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속리산국립공원 화양계곡의 구곡경관 개선을 위한 식생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Improvement of Gugok Landsacpe of Hwayang Valley in Songnisan National $Park^{1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2, 2009년, pp.194 - 207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곽정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장재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배정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양계곡의 훼손된 문화경관 및 자연경관 개선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속리산국립공원 화양계곡을 대상으로 화양구곡의 주요 경관특성 및 화양계곡 전체의 식생경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문헌 분석을 통해 화양계곡과 계곡 내 구곡의 경관원형을 분석하였다. 화양계곡의 경관원형은 여울이 있는 높은 산과 암반, 천연의 소나무군락 경관이었으며 구곡의 경관은 암반, 맑은 소, 소나무군락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대부분 식생발달에 의한 암반경관 차폐, 모래퇴적에 의한 소멸, 인공림에 의한 자연경관 훼손 등의 문제점이 분석되었다. 식생경관에서는 계곡 주변으로 은사시나무, 아까시나무, 잣나무 등 인공식생이 분포하여 자연경관 및 원래 화양계곡 경관과 이질적인 경관을 형성하였다. 화양계곡 및 구곡의 경관 관리는 조선시대 은일적 문화경관과 뛰어난 계곡 자연식생경관 보전을 목표로 하였다. 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구곡경관 관리방안으로 식생 및 이용자 관리를 통한 구곡 경관대상 부각 및 조망점 관리를 제안하였고 구곡의 배경이 되는 화양계곡 전체의 식생경관관리는 소나무군락 유지, 천이유도를 위한 인공림의 인공수종 제거 및 밀도관리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s to suggest a management method for improvement of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 of Hwayang valley which is degraded in Songnisan National Park. It was carried out to study original shape of landscape of it and analyse nine major properties of Hoayang Gugok, based on old literatures. Th...

주제어

참고문헌 (15)

  1. Curtis, J. T. and R. P. Mcl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2. Jo, J.C.(1987) Studies on the conservation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nature park: case study ofhongru dong ravine, mt. gaya national park.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56pp 

  3. Jo, J.C., W. Cho, B.H. Han(1995)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8(2): 121-134 

  4. Lee, KJ.( 1987) Management plan of natural landscape resource in National Park.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19): 106-113 

  5. Lee, KJ., K.B. Lim, J.C. JO, C.H. Ryu(1990)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l)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4(1): 23-32 

  6. Lee, K.J., W. Cho, B.H. Han(1996) Plant Commum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 (2): 115-125 

  7. Lee, S.J.(2006) A study on Comments on Scenery of the Later Joseon Dynasty -Centering Around Howayang Gugog(華陽九曲)-. Woori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215-244 

  8. Monk, C. D., G. I. Child and S. 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9. Park, I.H., K.J. Lee, J.C. Jo(1987)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1(1): 1-23 

  10. Pielou, E. 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Sons, N.Y. 385pp 

  11. Oh, K.K., S.K. Park, H.Y. Shim, T.H. Kim(2005)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2): 119-129 

  12. Oh, K.K., D.G. Kim, C.E. Kim(2008) Distribution of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of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2): 83-97 

  13. Oh, K.K., S.J. Jung, Y.S. Kim(1999)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7(1): 26-34 

  14. Seoul Calligraphy Art Museum, Seoul Arts Center(2008)宋浚吉.宋時烈 333pp 

  15. Zube, E. H., J. L. Sell and J. Taylor(1982) Landscape perception: Reserch, application and theory. Landscape Planning 9: 1-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