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 지역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idge Area of Naesosa in the Byunsan Peninsula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2, 2009년, pp.135 - 142  

김봉규 (건국대학교 생명분자정보학센터) ,  엄태원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변산반도국립공원에 위치한 내소사 주변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세봉관음봉 구간에 방형구($400m^2$) 23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한 결과 소나무군집과 소나무-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변산반도 내소사지역의 세봉관음봉지역은 대부분이 소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점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신갈나무의 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굴참나무와 쇠물푸레, 단풍나무와 대팻집나무, 사람주나무와 산딸나무, 산딸나무와 굴피나무, 팥배나무와 서어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소나무와 서어나무, 쇠물푸레와 서어나무, 신갈나무와 팥배나무, 대팻집나무와 팥배나무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지수는 $0.665{\sim}1.169$범위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s ranging from Sebong to Gwaneumbong 23 plots($4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wo group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는 내소사주변 지역인 세봉~관음봉구간 능선부의 정확한 식생현황 및구조를 분석함으로서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식물변화 모니터링과 앞으로 이 지역의 식생관리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on M.S.(2003)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Management of Naesosa Watershed in Byonsanbando National Park.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7(3): 25-33 

  2. Choo G.C., Kim G.T.(2005)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bong to Poamsan in Baekdudaegal, Korea. Kor. J. Env. Eco. 19(2): 83-89 

  3. Choo G.C., Kim G.T., Cho H.S.(2006)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Miwangae to Cheonwhangbong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0(2): 114-121 

  4.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5.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r in southeast Texas forest. For. Sci. 24(2): 153-166pp 

  6. Kim G.T., Baek G.J.(199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ech'ongbong-Hangyery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4(4): 397-406 

  7. Kim G.T., Choo G.C.(2003) Vegetation Structure om Mountain Ridge from Nogodan to Goribong in Beakdudaegan, Korea. Kor. J. Env. Eco. 16(4): 441-448 

  8. Kim G.T., Choo G.C.(2005) Forest Structure of the Region from Dongchanggyo to Deogjusa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19(2):75-82 

  9. Kim G.T., Choo G.C., Kim J.O.(2006)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the Region from Wolgagsan to Dogabjae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0(2): 122-129 

  10. Kim G.T., Choo G.C., Urn T.W.(1996a)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Sangwonsa, Pirobong, Horyo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0(1): 151-159 

  11. Kim G.T., Choo G.C., Urn T.W.(1996b)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ngdaesan, Turobong, 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9(2): 147-155 

  12. Kim K.H., Park C.M.(1998) Growth Environ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Vitex rotundifolia Communities in Py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2(1): 91-101 

  13. Korea National Park Service(1999) Investigation on Natural Resource in Pyonsanbando National Park. 395pp 

  14. Kwak S.H., Chom H.Y., Kim C.H., Kil B.S.(1991) The Vegetation of Py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Buan. Korean J. Ecol. 14(2): 181-194 

  15. Lee K.J., Kim J.Y, Kim D.W.(1998)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aekdam-Valley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450-461 

  16. Lee WT and Yim YJ(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 ascular Plants in the Korea Peninsula. Jour. Kor. PI. Tax.(Appendix) 8:1-33 

  17.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377 pp 

  18. Oh H.K., Kim Y.H., Beon M.S., Kim Y.M.(2006) The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from Gidowon to Gamaso in the Byeonsanbando.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0(3): 31-37 

  19. Park C.M.(1998) Investigation on the Inhabitation Environments and Growth Conditions of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in Pyonsanbando. Kor. J. Env. Eco. 12(3): 242-252 

  20.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 

  21. Um T -W, Kim G-T(2008)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Songchu to Dobong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2(2): 106-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