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용접열영향부의 균열진전 및 샤르피 흡수에너지 연구
Study of Crack Propagation and Absorbed Energy in Heat Affected Zone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2 no.6, 2009년, pp.541 - 548  

장윤찬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  이영석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샤르피 충격실험과 유한요소법를 이용하여 노치위치에 따른 파괴거동과 흡수에너지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자는 쉴드메탈아크 용접방법으로 두께가 25mm인 압력용기용강(SA-516 Gr. 70)을 용접하였고, 이 용접된 평판으로 샤르피 시편을 제작하였다. 샤르피 충격실험에서는 용접열영향부(HAZ)에서 노치위치가 다른 시편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자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샤르피 충격실험에서의 균열진전을 모사하였다. 용접열영향부(HAZ)의 기계적 물성을 유한요소해석에 적용하기 위해 HAZ를 2개 영역, 3개 영역 그리고 4개 영역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샤르피 충격실험의 흡수에너지가 노치위치에 의존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샤르피 용접시편에서 신뢰성 있는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용접열영향부를 적어도 3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harpy impact test and numerical studi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ailure behavior and energy absorption on the notch position. For this purpose, carbon steel plate(SA-516 Gr. 70) with thickness of 25mm usually used for pressure vessel was welded by SMAW(Shielded Me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용접열영향부의 균열진전과 흡수에너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샤르피 충격실험과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전산파괴기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자는 용접열영향부의 기계적 물성과 GTN 모델의 매개변수를 얻기 위해 용접열영향부의 경도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5는 용접열영향부, 모재 그리고 용접금속(weld metal) 부위에서 측정된 비커스 경도값(Hv)을 나타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샤르피 충격실험은 무엇인가? 샤르피 충격실험(Charpy impact test)은 샤르피가 1세기 전 제안한 실험으로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동안 재료의 흡수에너지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고속변형 실험이다(Charpy, 1901). 샤르피 충격실험은 용접된 구조물의 변형 및 파괴과정을 이해하는데 사용되고 측정된 인성(toughness)을 기준으로 용접 구조물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다.
재료의 충격값에 미치는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가? 재료의 충격값에 미치는 요소들은 재료의 종류(미세조직), 실험온도, 충격속도 및 시험편 형상이다. 샤르피 시편의 중간 부분에는 노치(notch)가 있는데, 시편의 파괴는 항상 노치에서 시작된다.
용접시편의 노치위치는 샤르피 충격실험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인 이유는 무엇인가? 샤르피 시편의 중간 부분에는 노치(notch)가 있는데, 시편의 파괴는 항상 노치에서 시작된다. 등방성 재료의 경우 노치위치(시험편의 채취위치)에 따른 충격치의 영향은 매우 적다. 하지만 용접부위가 포함된 시편의 경우 용접열영향부의 기계적 물성변화 때문에 노치위치에 따른 충격치의 영향은 크다. 따라서 용접시편의 노치위치는 샤르피 충격실험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ernauer, G., Brocks, W. (2002) Micro-Mechanical Modeling of Ductile Damage and Tearing Results of a European Numerical Round Robin, Fatigue & Fracture of Engineering Materials and Structures, 25, pp.363-384 

  2. Chang, Y.S., Lee, T.R. Choi, J.B. Seok, C.S. Kim, Y.J. (2006) Evaluation of Crack Length and Thickness Effects of Fracture Specimen using Damage Mechanic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23(4), pp.116-123 

  3. Charpy, G. (1901) Note Sur L'Essai Des M $\'{e}$ taux $\'{a}$ La Flexion Par Choc de Barreaux Entaill $\'{e}$ s, Comp Tend Soc Ingnr Civil Franvce, pp.848-877 

  4. Gurson, A.L. (1977) Continuum Theory of Ductile Rupture by Void Nucleation and Growth: Part 1-Yield Criteria and Flow Rules for Porous Ductile Media, Journal of Engineering Material and Technology, 99, pp.2-15 

  5. Hong, J.K., Son, Y.H., Park, J.H., Lee, B.H., Yoon, S.C., Kang, C.Y. (2008) Effects of Notch Location on Heat-affected Zone Impact Properties of SA-516 Steels, Journal of Power and Energy Systems, 2(2), pp.834-844 

  6. Jang, Y.C., Hong, J.K., Park, J.H, Kim, D.W., Lee, Y. (2008) Effect of Notch Position of the Charpy Impact Sepcimen on the Failure Behavior in Heat Affected Zone,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201, pp.419-424 

  7. Kang, S.Y., Kim. S., Oh, S.J., Kwon, S.J., Lee, S., Kim, J.H., Hong, J.H. (1999) Correlation of Microstructure and Impact Toughness of Heat Affected Zones of SA 508 Steel, J. Kor. Inst. Met. & Mater., 37(4), pp.423-434 

  8. Kim, J.H., Yoon, E.P. (1998) Notch Position in the HAZ Specimen of Reactor Pressure Vessel Steel, Journal Nuclear Materials, 257(3), pp.303-308 

  9. Schmitt, W., Sun, D.Z., Blauel, J.G. (1997) Damage Mechanics Analysis (Gurson model)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the Behaviour of a Crack in a Weld-Cladded Component,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174, pp.237-246 

  10. Tvergaard, V. (1981) Influence of Voids on Shear Band Instabilities Under Plane Strain Cond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Fracture, 17, pp.389-407 

  11. Tvergaard, V. (1982) Influence of Void Nucleation on Ductile Shear Fracture at a free Surface, Journal of the mechanics and physics of solids, 30(6), pp.399-425 

  12. Tvergaard, V. (1982) On Localization in Ductile Materials Containing Spherical Voids, International Journal of Fracture, 18(4), pp.237-251 

  13. Tvergaard, V., Needleman, A. (1984) Analysis of the Cup-Cone Fracture in a Round Tensile Bar, Acta Metallurgica, 32(1), pp.157-169 

  14. Tvergaard, V., Needleman, A. (1988) Analysis of the Charpy V-notch test for welds, Engineering Fracture Mechnics, 65(6), pp.627-643 

  15. Tvergaard, V., Needleman, A. (2004) 3D Analyses of the Effect of Weld Orientation in Charpy Specimens, Engineering Fracture Mechnics, 71(15), pp.2179-21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