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나무 시들음병 발생지역의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Stand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Oak Wilt Infected Forest,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2, 2009년, pp.220 - 232  

엄태원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천정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김경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역의 임분구조 특성 파악을 통한 피해해석을 목적으로, 전라남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7개도 18개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Group A), 아울러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에 의한 피해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설치된 경기도와 강원도 내 5개 고정조사지에도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Group B). 그 결과 전국 18개 지역(Group A) 가운데 17개 지역에서 참나무속(Quercus spp.) 수종들의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설치한 5개 고정조사지(Group B)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가운데 하나인 천공률(Relative Density of Entrance Holes)과 조사지 내 참나무속 수종들의 상대밀도 간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R^2=0.89$, p<0.05)가 인정되어, 임분구조상 참나무속 수종의 우점도는 참나무 시들음병의 발생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st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damage of Oak wilt disease. Field surveys were carried out for two groups. One group(Group A) consists of Oak wilt infected 18 sites from 7 provinces, and the other group(Group B) con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사구들 간의 거 리는 Percent dissimilarity를 적용하였다. Cluster 분석의 목적은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 간의 수종구성 차이 유무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참나무시들음병 피 해해석 연구의 일환으로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의 임분 구조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해지의 임분 구조적 특징으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임분을 구성하는 수종들의 상대우점도 또는 중요도 측면에서 참나무 속 수종들의 중요도가 매우 높았다는 사실이다.
  •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의 임분 구조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거의 모든 조사지에서 광릉긴나무좀의 가용자원인 참나무 속 수종의 중요도가 여타 수종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 참나무시들음병 발생과 참나무속 수종 개체수의 많고 적음 간에 상관성이 있으리라는 추정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 발생과 발생지의 임분 구조 간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으나 여러가지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므로 향후 보다 명확한 원인을 규명하는 데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2004년 경기도 및 강원도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기 시작하여 2007년 현재 전국 61개 시군구에 피해가 발생하였고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이 발생한 지역의 산림에 대하여 임분구조 조사를 실시하고 임분구조와 병 발생 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ustaraa, O, Pettersen, H. and Bakke, A.(1977). Bivoltinism in Ips typographus in Norway, andwinter mortality in second generation. Medd. Nor. Inst. Skogforsk 33, 272-281 

  2. Butovitsch V.(1938). Om granbarkborrens massf $\"{o}$ r $\"{o}$ kning i s $\"{o}$ dra Dalarne. Norlands skogsv ${\aa}$ rdsforbunds tidskrift. 91-126 

  3. Curtis, J.T. and R.P. Mcl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a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8 

  4. Donald J.B., D.M De Long, C.A. Triplehorn.(1981)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sects, fifth edition. pp. 77-78 

  5. Harding, S. and Ravn, H.(1985). Seasonal activity of Ips typographus in Denmark. Z. Angew. Ent. 99: 123-131 

  6. Henry, B.W., C.S., Moses, C.A., Richards and A.J. Riker(1944) Oak wilt: Itssignificance, symptoms, and cause. Phytopathology 34: 636-647 

  7. Host, G.E., K.S. Pregitzer, C.W. Ramm and J.B. Hart(1987) Landform-mediated differences in successional pathways among upland forest ecosystem in northwestern lower Michigan. Forest Science 33: 445-447 

  8. Jewell. F .Fl(1956) Insect transmission of oak wilt. Phytopathology 46: 244-257 

  9. Jang K.K and Song H.K.(1997). Study of Dominance-Diversity on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do. Kor. J. Env. Eco. 11(2): 160-165 

  10. Kim J.H., Lee D.H., Kim J.S., Lee KJ., Hyun J.O., Hwang J.W., Kwon K.W.(1993). The Interpreation for Stand Structure in Natural Oak Forests. Jour. Korean For 82(3): 235-245 

  11. Kim KH., Lee S.K, Park LK., Lee S.H., Shin S.C(2006). Oakwil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4 

  12. Lange, H., Okland, B. & Krokene, P.(2006) Thresholds in the life cycle of the spruce bark beetle under climate change. Interjournal for Complex Systems 1648 

  13. Lim lH., Kwon T.S, Chun lH., Lee LK, Lee Y.Y., Choi H.T., Won M.S., Lee C.W., Choi W.L, Chang W.S.,(2008). National masterpla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est and forestry secto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8 

  14.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77pp 

  15.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 

  16. Robert N.C., J.A. Witter.(1984) Forest entomology: Ecology and management. Wiley-Interscience 44 

  17. Rowe, J.S.(1984) Forestland classification: Limitation of the use of vegetation. 276pp. in Forestland Classification: Experiences probles. Perspectives. J. Bockheim(ed). Proc. Symp. Univ.,Wisconsin 

  18. Ryu M.L, Lee J.H.(2002). Population Ecology, Seoul Nat'l University Press 

  19. Whittaker, W.H.(1975) Communities and Ecosystems. MacMillan Pub. Co. N. Y. 385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