 자연동굴의 현황과 이용에 관한 연구, 건대학술지 22 

  184. 홍시환, 1978,동굴의 이용에 관한 연구 동굴 제3호 

  185. 홍시환.박관섭, 1979,한국동굴의 특성과 환경오염에 관한 연구 건대 학술지 제22집 

  186. 홍시환 1981 제주도 만장동굴계 학술조사보고, 동굴 6,7 

  187. 홍시환 1985 우리나라 자연동굴의 지리적 분포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 매헌 홍시환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188. Ueno, S., S.K. Pae & F. Nagao (1966) Results of the Spelological Survey in south Korea 1966. I. General account, with brief descriptions of the caves visited, Bull. Nat. Sce. Mus. Tokyo, 9(4), 1966 

  189. Day, Michael 2009. Protected karst landscapes: lessons from Central America and the Caribean. International Cave Conference in Korea: U-CAVES 

  190. Reeder, Philip 209. Cave and karst geoarchaeology: new avenues for inquiry. International Cave Conference in Korea: U-CAV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