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포늪의 수환경요인 변화
Change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Upo Wetland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7 no.3, 2009년, pp.306 - 313  

이정준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정호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Upo wetland, physico-chemical factors were observ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005 to December 2007 on a monthly basis. In the Upo wetland, water temperatures ranged $3.4{\sim}34.5^{\circ}C$. Conductivities were in the range of 133~806 ${\mu}S\;cm^{-1}$, which show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5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34개월에 걸쳐 매월 우포늪을 대상으로 다양한 수환경 요인의 변동 양상을 조사하고, 연도별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우포늪을 대상으로 보고되었던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본 조사를 통해 분석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지난 10여 년간 우포늪의 수환경요인 변동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 2002)에 따르면, 수중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제한 요인으로 알려진 질소 복합물의 농도는 계절에 따라 어떤 변화가 있으며, 생물학적 흡수력은 무엇에 의해 지배받는가? 질소는 인과 함께 수중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제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Horne and Goldman 1994). 또한 질소 복합물의 농도는 계절적으로 규칙적인 변화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생물학적 흡수력은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크게 지배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이 2002). 본 조사에서 평균 질산성질소와 암모니아성질소의 농도는 각각 1.
우포늪은 무엇 때문에 수질오염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가? 그러나 우포늪의 보호 대상 지역이 유역 전체가 아닌 습지 주변 지역으로 국한되어 있어 수질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서 2006). 우포늪은 유역 내에 존재하는 각종 축사와 생활하수, 오염물 투기, 비료 사용 등 다양한 형태의 비점오염원의 유입으로 인해 수질오염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서 2006). 우포늪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은 유역의 토지 이용 형태와 강우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특히 하계 집중 강우시기에 낙동강 강물의 역류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환경부 2002; 서 2006).
본 조사에서 나타난 우포늪의 평균 수온은? 본 조사에서 나타난 우포늪의 평균 수온은 18.3℃로 나타났다. 이는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우포에서 보고된 평균 수온인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구연, 이찬우, 주기재. 2004. 우포늪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군락에서 생장초기에 잘라주기와 태워주기에 따른 성장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7:255-262 

  2. 김한순. 2001. 우포늪과 목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4:90-97 

  3. 방기웅, 이준호, 최종수. 2006. 강우시 산업단지에서의 오염물질 유출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2:341-353 

  4. 서동조. 2006. 위성영상의 규칙기반 분류기법을 적용한 우포늪 유역의 비점오염원 정보추출. 서울대학교 학위논문 

  5. 이정호. 2002. 대청호 남조류 수화 발달의 생태기작 연구(2차년도). 한국수자원공사 보고서(WRRI-WR-02-07) 

  6. 창녕군 국립자연사박물관 우포늪 광역유치위원회. 2001. 우포도우미 

  7. 한국자연보존협회. 1989. 한국의 희귀 및 위기 동식물도감 

  8. 함규황, 손성원. 1998. 경상남도 창녕군 우포늪과 창원군 주남저수지 일대의 조류분포. 경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연구논문집. 12:261-274 

  9. 허우명, 김범철, 황길순, 최광순, 박원규. 1995. 낙동강 수계의 인, 질소 및 chl. a 농도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28:175-181 

  10. 환경부. 1987. 우포, 주남저수지 생태계 조사 

  11. 환경부. 1996. 공정시험법안. 동화기술 

  12. 환경부. 2002. 창녕 우포늪 생태계 보전지역 보전?관리대책수립 

  13. APHA, AWWA and WACEF. 1998.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ition. APHA, New York 

  14. Baek SY. 1998. Ecological studies on the Upo Wetland. M.S. Thesis. Chung-Ang Universtiy 

  15. Bedient PB, DA Lambert and NK Springer. 1980. Storm-water pollution load-runoff relationship. J. WPCF. 52:2396-2404 

  16. Choi SH, H Ha, YH Ju, HW Kim and GJ Joo. 199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opo wetland. S. Korea. Korean J. Limnol. 31:273-281 

  17. Cooper WJ, JC Young, RA Micear and WH Keith. 1984. Water Analysis. Academic Press, New York 

  18. Dale VH and GL Swartzman. 1984. Simulating the effects of increased temperature in a plankton ecosystem: A case study. pp.395-427. In Algae as ecological indicators (L Elliot Shubert ed.). Academic Press. New York 

  19. Eckenfelder WW. 1989. Industrial water pollution control. 2nd edition. Mcgraw-Hill, New York 

  20. Faith AA, HMA Abdelzaher, RJ Flower, M Ramdani and MM Kraiem. 2001. Phytoplankton communities of North African wetland lakes: the CASSARINA Preject. Aqua. Ecol. 35: 303-318 

  21. Fee EJ. 1979. A relation between lake mophometry & primary productivity & its usein interpreting whole-lake eutrophication experiment. Limnol. Oceanogr. 24:401-406 

  22. Gophen M. 2000. Nutrient and plant dynamics in Lake Agmon Wetland (Hula Valley, Israel): a review with emphasis on Typha domingensis (1994-1999). Hydrobiol. 441:25-36 

  23.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McGraw-Hill Inc, New York 

  24. Izaguirre I, I O'Farrell, F Unrein and R Sinistro. 2004. Algal assemblages across a wetland, from a shallow lake to relictual oxbow lakes (Lower Parana River, South America). Hydrobiol. 511:25-36 

  25. Klapper H. 1991. Control of eutrophicationi inland waters. Ellis Horwood, New York 

  26. Lane RR, JW Day Jr., GP Kemp and DK Demcheck. 2001. The 1994 experimental opening of the Bonnet Carre Spillway to divert Mississippi River water into Lake Pontchartrain, Louisiana. Ecol. Engin. 17:411-422 

  27. Piyankarage SC, AP Mallawatantri, Y Matsuno and KAS Pathiratne. 2004. Human impacts and the status of water quality in the Bundala RAMSAR wetland lagoon system in Southern Sri Lanka. Wetlands Ecol. Manag. 12:473-482 

  28. Schrage L and JA Dowing. 2004. Pathways of increased water clarity after fish removal from Ventura Marsh; a shallow, eutrophic wetland. Hydrobiol. 511:215-231 

  29. Wetzel RG. 2001. Limnology-Lake and River Ecosystems. Academic Press, Lond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