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장 영양 제공 중환자의 영양 상태와 영양 지표
Nutritional Status and Indicato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on Enteral Feeding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6 no.1, 2009년, pp.21 - 29  

김화순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최서희 (인하대학교 병원,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함영주 (인하대학교 병원 중환자실,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tritional status and to compare nutritional indicators by caloric intake for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descriptive investigation were 62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medical and surgical ICUs and star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7일 동안 경장영양액을 제공받은 환자들의 영양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영양지표를 규명하고자 영양 제공량에 따른 영양지표들에서 치-이를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장영양을 통해 중환자들에게 제공된 영양 제공량이 처방량과 요구량에 대해 어느 정도로 제공되고 있는지 영양 제공 상태를 확인하고, 영양제공량이 적절한 대상자와 부족한 대상자들의 영양 지표에서 차이를 조사하여, 이들 영양 지표들이 중환자들의 단기 영양 상태를 잘 반영하는지 확인하는 것과 함께 염증지표와 영양지표 사이에 관계를 조사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 대상자들의 1일 영양 필요량의 계산을 위해 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일반적인 공식인 25kcal/kg를 적용하였으나 환자들에 따라서는 실제 일일 에너지 소모량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의 현재 열량 소모량을 정확하게 반영한다고 알려진 간접열량법 (indirect calorimetery)을 이용하여 환자들의 열량 필요량을 확인하고 현재 제공하고 있는 열량의 적절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 반면, 상태가 위중한 중환자들이라도 연구대상자들의 염증반응이나 스트레스 정도에서 비교적 안정적이고 동질 한대 상자들이 표집된 경우 영양상태와 영양지표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 선행연구들에서 염증반응의 정도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 있지 않아 이러한 결론을 위해서는 CRP 측정을 통해 염증 반응 정도를 통제한 추후 연구를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oullata, J., Williams, J., Cottrell, F., Hudson, L., & Compher, C. (2007). Accurate determination of energy needs in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7(3), 393-401. 

  2. Cerra, F. B., Benitez, M. R., Blackburn, G. L., Irwin, R. S., Jeejeebhoy, K., Katz, D. P., et al. (1997). Applied nutrition in ICU patients. A consensus statemen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Chest, 111 (3), 769-778. 

  3. Debaveye, Y., & Van den Berghe, G. (2006). Risks and benefits of nutritional support during critical illness. Annual Review of Nutrition, 26, 513-538. 

  4. Edington, J., Boorman, J., Durrant, E. R., Perkins, A., Giffin, C. V., James, R., et al. (2000). Prevalence of malnutrition on admission to four hospitals in England. The malnutrition prevalence group. Clinical Nutrition, 19(3), 191-195. 

  5. Fuhrman, M. P., Charney, P., & Mueller, C. M. (2004). Hepatic proteins and nutrition assessment.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4(8), 1258-1264. 

  6. Gabay, C., & Kushner, I. (1999). Acute-phase proteins and other systemic responses to inflammati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0(6), 448-454. 

  7. Gariballa, S., & Forster, S. (2006). Energy expenditure of acutely ill hospitalized patients. Nutrition Journal, 29, 5-9. 

  8. Higgins, P. A., Daly, B. J., Lipson, A. R., & Guo, S. E. (2006). Assessing nutritional status in chronically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5(2), 166-176. 

  9. Ishibashi, N., Plank, L. D., Sando, K., & Hill, G. L. (1998). Optimal protein requirements during the first 2 weeks after the onset of critical illness. Critical Care Medicine, 26(9), 1529-1535. 

  10. Kim, H. J. (2006). The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receiving tube feeding in l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Kreymann, K. G., Berger, M. M., Deutz, N. E., Hiesmayr, M., Jolliet, P., Kanzandjiev, G., et al. (2006). ESPEN guidelines on enteral nutrition: Intensive care. Clinical Nutrition, 25(2), 210-223. 

  12. Lewis, S. J., Egger, M., Sylvester, P. A., & Thomas, S. (2001). Early enteral feeding versus "nil by mouth" after gastrointestinal surger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ntrolled trials. British Medical Journal, 323(7316), 773-776. 

  13. Lim, S. H., Lee, J. S., Chae, S. H., Ahn, B. S., Chang, D. J., & Shin, C. S. (2005). Prealbumin is not sensitive indicator of nutrition and prognosis in critical ill patients. Yonsei Medical Journal, 46(1), 21-26. 

  14. Lopez-Hellin, J., Baena-Fustegueras, J. A., Schwartz-Riera, S., & Garcia-Arumi, E. (2002). Usefulness of short-lived proteins as nutritional indicators surgical patients. Clinical Nutrition, 21(2), 119-125. 

  15. Mackenzie, S. L., Zygun, D. A., Whitmore, B. L., Doig, C. J., & Hameed, S. M. (2005). Implementation of a nutrition support protocol increases the proportion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reaching enteral nutrition targets in the adult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9(2), 74-80. 

  16. McClave, S. A., Sexton, L. K., Spain, D. A., Adams, J. L., Owens, N. A., Sullins, M. B., et al. (1999). Enteral tube feed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Factors impeding adequate delivery. Critical Care Medicine, 27(7), 1252-1256. 

  17. Park, E. K., Lee, J. H., & Lim, H. S. (2001). Degree of enteral tube feed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change in nutritional statu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7(3), 217-226. 

  18. Petros, S., & Engelmann, L. (2006). Enteral nutntion delivery and energy expenditure in medical intensive care patients. Clinical Nutrition, 25(1), 51-59. 

  19. Phang, P. T., & Aeberhardt, L. E. (1996). Effect of nutritional support on routine nutrition assessment parameters and body composition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Canadian Journal of Surgery, 39(3), 212-219. 

  20. Pirlich, M., Schutz, T., Norman, K., Gastell, S., Lubke, H. J., Bischoff, S. C., et al. (2006). The German hospital malnutrition study. Clinical Nutrition, 25(4), 563-572. 

  21. Raguso C. A., Dupertuis Y. M., & Pichard C. (2003). The role of visceral proteins in the nutritional assessment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Current Opinion in Clinical Nutrition and Metabolic Care, 6(2), 211-216. 

  22. Reid, C. L. (2006). Frequency of under- and overfeeding in mechanically ventilated ICU patients: Causes and possible consequences. Journal of Human Nutrition and Dietetics, 19(1), 13-22. 

  23. Reid, C. L. (2007). Poor agreement between continuous measurements of energy expenditure and routinely used prediction equation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Clinical Nutrition, 26(5), 649-657. 

  24. Roberts, S. R., Kennerly, D. A. Keane, D., & George, C. (2003). Nutrition support in the intensive care unit: Adequacy, timeliness, and outcomes. Critical Care Nurse, 23(6), 49-57. 

  25. Seres, D. S. (2005). Surrogate nutrition markers, malnutrition, and adequacy of nutrition support.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20(3), 308-313. 

  26. Sergi, G., Coin, A., Enze, G., Volpate, S., lnelmen, E. M., Buttarello, M., et al. (2006). Role of visceral proteins in detecting malnutrition in the elderly.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tion, 60(2), 203-209. 

  27. Woien, H,. & Bjork. I. T. (2006). Nutrition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 and effects of implementing a nutritional support algorithm in ICU.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2), 168-177. 

  28. Wu, G. H., Liu, Z. H., Zheng, L. W., Quan, Y. J., & Wu, Z. H. (2005). Prevalence of malnutrition in general surgical patients: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and prognosis. Zhonghua Wai Ke Za Zhi, 43(11), 693-6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