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지역 여자고등학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 빈도와 입시 스트레스, 정신 건강, 삶의 질에 관한 연구
Frequenc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Entrance Examination Stres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 Women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6 no.2, 2009년, pp.171 - 180  

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  임선영 (김천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frequenc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entrance examination stres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 women. Methods: A survey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925 adolescent women in Gyeonggi Province. The measurements included th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민성 장 증후군은 입시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고 입시에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한국 고등학생에게 정신 건강 및 삶의 질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아와 성인의 중간 경계에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과민성 장 증후군의 빈도가 2배 더 높다는 기존 연구들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내장 통증 감각의 역치가 낮고, 대장시간이 길고 여성 호르몬과 관련이 있다고 (Chang et al., 2006; Heitkemper, Jarrett, Bond, & Chang, 2003) 보고되고 있으므로 여자 고등학생으로 국한되어 연구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기지역 여자 고등학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 유무와 유형에 따른 입시 스트레스 정도와 정신 건강 및 삶의 질을 파악함으로써 과민성 장 증후군과 관련된 기초 지식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경기지역 여자고등학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과 입시 스트레스, 정신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여자고등학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 빈도는 Rome m 진단 기준에 의해 분류 되었으며 경기지역 여자고등학생 925명 중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분류된 대상자는 211명으로 22.
  • 본 연구는 여자고등학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의 빈도와 유형에 따른 입시 스트레스 정도와 정신 건강,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cross-sectional study) 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경기지역의 1, 2, 3학년 여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06년 새롭게 개정된 과민성 장 증후군을 진단하는 Rome ID 진단 기준을 사용하여 과민성 장 증후군의 빈도, 유형, 입시 스트레스 정신 건강 및 삶의 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ng, L., Toner, B. B.,Fukudo, S., Guthrie, E., Locke, G. R., Norton, N. J., et al. (2006). Gender, age, society, culture, and the patient's perspective in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130(5), 1435-1446. 

  2. Cho, Y. S., Choi, M. G.,Shin, S. J., Choo, K. Y., Chung, W. C., Lee, I. S., et al. (2004). The preval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Ansan city questionnaire survey in random Korean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10(1), 49-56. 

  3. Choi, J. H. (1996). Clinical manifestation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elationship between stress, family function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7(1), 11-21. 

  4. De Medeiros, M. T., Carvalho, A. F., de Oliveire Lima, J. W., Dos Santos, A. A., de Oliveire, R. B., Nobre, E. S. M. A. et al. (2008). Impact of depressive symptoms on visceral sensitivity among patients with different subtype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6(9),711-714. 

  5. Derogatis, L. D. (1977). SCL-90-Revised manual: Clinical psychometric research unit. Maryland: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6. Dong, L., Dingguo, L., Xiaoxing, X., & Hanming, L. (2005). An epidemiologie stud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adoleseents and ehildren in China: A school-based study. Pediatrics, 116(3), 393-396. 

  7. Drossman, D. A. (2006).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III process. Gastroenterology, 130(5), 1377-1390. 

  8. Gwee, K. A. (2005). Irritable bowel syndrome in developing countries - a disorder of civilization or colonization?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17(3), 317-324. 

  9. Heitkemper, M., Jarrett, M., & Bond, E. F. (2004). Irritable bowel syndrome in women: A common health problem.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39(1), 69-81. 

  10. Heitkemper, M., Jarrett, M., Bond, E. F., & Chang, L. (2003). Impact of sex and gender on irritable bowel syndrome.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5(1), 56-65. 

  11. Hwang, S. Y., Choi, C. H., Rhie, S. Y., Do, M. Y., Lee, S. H., Kim, H. J., et al. (2006).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health check up subjects.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12(2), 136-143. 

  12. Jahoda, M. (1955). Community programs for mental health. In R. K. Kotinsky & H. L. Witmer (Eds.). Toward a social psychology of mental health,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3. Kalantar, J. S., Locke, G. R., Zinsmeister, A. R., Beighley, C. M., & Talley, N. J. (2003). Familial aggregation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 prospective study. Gut, 52(12), 1703-1707. 

  14. Kang, J. H., Hong, S. J., Ko, B. M., Ryu, C. B., Kim, J. O., Cho, J. Y., et al. (2007). The frequency of functional bowel disease in health check up using the Rome III.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13(suppl 1), 96. 

  15. Kim, K. I., Kim, J. H., & Won, H. T. (1984).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eoul: Chungang Aptitude Publishing Co. 

  16. Lee, K. T., Yoo, J. H., Kim, B. K., & Chung, H. K. (2007).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Epidemiology, 29(1), 21-33. 

  17. Lee, M. R., & Chung, H. S. (1997). Development of adolescen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tress scal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0(1), 147-157. 

  18. Min, S. K., Lee, C. I., Kim, K. I., Suh, S. Y., & Kim, D.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e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Korean Journal of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19. Padilla, G. V., Ferrell, B., Grant, M. M., & Rhiner, M. (1990). Defining the content domain of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with pain. Cancer Nursing, 13(2), 108-115. 

  20. Park, D. W. (2008). Prevalence and sociodemograph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 a population-based survey using Rome II and Rome III diagnostic criter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1. Park, H. J., & Lim, S. J. (2008). Frequenc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5), 685-696. 

  22. Resendiz-Figueroa, F. E., Ortiz-Garrido, O. M., Pulido, D., Arcila - Martinez, D., & Schmulson, M. (2008). Impact of the anxiety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on clinical aspect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Revista de gastroenterologia de Mexico, 73(1), 3-10. 

  23. Robert, J. J., Orr, W. C., & Elsenbruch, S. (2004). Modulation of sleep quality and autonomic functioning by symptoms of depression in women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Digestive Disease Science, 49(7), 1250-1258. 

  24. Son, Y. J., Jun, E. Y., & Park, J. H. (2009).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n adolescent girls: A school-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1), 76-84. 

  25. Song, M. J. (1995).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kjisa Publishing Co. 

  26. Sperber, A. D., Shvartzman, P., Friger, M., & Fich, A. (2007). A comparative reappraisal of the Rome II and Rome III diagnostic criteria: Are we getting closer to the 'true' preval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Europ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19(6), 441-447. 

  27. Thompson, W. G., Longstreth, G. F., Drossman, D. A., Heaton, K. W., Irvine, E. J., & Muller-Lissner, S. A. (1999). Functional bowel disorders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Gut, 45(suppl 2), 1143-1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