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막체온과 액와체온의 비교 연구 - 성인대상자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Tympanic and Axillary Temperatur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6 no.2, 2009년, pp.162 - 170  

유재희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과학부) ,  조현숙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verify the usability of tympanic temperature measurement for adults, a comparison of tympanic and axillary temperatures was done.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October 2008, and participants were 110 female nursing students. Axillary temperatures were taken with glass mercury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액와체온과 고막체온의 측정시간, 측정부위 및 측정 횟수에 따른 측정치를 조사 비교하고 이 측정치들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리 수은체온계를 이용한 액와체온의 측정 시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 고막체온의 반복측정 및 좌우 측정과 액와체온의 비교를 통하여 고막체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및 좌 . 우 측정에 따른 측정치의 차이 등을 알아보고 또한 액와체온과 고막체온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고막체온은 많은 장점이 있으면서도 고막체온의 정확성을 조사한 여러 연구들에서 일관성 있는 결과가 부족하여 일부 병원에서는 아직도 활용이 잘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액와체온과의 비교를 통해 고막체온의 정확성을 규명하고 정확한 고막체온 측정 방법을 확인해보아 임상 활용에 좀 더 확실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에서 액와체온 측정을 고막 체온 측정으로 대치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연구를 시도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ird, S. C., White, N. E., & Basinger, M. (1992). Can you rely on tympanic thermometers? RN, 55(8), 48-51. 

  2. Choi, M. E, Kim, J. H., Park. M. J. Choi, S. M., & Lee, K. S. (2001). Physiology, Seoul: Hyunmoonsa. 

  3. Clemente, C. D. (1985). Gray's anatomy of the human body (30th ed.). Philadelphia: Lea & Febiger. 

  4. Devrim, I., Kara, A., Ceyhan, M., Tezer, H., Uludag, A. K., Cengiz, A. B., et al. (2007). Measurement accuracy of fever by tympanic and axillary thermometry. Pediatric Emergency Care, 23(1), 16-19. 

  5. Editors of Nursing (2007). Take care with tympanic temperature readings. Nursing, 37(4), 52-53. 

  6. Erickson, R. S., & Woo, T. M. (1994). Accuracy of infrared ear thermometry and traditional temperature methods in young children. Heart & Lung, 23(3), 181-195. 

  7. Farnell, S., Maxwell, L., Tan, S., Rhodes, A., & Philips, B. (2005). Temperature measurement: Comparison of noninvasive methods used in adult critical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4(5), 632-639. 

  8. Fraden, J., & Lackey, R. P. (1991). Estimation of body sites temperatures from tympanic measurements. Clinical Pediatrics, 30(4), 65-70. 

  9. Hong, Y. S., & Lee, S. O. (1975).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hortest optimum time for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2), 38-50. 

  10. Hwang, J. S., & Sohng, K. Y. (1997). Comparison of rectal temperature with axillary and tympanic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4(2), 351-358. 

  11. Jensen, B. N., Jensen, F. S., Madsen, S. N., & Lessl, K. (2000). Accuracy of digital tympanic, oral, axillary, and rectal thermometers compared with standard rectal mercury thermometers. European Journal of Surgery, 166(11), 848-851. 

  12. Jeong, I. S., & Yoo, E. J. (1997). Study on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time and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ympanic thermome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4(1), 19-30. 

  13. Kang, H. S., Im, L. Y., Oh, S. Y., Kim, Y. O., Hong, K. P., Kang, J. H., et al. (2006). Fundamentals of nursing I. Seoul: Soomoonsa. 

  14. Kim, H. S., & Song, M. G. (1998). Comparison of rectal temperature and tympanic membrane: Temperature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Nursing Science, 10(2), 22-30. 

  15. Kim, H. S., & Ahn, Y. M. (1999). Comparison by measurement sites in temperature of neonates: Ear-based rectal, rectal, axilla, abdominal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4), 903-916. 

  16. Kim, J. S. (2001). The comparison of tympanic and axillary temperature measurement for emergency room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7. Kocoglu, H., Goksu, S., Isik, M., Akturk, Z., & Bayazit, Y. A. (2002).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 can accurately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in children in an emergency room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65(1), 39-43. 

  18. Koo, H. Y., & Son, J. T. (2005). Comparison of inguinal, rectal, axillary, and tympanic temperature in newbor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1(2), 203-210. 

  19. Lee, M. H., Son, J. T., Jang, E. H., Ha, N. S., Park, M. J., Kang, K. S., et al (2003). An introduction to fundamentals of nursing. Seoul: Jungdammedia. 

  20. Moran, J. L., Peter, J. V., Solomon, P. J., Grealy, B., Smith, T., Ashforth, W., et al. (2007). Tympanic temperature measurements: Are they reliable in the critically ill? A clinical study of measures of agreement. Critical Care Medicine, 35(1), 155-164. 

  21. Nichols, G. A., Ruskin, M. M., Glor, B. A. K., & Kelly, W. H. (1966). Oral, axillary, and rectal temperature determinations and relationships. Nursing Research, 15(4), 307-310. 

  22. Onur, O. E., Guneysel, O., Akoglu, H., Aydin, Y. D., & Denizbasi, A. (2008). Oral, axillary, and tympanic temperature measurements in older and younger adults with or without fever. Europ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5(6), 334-337. 

  23. Park, C. W., & Park, S. N. (2007). Development of standard and improvement of reliability in body temperature measur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4(9), 32-36. 

  24. Pransky, S. M. (1991). The impact of technique and of the tympanic membrane upon infrared thermometry. Clinical Pediatrics, 30(4), 50-52. 

  25. Schmitt, B. D. (1991). Behavioral aspects of temperature-taking. Clinical Pediatrics, 30(4), 8-10. 

  26. Seo, Y. W. (1992). A comparative study between optimal axillary and rectal body temperatures and optimal thermometer placement time in the full-term normal neona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Nursing. 

  27. Sohng, K. Y., Kang, S. S., Hwang, J. S., & Kim, M. J. (1998). Accuracy of temperature measurements, nursing time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the validity of fever dete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5(1), 33-45. 

  28. Spitzer, O. P. (2008). Comparing tympanic temperatures in both ears to oral temperature in the critically ill adult.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7(1), 24-29. 

  29. Stephen, S. B., & Sexton, P. R. (1987). Neonatal axillary temperatures: Increases in readings over time. Neonatal Network, 5(6), 25-28. 

  30. Yun, K. W., & Lim, I. S. (2005). A study for accuracy and usefulness of tympanic membrane and forehead thermometer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8(8), 820-8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